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마티스의 그림을 보다

| 조회수 : 1,551 | 추천수 : 22
작성일 : 2006-01-24 01:08:30


사라 장과 (장영주) 줄리안 로이드 웨버,그리고 런던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오페라의 유령에서 나온 곡과 우먼 인 회이트 모음곡을 시디 한 장에 담은 음반을 듣고 있는

중인데요  가끔씩 듣고 있으면 갑자기 기분이 업되는 느낌이 되는 그런 연주이지요.

오페라의 유령같은 경우는 영화와 뮤지컬을 이미 본 것이라 더 연상이 많이 되서

음악에 몰입하는 폭이 더 큰 것 같기도 합니다.

오늘 낮에 읽었던 세기의 우정과 경쟁,마티스와 피카소가 생각이 나서

집에 와서 마티스의 그림을 찾아보면서 듣고 있는 음반이기도 하지요.

오페라의 유령을 본 사람들에겐 추억을 자극하기도 하고

새롭게 듣게 되는 음악이 될 것도 같아서 소개합니다.



1905년하면 미술사에서는 야수파의 등장을 알리는 해로 기억되지요.

물론 인상파와 마찬가지로 이 말이 찬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야수적인 이란 일종의 경멸적인 언사로 쓰인 것인데요

그 말이 그대로 한 유파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굳어진 것이고

야수파하면 여러 명의 화가들이 거명되지만 그래도 대표격으로는 마티스를 꼽는다고 해요.

입체파하면 피카소를 꼽듯이



이 그림이 선보였을 때의 대중들의 놀라움은 말할 것도 없이

미술하는 사람들에게도 상당한 충격이었다고 하더군요.

당연하겠지요?

지금에야 우리에게 익숙한 ,그것보다 더 한 그림들도 많지만

사람의 얼굴에 전혀 존재하지 않는 색이 칠해진 것을 본 사람들의 경악이 눈에 선합니다.

이렇게 하여 형태는 피카소,색은 마티스라고 말해지는 시기가 도래한 셈이고

두 사람사이의 치열한 경쟁과 서로를 인정하는 시기가 오래 지속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런 경쟁과 우정속에서 서로가 자극을 받아 어떤 한 사람이 그린 그림에서 상대가

영향을 받기도 하고 거기서 새로운 그림이 탄생하기도 하지요.

그런 점에서는 피카소가 훨씬 유리한 고지에 있었던 모양인데

천재란 유에서 유를 창조할 수 있는 사람이란 정의에 딱 들어맞는 사람이 바로

피카소가 아닌가 싶어요.



피카소가 밤에 주로 그림을 그렸다면 마티스는 낮에 그림을 그렸다고 하고

늘 혼자서 작품에 몰입을 했다고 하더군요.

반면 피카소는 프랑스가 자신의 고향이 아닌데도 일단 이 곳에 진출한 후에는

예술가 집단의 보스처럼 사람들을 주위에  끌어모아 일종의 싱크 탱크를 형성했다고요.





마티스 하면 그의 장식성이 풍부한 그림,색깔이 강렬한 그림이 먼저 떠오르지요.

바로 이 시기의 (1908년 이후)그림의 특징이 아닐까요?




마티스는 피카소처럼 드러내놓고 여성편력을 한 화가는 아니지만

당시에 러시아 출신의 여자 화가와 깊은 관계에 있었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고통을 참지 못한 여자가 결국 마티스의 부인에게 자신의 연애에 대해서 털어놓았고

마티스는 선택의 기로에서 가정과 부인을 선택했다고 하지만

그래도 갈등이 남아서 이런 그림으로 그 때의 긴장관계가 표현된 모양입니다.

두 사람사이에 놓여 있는 장식성의 글자가 아니다란 non인데

단순히 장식이라고 하기엔 상당히 강한 뉘앙스를 풍기는 글자라서

자꾸 시선이 갑니다.

이런 문양을 통해서 마티스는 무엇을 말하려고 했을까?




이 시기에 마티스가 러시아 출신의 세르게이 시추킨이 의뢰한 춤과 음악을 완성했다는 기록을 읽었는데

마침 그림을 찾아보니 지금은 에르미타쥬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군요.




우선 오늘 읽은 시기까지의 마티스를 보았습니다.

