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고혈압에 조개류??

| 조회수 : 1,792 | 추천수 : 1
작성일 : 2004-12-03 10:05:34
요즘 고혈압에 관심이 많아요
아빠가 혈압이 많이 높으셔서ㅠ.ㅜ
거의 매일 고혈압에 관련된 싸이트를 헤매는되요
조개류가 고혈압에 나쁘다는곳도 있고
반대로 타이신이라는 성질이 많이 들어 고혈압에
좋다고 하는 곳도 있고.....
정말 알수가 없네요
조개류 고혈압에 좋은가요 나쁜가요?????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빈수레
    '04.12.3 11:38 AM

    원하시는 답이 될라나 모르겠는데....스크랩해 둔 기사가 있어서...올립니다....



    [식·탁·혁·명] 7. 혈관에 좋은 음식, 나쁜 음식

    등푸른 생선, 녹차는 혈관 청소부



    우리 몸의 혈액은 자동차에, 혈관은 고속도로에 비유된다.

    몸속 고속도로의 길이는 무려 9만~13만㎞. 사고 없이 길고도 먼 '고속도로'를 질주하려면 도로와 자동차 모두 최상의 상태여야 한다.

    고장난 차(끈적거리거나 걸쭉한 혈액)가 울퉁불퉁한 도로(동맥 경화 등으로 인해 손상된 혈관) 위를 달린다고 가정해 보자. 의당 사고 위험이 높아질 것이다.

    우리 몸의 도로와 차를 잘 관리하기 위한 첫번째 수칙은 음식을 가려 먹는 것이다.
    먹거리로 혈관 건강을 유지하거나 되찾는 법을 알아보자.





    ◆ 혈관을 웃게 하는 녹차.콩.등 푸른 생선 =

    EPA(불포화 지방의 일종)가 많이 든 연어.정어리.참치 등 등 푸른 생선은 혈관 건강에 유익하다.
    EPA가 혈전(피찌꺼기)을 덜 생기게 하기 때문이다.

    토마토.당근.시금치.피망.브로콜리 등 녹황색 채소는 하루 150g 이상 충분히 먹자.
    여기에 든 베타 카로틴, 비타민 C.E는 혈관 노화를 막아주는 항산화 비타민이다.

    인제대 식품생명과학부 김정인 교수는
    "콩에 든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식물성 에스트로겐)은 혈액 흐름을 개선하고 동맥 경화를 예방한다"며 "두부.된장.청국장 등을 먹어도 같은 효과를 얻는다"고 조언한다.

    이를 근거로 미국심장협회는 혈관 건강을 위해 콩을 하루 60g(6 큰 숟갈) 이상 섭취하라고 권장한다.

    마늘.양파도 혈관을 웃게 하는 식품이다.
    냄새 성분인 '알리신'이 혈중지방 수치를 낮춰 준다.

    김.미역.다시마 등 해조류도 혈관의 보약이다.
    식이섬유가 지방 흡수를 낮추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막는다.
    요구르트.우유.올리고당 등 유산균이 다량 들어 있거나 유산균의 증식을 돕는 식품도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준다.


    ◆ 너무 과하면 오히려 독이 되는 과일.포도주 =

    평촌성심병원 가정의학과 박경희 교수는 "채소는 양껏 먹어도 무방하나 과일은 즐겨 먹되 과다 섭취는 삼갈 것"을 주문한다.

    과일은 채소보다 열량이 높고, 혈액을 끈적이게 하는 당질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

    허기질 때 간식으로 밥.떡을 먹는 것보다는 과일이 낫지만 하루에 사과는 1개(중간 크기), 귤은 2~3개, 바나나는 1개면 충분하다. 방울토마토는 30개를 먹어야 바나나 1개의 열량과 비슷하다.

    적포도주는 '프렌치 패러독스'(포도주를 즐기는 프랑스인은 미국 등 다른 서구인에 비해 혈관 질환 사망률이 낮다)의 주역이지만 이 역시 술이므로 과음은 곤란하다. 하루 300㎖ 이상 장기간 마시면 혈관질환 예방은커녕 오히려 동맥 경화.고혈압.비만.알코올 중독을 부를 수 있다.


    ◆ 혈관을 울상 짓게 하는 동물성 지방 =

    보통 온도에서 딱딱하게 굳는 포화 지방은 해롭다.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버터 등 동물에서 나온 지방(생선 기름만 예외)이 이에 속한다.
    따라서 지방을 떼어내거나 껍질을 벗겨 먹고, 우유는 저지방 우유를 마신다.

    식물성 지방이라고 해서 무조건 안심해선 안 된다.
    일부 과자.라면.초콜릿.커피 메이트 등에 든 팜유.코코넛유는 식물성이지만 포화 지방 비율이 돼지고기(50%)와 비슷하거나(팜유) 오히려 높다(코코넛유 80%).
    마가린과 쇼트닝(제과 제빵용)의 경우 제조과정 중 동맥 경화를 일으키는 트랜스 지방이 생긴다.

