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국이나 찌개하면 보통 몇 끼니 정도 드세요?

밥상이여 조회수 : 2,017
작성일 : 2010-07-15 16:31:34
이곳저곳 기웃거리며 다른 분들 밥상 사진을 보다 보며
참 열심히 사시는 구나, 우리 집 밥상은 어째 저리 빈약한가 ㅠㅠ
뭐 흉내낼 만한 좀 쉬운 건 없나 하다
한참만에야 제 밥상이랑 큰 차이점 또 하나를 발견했어요.

어이쿠!!! 다른 집 밥상에서는 국이나 찌개가 매일 바뀌는군요!!!

밥은 끼니마다 지어먹는데 국이나 찌개는 조금씩 해도 최소한 이틀은 가거든요.
심심하게 끓인 미역국도 14냄비에 끓였는데도 불구하고 이틀은 가요.
간 따로 안하고 12냄비에 끓인 김치찌개는 그래도 짜서 그런지 3일도 가고요.
육개장이나 감자탕, 곰탕 같은 건 조금씩 하기 힘드니까 큰 곰솥에 하면 최소 5일은 가더라구요.
더워서 그런가 싶어서 냉국으로 해서 올려도 이틀은 가네요.

음식들이 냉장고에서도 상한다는 말을 들어서 한 번 하면 후딱 처리하고 싶은데 그게 안되요.
하루 넘기면 질려서 더욱 덜 먹다보니 점점 체류시간이 길어지는 걸까요? ^^;;;;

저희 2인 가족이고, 아침하고 저녁만 식사하고요.
찌개 있음 국 안하고, 국 있음 찌개 안해요.

다른 분들도 국물 요리들은 한번 하면 며칠씩 두고 드시나요?
IP : 118.127.xxx.203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7.15 4:35 PM (114.206.xxx.73)

    두번 먹을만큼 해요.

  • 2. 저녁..
    '10.7.15 4:36 PM (122.128.xxx.157)

    에 끓이면 아침까지 먹을만큼 합니다...

    제 능력이 딱 그거라서...ㅠㅠ

  • 3. 저도
    '10.7.15 4:31 PM (222.98.xxx.43)

    두번 먹어요
    양조절 실패해서 많이 하게된날은 두번 먹을양 만 두고 나머지는 냉동실로~

  • 4. 저희는
    '10.7.15 4:38 PM (124.49.xxx.228)

    3식구인데 두끼 정도 먹어요.
    두끼 먹을 때도 연속으로 먹지 않고 중간에 다른거 한번 끓입니다.

  • 5. 저도 심하게는
    '10.7.15 4:33 PM (211.213.xxx.91)

    원글님 내놓으셨다는 이틀 이상도 내놓았다가 핀잔 들은 적이 많았는데요
    보통은.... 저녁에 먹고 아침에 내놓을 정도로 끓여요
    요즘엔 요령(?)이 늘어서 많이 끓인 국은 미리 덜어서 얼려놓았다가 며칠있다가 내놓곤 했더니 나름 괜찮더라구요
    얼렸다가 먹는 것이 좀 그렇기는 하지만 매일 새로운 국 할 자신이 없으면 이것도 한 방법 ^^

  • 6. 원글요
    '10.7.15 4:40 PM (118.127.xxx.203)

    흐이쿠! 다 두끼면 땡! 이신건가요? ;;;;;
    저는 꼭 냄비 크기만큼 되던데요. 더 작은 냄비는 없는데요. ;;;;
    제 주부 내공이 아직 부족한건가요? ㅜ.ㅜ

  • 7. ...
    '10.7.15 4:42 PM (211.209.xxx.115)

    저희도 2인인데 국냄비, 뚝배기 제일 작은걸로만 써서 딱 그 끼니 먹을만큼만 합니다.
    반찬은 한번 하면 며칠을 먹어야하니 국이나 찌게로 자꾸 바꾸어주죠.

  • 8. ..
    '10.7.15 4:52 PM (122.35.xxx.49)

    냄비를 밀크팬으로 써요^^;
    모양은 좀 웃긴데 무조건 한끼에 해치우려구요.
    우리는 매일 집에서 먹는게 아니라서..남으면거의 버리게 되더라구요.

