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김장김치에서 약간 풋내가 나고 기타 궁금증.

김장공부 조회수 : 552
작성일 : 2010-12-17 14:01:07
1.
김장김치 처음으로 한 포기 꺼내어 먹어봤는데
약간 풋내가 나요..
그래서 아주 푹 익혀서 다시 먹어보았더니 조금 낫긴 한데 그래도 아주 약간 풋내가 나네요.

내년에 김장할 때 참고하려고 하는데
왜 그럴까요..?

2.
그리고
김치 담아 놓은 맨 위층에 있는 김치들 (푸른 잎으로 감싸 놓았는데요.)
거기가 약간 누르스름.. 푸르딩 누르딩? 한 색으로 되어 있구요.]
김치 국물이 별로 없어요.

예전에 엄마나 시어머님이 담가 주신 것은
국물이 자박하게 생겨 있고
이렇게 푸르딩딩 누르딩딩한 색으로 잎이 변해 있지 않았거든요.

꼭 좀 가르쳐 주세요..
처음으로 한 김장인데..
좀 속상하고
내년에 참고해서
같은 실수 안하려구요...

감사합니다.

IP : 119.196.xxx.14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초보
    '10.12.17 2:14 PM (180.66.xxx.138)

    저도 올해 처음 김장 담그어 봤어요. 제 것은 짜게 되어서 푹푹 먹지를 못하는군요. 찌개로는 좋은데..너무 아쉬워요.
    아마도 1번은 김치 담글 때 배추를 살살 다루지 않으면 그런 것 같구요. 2번은 잘 모르겠는데... 저는 다음 날 무와 배를 갈아 걸른 물에 소금을 좀 타서 김치통에 부었었어요.
    고수님 플리즈~

  • 2. ^^
    '10.12.17 2:33 PM (218.232.xxx.59)

    통에 담아서 겉잎으로 김치를 덮으신건 잘하셨어요^^
    근데 통에서 김치가 익으면서 약간 올라와요
    그래서 가끔 위생장갑낀 손이나 국자로 꾹~ 꾹~~ 눌러줘요
    요렇게 하면 김치위에 그런것이 생기지 않아요

    풋내 나는것은 김치가 아직 익지 않아서 그럴께에요
    쫌 두고 익으면 맛있어질꺼에요 ^^

  • 3. 풋내는
    '10.12.17 2:39 PM (121.187.xxx.98)

    덜 절여졌나봐요
    제대로 절여졌으면 풋내 안나요..
    그리고, 올라온 김치는 윗분말씀대로 손으로 꼭꼭 눌러주세요..
    그럼 물이 올라와요..
    자주 그렇게 눌러주세요.
    배추가 국물 속으로 잘 잠겨있고 공기와 덜 접촉해야 맛이 덜 변해요.

  • 4. ...
    '10.12.17 3:31 PM (121.141.xxx.181)

    요즘 김장 담근지 얼마 안되어서
    아직 안익어서 풋내나는 겁니다.
    전라도 말로 김치가 미쳤다는...
    익으면 괜찮아질것이구요.

    저희는 김장 담근 다음날 통을 열어 김치국물 간을 봅니다.
    짜면 육수물(멸치 다시마 북어대가리 표고버섯 건새우 양파) 끓여 식혀서 부어주고
    싱거우면 육수물에 소금과 젓국 넉넉히 넣어 짭짤하게 물을 부어줍니다.

    꼭꼭 누르는 건 기본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2211 렌즈삽입술 해보신 분 계신가요? 12 눈나쁜여자 2010/12/17 1,330
602210 중성지방 하고 어혈하고 다른거예요? 1 꺄오 2010/12/17 247
602209 "서울시의회, 예산안 연내 처리키로… 오세훈은 검찰 고발 " 1 .. 2010/12/17 275
602208 윌튼 쿠키 커터 101 쿠키 2010/12/17 273
602207 커텐을 꼭 해야할까요? 3 도움좀 2010/12/17 588
602206 아들자랑하고싶어서 입이 근질근질~~~~~~ 15 아들자랑 2010/12/17 1,991
602205 李대통령 "10년 내다보고 교육정책 만들라"(상보) 2 verite.. 2010/12/17 266
602204 초등학생아들괴롭히는놈들 3 어떻게 2010/12/17 432
602203 저도 궁금해요. 가베 방문 수업 비용요 3 더불어서 2010/12/17 1,105
602202 82에는 공부잘하는 자녀들이 많네요. 8 수능 망친 .. 2010/12/17 1,574
602201 한의사,치과의사 페이에 대해 말이 많은데요... 9 2010/12/17 3,298
602200 윤종신 뮤비 보셨어요? 3 초호화 캐스.. 2010/12/17 812
602199 서울역에 먹을 만한데 어디 있을까요? 3 .. 2010/12/17 430
602198 32평 관리비 얼마나 나오나요? 11 관리비 2010/12/17 2,033
602197 엽산,비타민,밀크시슬... 다먹긴그렇고 약사님 등 조언부탁드려요 2 건강 2010/12/17 806
602196 석류를 많이 샀는데요 날씨좋아~ 2010/12/17 249
602195 조카딸한테..줄선물... 1 선물... 2010/12/17 188
602194 김장김치에서 약간 풋내가 나고 기타 궁금증. 4 김장공부 2010/12/17 552
602193 대학 분교 얘기가 나와서... 옛날 얘기... 26 gma..... 2010/12/17 2,448
602192 이사하고 몇주째 사람없는 윗집 7 과연 2010/12/17 1,305
602191 무릎 길이 스커트 1 .. 2010/12/17 299
602190 <진보집권플랜> 조국교수와 오연호씨 대담집 강추합니다!! 4 동지 2010/12/17 314
602189 은성밀대 말고 또 괜찮은 브랜드없을까요?? 물걸레 2010/12/17 387
602188 자장과 하이라이스의 맛 어떻게 다른가요? 4 차이 모른다.. 2010/12/17 541
602187 수학선생님 과 선배맘님들~ 1 ? 2010/12/17 379
602186 목화솜3.75키로 너무 가벼울까요?? 3 이불 2010/12/17 529
602185 갤럭시 탭 삼성 언론 플레이 짜증나요 7 마고 2010/12/17 814
602184 어린이집도 연말정산(교육비) 대상인가요? 6 궁금 2010/12/17 3,662
602183 상사의 지시사항.. 팀원에게 전달 안해도 될 사항인지 봐주세요. 3 .. 2010/12/17 431
602182 뵈요,봬요..어떤게? 8 헷갈려요 2010/12/17 1,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