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앞으로는 모든 농산물이 비쌀 것 같아요

그냥 조회수 : 458
작성일 : 2010-09-29 22:50:42
4대강 때문에, 날씨 때문에 배추, 무우, 파, 시금치, 호박, 상추 등이 비싸다고 하는데
물론 그런 것들의 영향도 분명 크지만,
지금까지 간과했던 중요한 변수가 하나 있는데 그 게 중국의 경제수준 향상이 아닌가 합니다.

중국이 못 살았을 땐 중국이 우리나라에 아주 싸게 수출했지만,
중국이 경제발전함에 따라 중국내에서 인건비, 농지, 비료, 기타 생산비가 올라
우리나라에 수출하는 단가도 올라갈 겁니다.

지들이 못 살았을 땐 좋은 걸 수출했지만,
어느 정도 먹고 살만한 수준이 되면 지들도 좋은 걸 먹고 싶어할 테니 그들의 질 좋은 농산물을 싸게 먹긴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날씨 변수는 차치하고라도, 4대강 사업 때문에 없어진 농지와 중국의 경제발전이란 변수 때문에
내년에도 아니 앞으로는 농산물값이 꽤 비쌀 것 같아요.
그러다 보면 농지값도 오르지 않을까 싶네요.

여유돈 있으면 시골에 땅 사세요.

제 부모님은 매년 배추를 150포기정도 심어 김장 담아 자식들에게 주시는데 올해는 배추를 250포기쯤 심었는데 저번 추석 때 가보니 평소와 별 다름없이 그런데로 잘 자라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무우도 평년에 심는 정도로 심었는데 그것도 그런대로 잘 자라고 있는 것 같았구요.

앞으로 수확 때까지 50일간의 날씨가 중요할 텐데, 어떻게 보면 다음달 10월에도 날씨가 좋지 못해(추운 날이 많아 아니면 추위가 일찍 찾아와) 작황이 좋지 않을까 하는 염려도 조금은 있습니다.
이렇게 배추값이 계속 비쌀 줄 알았다면 더 많이 심어 주위 사람들에게 배추 나눠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현재 빈 공간에) 배추 1천 포기는 심을 수 있는 밭이 있는데 (도시에서 바빠서) 그냥 비워 놓았는데 뭣이라도 심었으면 좋았을 걸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저는 1~2년전쯤부터 중국이 먹고 살만하면 중국에서 수입해 오는 농산물 값이 오를 거라 예상하고, 한편으론 관리하기 힘들어 팔고 싶었던 시골 땅을 팔지 않고 활용하기로 마음 먹었답니다.
IP : 61.247.xxx.146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랑...
    '10.9.29 10:57 PM (222.112.xxx.182)

    똑같은 생각하고 계신듯..................
    앞으론 채소값.......계속 그럴듯해요....
    돈벌데가 없으니 저장불가능한 웰빙트렌드에 맞춰 채소로
    돈벌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기도 한것같은데...
    농사지어서 돈벌긴 유통마진때문에 힘들테지만....
    가족먹을것은 재배하여 먹어야할것같어요...........
    에그플레이션,식량전쟁이 현실화 되는거죠....ㅉㅉㅉ

  • 2. 그냥
    '10.9.29 11:10 PM (61.247.xxx.146)

