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만능반죽으로 찐빵해먹었는데요... 반죽에 질문있습니다.

| 조회수 : 2,362 | 추천수 : 17
작성일 : 2005-11-01 00:09:43
레시피 보니 발효시간이 꽤 걸리더군요.

새벽 6시부터 일어나서 했습니다.

시간도 양도 잘 지켰는데 만들려고 보니까 너무 질더군요.

손에 무진장 달라붙던데요.

순간 이성은 저 멀리로 사라지고 레시피고 뭐고 밀가루 잡아다가 한 2컵 들이부은거 같습니다.

그래도 쪼오끔 달라붙길래 식용유 손에 치덕치덕 바르고 그 손으로 반죽을 열심히 손 봐줬습니다..=_=^

그제사 만능반죽 무릎꿇더군요.

뭐 팥소넣고 쪄서 잘 먹긴 했습니다. 쫄깃쫄깃하니 맛있더군요.

그런데 여기서 질문입니다.

제가 한 것처럼 해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제가 한 것중에 뭔가 잘못된게 있어서 반죽이 그렇게 붙었던건지.

오븐이 없기 때문에 발효는 실온에서 했구요.

그리고는 레시피 왠만큼 지킨거 같은데요.

혹시 반죽성공하신분 있으시면 뭔가 좀 알려주세요~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remy
    '05.11.1 1:05 AM

    처음엔 질척거리고 손에 붙고 난리도 아닙니다...^^;;
    그래서 전 처음엔 수저로 반죽해요. 손잡이 튼튼한 수저로 대충 휘저어 반죽한 다음 손으로 반죽해요.
    그럼 좀 덜 달라붙죠.. 그리고 계속 손으로 치댑니다.. 그럼, 조금씩 달라붙는게 적어지고
    한 10여분 치댄후 잘 둥글려서 발효를 시킵니다.. 1차 발효가 끝나면 질척한거 훨씬 적어지고,
    손에 기름을 바르지 않아도 묻어나오지 않아요.. 다시 한 10여분 치대고 나면 손엔 전혀 묻지 않습니다.
    성형 한 후에 2차 발효를 시키고 찌거나 굽거나 하면 됩니다..
    발효빵의 중요한 점은 "발효"와 "치대기"입니다.
    대부분 이 과정에서 포기하고 제빵기를 사거나 밀가루를 들이밀거나 다신 빵을 만들지 않죠...^^;;
    잘 치대서 폭신폭신한 반죽을 한번이라도 맛보게 되면 그 후엔 그 감촉을 못잊어 계속 치대게 됩니다..-.-;;
    발효빵을 만들때 적정한 수분(물이나 우유, 버터, 오일류등등)의 양은
    밀가루의 65%정도라고 해요. 비율을 맞춰 반죽해보면 상당히 질척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수분은 발효와 치대기 과정에서 날라가거나 이스트가 먹어치우거나 해서 나중엔 적정한 상태가 되죠.
    적정한 이스트의 발효온도는 1차때 24 - 29℃, 습도는 75-80%라고 합니다.
    2차 발효시에는 1차때보다 좀 높은 온도가 필요합니다. 33-54℃, 습도 60-90% 정도로요..
    발효는 시간으로 좌우되는 것보다는 부풀린 상태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발효가 반죽의 양과 환경에 따라 좌우되므로 무작정 발효시간을 맞추기 보다는
    원래 반죽의 2배 정도 되었을때로 발효시간을 맞추는게 좋다고 하네요..
    전 그냥 속성으로 발효시켜 한 두시간만에 반죽을 끝내기도 합니다..^^;;
    집에서 조금 해먹는 경우에는 뭐.. 크게 차이가 나지 않더군요.
    만능반죽은 좋은 발효빵의 레시피입니다..
    밀가루를 조금 더 넣어도 크게 상관은 없지만, 다음번엔 그냥 그 레시피대로 해보세요.
    치대는 시간은 길면 길수록 좋습니다. 1차때는 반죽이 많이 섞였다 싶을 정도로 하시고,
    2차때는 폭신폭신한 상태가 될때까지 치댄다.. 라고 보시면 됩니다.

  • 2. 빛나라 썬
    '05.11.1 6:18 PM

    오호~ 장문의 답변 감사합니다. 말안듣는 반죽엔 치대기가 약이군요.
    다음번엔 야채호빵 해먹을 계획이거든요. remy 님이 알려주신 방법대로 열심히 만들어 볼께요.
    정말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1045 <투표> 1년묵은 총각김치, 당신이라면?^^ 12 체라 2005.11.01 2,785 14
21044 찜고등어조림요.. 1 chuckki 2005.11.01 941 1
21043 쓰고 남은 한천을 어떻게 할까요? 2 dase 2005.11.01 764 1
21042 결혼할 아가씨 남친 초대 저녁상 과 아침상 메뉴좀 보아주세요 4 강미선 2005.11.01 1,534 6
21041 양조간장 집에서 만드시는분...알려주세요... 쌀집 2005.11.01 2,004 32
21040 생견과류(땅콩, 호두, 아몬드 등등,,)을 어떻게 해서 먹을까요.. 5 풍경이고 싶다 2005.11.01 1,957 5
21039 만능반죽으로 찐빵해먹었는데요... 반죽에 질문있습니다. 2 빛나라 썬 2005.11.01 2,362 17
21038 묵사랑 묵중에 청포묵은 없는거지요? 6 appletree 2005.10.31 1,242 6
21037 맛있었던 시판 김치 알려주세요 43 아이스크림 2005.10.28 5,447 107
21036 광릉수목원 맛있는 식당 추천 7 하늘땅만큼 2005.10.31 1,610 7
21035 포도즙으로 쨈만들기~ 4 중구난방 2005.10.31 2,688 0
21034 오가피열매 알려주세요~~~ 2 천고마비 2005.10.31 1,053 4
21033 삼각김밥김 조미된거 어서 파나요? 6 주미선 2005.10.31 1,479 3
21032 청주에 대해서 질문이요.. 2 까누네 2005.10.31 1,399 0
21031 단밤(약밤) 파는 곳 어디 없을까요? 3 아이스라떼 2005.10.31 3,255 6
21030 칼루아~어디서 살 수 있나요? 3 워니후니 2005.10.31 1,211 37
21029 사먹는 된장 중 맛있는 거 추천해주세요. 6 푸른하늘 2005.10.31 1,462 0
21028 대추 맛나게 먹는법을 1 에셀나무 2005.10.31 1,287 8
21027 원두커피 추천해주세요 5 방울 2005.10.31 1,181 1
21026 팔보채레시피 좀 부탁드려요 1 이성혜 2005.10.31 1,129 0
21025 장터에서 맛있는 쌀 사신 분 알려주세요 3 코코아 2005.10.31 760 8
21024 레이디핑거 구입처 1 포비 2005.10.31 913 0
21023 집들이 메뉴 좀 봐주세요~~ 2 MBear 2005.10.31 798 0
21022 맛없는 창란젓, 오징어젓은 어떻게 먹으면 좋을까요? 3 냐옹냐옹 2005.10.31 1,556 13
21021 표고 버섯 말릴떄요.. (급) 4 타조알 2005.10.31 1,6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