책에서 나온 그림을 다시 찾아보기도 하고 그림에 관한 해설도 읽어보기도 하면서

음악과 더불어 보낸 시간

이런 after가 있어서 그림에 관한 책읽기는 항상 보상이 넉넉히 뒤따르는 책읽기가 되는 모양입니다.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청솔
    '06.1.24 9:46 PM

    지난 6월에 니스에 갔다가 마티스 미술관에 갔었어요.
    지도와 함께 니스역 근처에서 일반 버스를 타고 산 동네로 올라 갔는 데, 그 곳에서 말하는 산 동네는 니스의 아름다운 전경이 내려다 보이는 부촌을 말하는 거지요. 마티스가 살던 집을 개조해 미술관을 만들었는 데, 생전에 영화를 누렸었는 지 집도 아주 크고 좋았어요.
    선과 색채의 강렬함과 화려함이 아직도 인상에 남아 있어요.
    마티스가 직접 제작한 성당의 과정 스케치를 자세히 보여 주기도 했는 데 언젠가 실제로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을 지 모르겠어요.
    버스를 타고 내려 오다 보니 산 중턱에 샤갈 미술관 사인이 보여 떠나려는 버스를 급히 세워 그날 운 좋게 샤갈도 같이 감상할 수 있었어요.
    지중해의 푸른 바다, 멋진 남녀들, 올리브 나무들, 오렌지 빛 지붕 건물들, 산, 그리고 마티스와 샤갈, 이렇게만 나열해도 멋진 곳이네요.
    님의 그림들 감사해요.

  • 2. intotheself
    '06.1.24 11:32 PM

    청솔님

    니스까지 가서 그 성당을 못 본 것 너무 아쉽네요.

    저는 그 성당에 가보려고 니스에 가고 싶다고 마음속에 그리워하고 있는 중이랍니다.

    언젠가 갈 수 있겠지요?

  • 3. intotheself
    '06.1.24 11:36 PM

    1905년에 그린 두 점의 작품을 발견했습니다.

    마티스 전시에 가시는 분들은 미리 보고 가면 더 즐거운 관람이 되겠지요?

  • 4. 젊은 할매
    '06.1.24 11:59 PM

    명화에관한 님의 글을 읽고 있으면 마치 님과 마주앉아 대화하고 있는듯한 착각에 빠집니다. 주로
    나는 듣고 있는쪽이고,,고개를 꺼떡이면서,, 해설과 그림 잘 봤읍니다.

  • 5. 젊은 할매
    '06.2.2 12:27 AM

    마티스의 위그림(앉았구나, 손잡고있는 사람)을 보니 우리나라 유명화백 박수근,이중섭 같은분들의그림이 많이 닮아 명작을 연구한 흔적이 있는것 같아요, 잘은 모르지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4632 이 한장의 명반-ㅡmeditation 4 intotheself 2006.01.25 1,360 19
4631 ㅎㅎㅎ 여러분..이 새좀 꼭 보세요..꼭이요!!! 3 안나돌리 2006.01.24 1,437 12
4630 정열의 탱고 1 안나돌리 2006.01.24 1,047 24
4629 살인미소 강군 4 지향 2006.01.24 1,853 68
4628 미래의 며느리 아가야~ 7 경빈마마 2006.01.24 3,029 47
4627 차 한잔의 이야기~~~~~~~~~~~~~~~ 2 도도/道導 2006.01.24 1,558 22
4626 마티스의 그림을 보다 5 intotheself 2006.01.24 1,551 22
4625 고민..고민..@.@ 5 하나 2006.01.23 1,446 8
4624 등짝맨의 정체.... 17 프림커피 2006.01.23 2,032 30
4623 아네모 정모가 2월6일(월)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4 안나돌리 2006.01.23 981 35
4622 어떻게들 자나요^^ 4 지우엄마 2006.01.23 1,813 63
4621 먼 여행... 에버글래이즈 4 브리지트 2006.01.23 1,258 13
4620 울집 껌딱지 소영이가 일케 컸어용~ ^^ 14 선물상자 2006.01.23 1,950 12
4619 장안의 화제,왕의 남자 15 intotheself 2006.01.23 2,346 20
4618 우리 둘만 되능겨 7 엉클티티 2006.01.23 2,127 39
4617 보라빚 향기.... 4 duddnd 2006.01.22 2,226 25
4616 내가 좋아하는~~~한켯 9 안나돌리 2006.01.22 1,528 23
4615 걷고 싶은 길~~~~~~~~~~~~~~~~~ 9 도도/道導 2006.01.22 1,207 23
4614 책읽기를 싫어하는 아들을 키우고 있는 사람들에게 5 intotheself 2006.01.22 1,865 48
4613 야외촬영 5 젊은 할매 2006.01.22 1,663 33
4612 임금님 귀는 당나귀~귀~~~~~~~~~~ 5 도도/道導 2006.01.21 1,353 20
4611 유기농 딸기밭 푸르지오 2006.01.21 1,335 21
4610 잃어버린 책을 찾아서 1 intotheself 2006.01.21 1,079 45
4609 왕의 남자를 좋아하는 분들 보시라고. 2 아나콩콩 2006.01.20 2,042 14
4608 우리집 2 푸르지오 2006.01.20 1,59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