    맞아요, 내가 팔려고 하면 값이 싸 돈 못 벌지만 (그래서 농민은 부자가 될 수 없음), 내가 사먹으려면 비싸서 마음껏 사먹을 수 없어요. 하지만 자급자족할 농지가 있으면 농산물 값이 계속 비쌀 것 같으면 주말(여유시간)을 이용해 직접 생산해 먹을수 있지요.
    오늘 마트에 가서 보니, 대파 한 움큼에 7500원, 무우 한 개에 3900원, 시금치 한 봉지에 3900원, 고구마 100g에 500원 등등 비싸더군요. 추석 때 부모님 밭에서 보았던 여러 농산물들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밭에서는 그냥 굴러다니는 것들인데.. 추석 때 호박잎을 많이 뜯어왔는데 그걸로 국 잘 끓여 먹었습니다. 더 뜯어오고 싶은데, 다음에 갈 때도 성성할지.. 제가 밭에 올 6월에 고구마 좀 심어놓았는데 잘 자라고 있는지 궁금해서 이번 주말 가볼 생각입니다. 거기에 감나무도 몇 십주 있는데 감이 얼마나 매달려 있는지도 궁금하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2448 맛있는 순대요^^ 10 순대 2010/09/29 1,127
582447 펑해쪄여~~~~(냉무) 11 곧지울게여 2010/09/29 500
582446 보라돌이맘 책에이어서... 2 요리책 2010/09/29 929
582445 슈퍼싱글 사이즈 침대 추천해주세요 - 프레임이 튼튼하고 디자인 무난한 걸로요 1 BBB 2010/09/29 432
582444 떠그덩~~ 폐식용유, 참기름으로 둔갑…식당으로 팔려나가 - SBS 3 참맛 2010/09/29 645
582443 휴대폰에 소액결제로990원이 결재되었다고 문자가 와요 6 어디다 신고.. 2010/09/29 848
582442 아는분이 도예 전시회를 연다고 하는데 ...뭐 들고 가면 되나요? 7 전시회 2010/09/29 447
582441 백화점지하에 파는 찜질팩 이름이? 2 새벽바다 2010/09/29 436
582440 채소값은 이렇게 비싼데.. 왜 쌀값만 이렇게 싼가요? 3 두아이 엄마.. 2010/09/29 628
582439 초5 딸아이 화상영어 시키려는데요... 1 222 2010/09/29 481
582438 가방 어떤게 좋을까요? 2 초등수학여행.. 2010/09/29 411
582437 바질 그램수가, 물에 씻기전에 무게를 기준으로 해야하나요? 4 바질페스토 2010/09/29 310
582436 현미밥해먹으려는데 압력솥에하면되지요? 3 현미밥? 2010/09/29 538
582435 결혼 안하길 잘했지 옛사랑 2010/09/29 844
582434 아래 짝퉁가방 글 보고... 10 짝퉁? 2010/09/29 1,618
582433 18년전혼수로 가져온 무거운 솜이불 12 마카로니 2010/09/29 1,715
582432 유니 XX에서 9900원짜리 옷사고 가방덤으로받고... 8 ........ 2010/09/29 2,033
582431 오사카 어느 사찰인데 사슴이 막 돌아 다녔어요. 14 글로벌 82.. 2010/09/29 1,025
582430 전세반환금 공탁, 상속 4 전세금 2010/09/29 447
582429 인생은 아름다워에서요 8 궁금해 2010/09/29 1,627
582428 농산물 가격 폭등의 또 다른 요인 - 농산물 투기꾼들의 장난 3 해남사는 농.. 2010/09/29 658
582427 독일 보이러(beurer) 전기요 써보신분? 1 beurer.. 2010/09/29 1,552
582426 전세값 속상하네요.. 6 속상.. 2010/09/29 1,536
582425 성균관 팬님들 이거 보셨나욧? ㅎㅎ 10 성스 2010/09/29 1,777
582424 구스이불살려고 유명한 그레*스님 블러그에 갔는데, 어떻게 사야되는거지요? 6 구스 2010/09/29 1,319
582423 투자할 때 현재가치구하는 방법 부탁드립니다.(고수님들께-리포트가 급해서요)꾸뻑 6 재무초보 2010/09/29 892
582422 고추가루 디립다 부어서 엄청시리 매운 부추김치..어찌해야할까요. 4 속쓰려요ㅜ... 2010/09/29 313
582421 앞으로는 모든 농산물이 비쌀 것 같아요 2 그냥 2010/09/29 458
582420 김장 유기농 배추 예약 받는 곳이이 있다면..... 1 월동준비 2010/09/29 330
582419 40대에 내가 즐기면서 돈벌수 있는일~ 4 좋아좋아 2010/09/29 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