    서울 삼육의명대 식품과학과 최성숙 교수는 "혈관 건강을 위해 기름에 튀기는 조리법은 피하고 찌거나 삶아 먹어야 한다"며 "부득이한 경우 재료의 크기를 크게 해 기름이 덜 흡수되게 하고, 기름을 잘 뺀 뒤 먹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계란 노른자와 동물의 간.콩팥 등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식품도 가급적 적게 먹는 것이 상책. 음식을 통한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20% 줄이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그 절반인 10%쯤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tkpark@joongang.co.kr>


    *** 혈관 질환 환자의 식사 원칙


    ▶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이 가장 중요하다

    ▶ 저염식을 한다

    ▶ 신선한 과일을 즐기되 당분.열량이 높으므로 많이 먹지 않는다

    ▶ 채소를 자주, 가급적 생으로 먹는다

    ▶ 기름에 튀기거나 볶는 조리법은 피하고 찌거나 삶아 먹는다

    ▶ 동물성 지방을 피하고 식물성 지방을 섭취한다

    ▶ 오메가-3 지방이 풍부한 생선과 생선 기름을 즐긴다

    ▶ 설탕.사탕 등 단순 당은 가급적 적게 먹는다


    자료 : 평촌 한림대 성심병원 가정의학과



    *** 혈관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체크 포인트


    □ 혈압이 높다

    □ 혈당치가 높다

    □ 콜레스테롤.중성지방이 높은 고지혈증이다

    □ 비만 또는 다이어트 실패 경험이 많다

    □ 담배를 피운다

    □ 주 4회 이상 술을 마신다

    □ 급하게, 몰아서 음식을 먹거나 밤늦게 먹는다

    □ 외식, 편의점의 도시락, 야식을 자주 먹는다

    □ 술 마신 뒤 라면이나 밥을 먹는다

    □ 생선보다 불고기를 좋아한다

    □ 계단보다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를 주로 이용한다

    □ 뜨거운 목욕물에 몸을 담갔다가 바로 나온다

    □ 주 3회 이상 수면 부족. 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고통스럽다

    □ 걷는 것을 싫어하고, 걷는 일이 적다

    □ 피곤해도 쉬지 못할 때가 많다, 휴일에 출근하는 일도 많다



    <판정법>


    ▶ 체크할 게 없음 = 건강하고 탄력있는 혈관

    ▶ 1~4개 = 헐어 있는 혈관, 혈관이 다소 피곤한 상태

    ▶ 5~7개 = 걱정스러운 혈관, 동맥 경화가 진행되지 않도록 주의

    ▶ 8개 이상 = 너덜너덜한 혈관, 뇌졸중.심근경색의 위험이 높다


    자료 : 혈관을 맑게 하는 건강음식 37가지' (동도원)

    2004.11.28 17:52 입력 / 2004.11.29 08:57 수정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1371 카레에...'無방부제'와 '보존료無첨가'의 차이?- 2 크산티페 2004.12.03 809 2
11370 휘핑크림을 얼마나 저어야 생크림이 되는지요? 7 안개꽃 2004.12.03 3,255 49
11369 msg 뭐가 안 좋은건가요? 2 고구마사랑 2004.12.03 1,114 8
11368 뒷북질문...꽃게님 약식을 일반 전기밥솥에 할 수 있나요?..... 4 삔~ 2004.12.03 987 2
11367 요즘 상온에 고기 오래두면 상할까요? 1 아영 2004.12.03 1,237 1
11366 뒷북일지라도.... cherry22 2004.12.03 490 1
11365 감기에 배가 좋다는데... 2 partytime 2004.12.03 1,007 1
11364 고기집에서 양파채썰은거하고 부추넣어서 줄때 부어주는 소스 아세요.. 4 요안나 2004.12.03 4,106 1
11363 고혈압에 조개류?? 1 토끼눈섶 2004.12.03 1,792 1
11362 전자레인지로 돌린 고구마가 돌이 되었어요.. 7 똘똘이 2004.12.03 1,678 10
11361 포도즙 주문하고 싶은데요.. 1 후이란 2004.12.03 529 0
11360 빨간고추, 파란고추 채썰어서 냉동실에 넣고 쓸수 있나요? 6 바람도리 2004.12.03 966 1
11359 이과일 이름이 뭔가요??? 23 아지매 2004.12.03 2,082 6
11358 외국사람들 접대에 좋은 음식 좀 추천해주세요. 8 쿠키 2004.12.02 1,694 9
11357 짜사이무침 5 바나바 2004.12.02 1,067 1
11356 추천해주실만한..석류엑기스 있나요? 1 치즈케잌 2004.12.02 615 1
11355 유자차나 모과차에 대해서여... 6 마정윤 2004.12.02 901 1
11354 수삼이나 인삼 믿고 살만한 곳 아시나요? 3 juwons 2004.12.02 881 1
11353 [질문] 고춧가루를 얼마나 준비해야.. 3 라니니 2004.12.02 553 2
11352 바이러스 장염 2 영심이 2004.12.02 1,007 6
11351 들깨가루 만드는거요... 4 김선정 2004.12.02 2,209 1
11350 유효기간 3일지난 순두부..먹어도 될까요? 2 마님 2004.12.02 3,680 1
11349 드롱기에 깨찰빵 구울때? 1 초희 2004.12.02 648 2
11348 아이싱펜? 1 감자튀김 2004.12.02 1,071 0
11347 엔지니어님의 귤차를 만들어 볼려고 하는데요. 1 안개꽃 2004.12.02 65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