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대추로 뭘할까요?

| 조회수 : 909 | 추천수 : 4
작성일 : 2004-07-18 20:43:14
대추가 너무 많아서요.
친정에서 한봉지씩 주는걸 그냥 냉동실에 넣은게 벌써 여러봉이 되네요.
물끓일때 몇개씩 넣었더니 아이들이 귀신같이알고 안먹을려해요.

전통찻집에서 먹던 대추차를 만들수 없을까요?
좀 가르쳐주세요.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벚꽃
    '04.7.18 9:33 PM

    물끓일때 넣으면 사실 별 맛 없을것 같구요.
    예전에 사무실에서 대추차를 끓여서 마신 적이 있는데요.
    뭉근히 오래 끓여야 해요. 약 달이듯이
    그러면 색깔도 향도 맛도 진하고 달콤해요.

    그리고 대추차가 신경예민한 사람들한테 좋다고 해요.

    대추차 오래 끓이면 씨에서 나쁜 성분이 나온다고 하기도 하지만요^^

  • 2. 김혜경
    '04.7.18 11:35 PM

    전통찻집의 대추차는 대추를 달인 다음 체에 내리는 것 같던데...확실히는 모르겠네요..

  • 3. lyu
    '04.7.18 11:44 PM

    날씨가 너무 덥지 않으면 설탕과 물엿을 넣고 조려서 대추를 굴립니다
    거기에 잣 땅콩 같은거 으드드 부셔서 버물버물하고 넓은 곳에 옮겨 시힌다구요
    그담에 비닐에 담아서 남편 차에다 몇개씩 넣어 주면......
    간식!
    손님상 디저트도!
    나 대추 없어 못하는 아짐임
    사서 하긴 좀 그렇고......

  • 4. 강금희
    '04.7.19 4:01 PM

    우리집 겨울 음료 주종이 대추차입니다.
    늦가을쯤 저는 대추를 2말 정도 사서 겨우내 달여마십니다.
    압력솥으로 고아서 차를 만드는 거지요.

    1. 씻은 대추를 압력솥에 한 대접 수북이 넣습니다. 생강 몇 쪽도.
    물을 양껏 넣고 처음에는 센불로 끓이다가
    추가 돌아가면 약불로 낮추고 30분 정도 푹 고아요.
    한 시간도 좋습니다. 대추살이 푹 무를 정도로.
    뚜껑을 열고 대추살을 체에 내립니다.

    2. 씨는 다른 냄비에 물 좀 붓고 한번 더 끓여서 또 체에 걸러줍니다.
    이렇게 내린 물을 1번과 섞어줍니다.

    3. 식혀서 냉장고에 넣어두고 먹을 때마다 꿀을 타서 마십니다. 잣을 띄워주면 금상첨화.

    이렇게 만든 대추차는 달리 가미하지 않아도 단맛이 많이 납니다.
    대추는 열을 내주기 때문에 겨울에 자주 마시면 아주 좋습니다.
    대추차 열심히 달여 주는 겨울에는 식구들이 감기 잘 안 걸립니다.
    겨울에 감기로 콧물 줄줄 흘릴 때 대추차 한사발 마시면
    머리부터 배 쪽으로 뜨거운 기운이 스르륵 내려가면서 콧물이 뚝 그치기도 합니다.

    제 생각에, 몸이 냉해지기 쉬운 여름에도 좋을 듯합니다.

  • 5. 송현주
    '04.7.21 2:15 PM

    저희집도 요즘 대추끓여 먹어요..
    물 2리터정도에 대추 20알 넣고 물이 반정도 졸아들을때까지 끓여요..
    10여분 팔팔 끓이고 약불로 줄이면 3시간정도 걸리더라구요.
    식혀서 대추는 체에 넣고 뭉그러뜨려 진액까지 다 빼고 버려요.
    꿀섞어 냉장고에 차게 두면 5살베기 아들 갈증날때 대추물만 달라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8371 [질문] 아이들 좋아하는 김밥?예쁜김밥이요. 1 la mama 2004.07.18 1,687 3
8370 토마토 페이스트 소스 통조림을 개봉했는데요, 4 기념일 2004.07.18 1,095 1
8369 대추로 뭘할까요? 5 도널드 2004.07.18 909 4
8368 스무디 레시피좀 올려주세요.. 2 꿀물 2004.07.18 966 7
8367 파운드케잌이나 카스테라 레시피 좀... 1 왕초보 2004.07.18 792 1
8366 마른 우뭇가사리(?) 3 이정숙 2004.07.18 1,131 2
8365 <<급>>드롱기통닭구이체험해보신분...도와.. 6 브로콜리 2004.07.18 1,021 53
8364 누에가루 건강한 사람이 먹어도 되나요? 1 키위 2004.07.18 2,103 1
8363 멸치젓 당그는법 알려주새요 2 늦바람 2004.07.18 537 4
8362 솜사탕님 질문 있습니다. sweetmommy 2004.07.18 488 1
8361 전자렌지에 라면 가능한가요? 7 포항댁 2004.07.17 1,500 4
8360 혹시 집에서 쌀로 과자만들수있을까요? 3 milktea 2004.07.17 808 2
8359 현석마미님표 감자옹심이 이점이 궁금해요!!몹시~~ 7 수국 2004.07.17 1,181 1
8358 밥!! 그것이 문제로다.. 10 초보맘 2004.07.17 925 2
8357 닭냉채하는법줌 자세히 알려주세요 1 왕초보 2004.07.17 831 1
8356 재첩국에서 지린내가.... 3 몽쥬 2004.07.17 1,314 3
8355 양갱을 만들때요... jenparkjeon 2004.07.17 665 4
8354 단호박떡 만들때요? 2 쵸코하임 2004.07.17 707 4
8353 깡통망고 맛이 원래 이런가요? 6 스트롤러 2004.07.17 771 2
8352 감자옹심이 반죽을 냉동실에 넣어도 될까요? 3 툴툴 2004.07.17 2,172 1
8351 마늘장아찌 만든지 며칠 후 먹나요? 3 마늘 2004.07.16 1,588 4
8350 치즈가요..말라서 딱딱해졌어요 4 김유진 2004.07.16 746 3
8349 양장피하고 닭냉채하고 어떤게 나을까요? 1 왕초보 2004.07.16 672 1
8348 감자 보관 어디에 해야 오래 먹나요? 5 푸른잎새 2004.07.16 1,079 3
8347 큐원 식빵믹스와 백설 식빵믹스 3 궁금이 2004.07.16 2,12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