    그런데 우리집은 국은 잘 안먹고
    주로 한그릇음식이거나 메인이 한개인데, 이경우에도 한번먹을양으로 최소한..으로 합니다
    환경보호나 자원절약이거나 제가 알뜰해서가 아니라..

    음식물쓰레기가 너무 싫어서요.

  • 9. 김치찌개
    '10.7.15 4:49 PM (210.113.xxx.179)

    혼자 밥을 먹기때문에 찌개나 국은 잘 안 끓이지만 가끔씩 김치찌개 먹고 싶을때는 한솥 끓여서 조금씩 덜어 먹어요. 한 4일정도 먹는데 매끼 먹는건 아니고 4일 동안 한 3-4끼 정도 먹는 듯.

    전 일부러 밥도 많이 해서 얼려두고 먹어요. 매일 밥솥씻는거 넘 귀찮고 어차피 전 갓 지은밥이나 해동한 밥이나 그냥 다 괜찮아서요.

  • 10. 아뇨
    '10.7.15 4:54 PM (222.101.xxx.230)

    콩나물국 무국 시금치된장국 같은건 한두끼먹지만
    미역국이나 육개장 이런것들은 들통으로 많이 끓여서 며칠씩 먹습니다
    근데 중간중간 된장찌개나 순두부 아니면 김치찌개 이런거 끓여서 먹구요

  • 11. 저도
    '10.7.15 4:59 PM (121.157.xxx.15)

    신랑이랑 두식구인데
    거의 한끼에 다 먹게끔 준비하고 남으면 한두번 더 먹습니다.
    뭐 둘이먹어도 4인분쯤 먹는 부부라 ;;;
    국을 많이 끓였어도 매일 먹으면 질리니깐 중간중간 다른찌개 한번씩 올리고 남은국은 냉장고에 넣어뒀다 또 먹기도 해요....
    대신 밥은 한꺼번에 많이 해서 냉동해두고 데워서 먹어요
    맞벌이라 하루에 같이 먹는건 저녁 한끼뿐이라서요...

  • 12. ..
    '10.7.15 5:06 PM (211.44.xxx.50)

    저두 두 식구인데 두끼 정도면 끝날 정도의 양만 합니다.
    원글님도 양을 더 확 줄여보세요.

    아! 또 다른면으로 생각해보면, 원글님네 식생활은 국이나 찌개를 별로 안드시는 쪽일 수도 있어요.
    그러니 남는 것일지도..
    국이나 찌개는 사실 나트륨 섭취율을 너무 높이기 때문에
    아주 싱겁게 양념을 하지 않는 이상, 집에서는 아예 상에 안올리는 것도 나쁘진 않아요.
    국 있어야 밥 먹는다 하는 습관도 좋은 것만은 아니거든요.

    원래 국이나 찌개 잘 먹는데 양만 많이 하시는거라면, 만드는 양을 확 줄이시는 수 밖에 없겠지요^^;

  • 13. ..
    '10.7.15 5:51 PM (117.110.xxx.2)

    저는 둘이 먹는데도 24양수에 듬뿍 끓여서 냉장고에 냄비째 통채로 넣어두고..
    다먹을때꺼정 사흘이고 나흘이고 작은 냄비에 데워 먹습니다.. ^^;;
    입맛 소박한 남편이 진심으로 고맙네요..ㅎㅎ 그저 국하나 끓여달라는 것 뿐인데도 투덜거리는 데.. 그래서 키톡은 절대 남편한테 안보여줍니다..

    남편이 국없음 밥 못먹노라 하는데.. 매일 끓일 자신은 없어요..
    주로 미역국, 소고기무국, 콩나물국 같은 겁니다. 찌개도 두끼 정도는 먹어요.
    그래도 절대 버리는 일은 없어요.. 무조건 다 먹어요..ㅎㅎ

  • 14. ...
    '10.7.15 5:52 PM (116.41.xxx.7)

    저희도 두 식구고,
    아침엔 국 저녁엔 찌개로 끓이는데, 대부분 한 번 어쩌다 남으면 두 번이요.
    아예 밀크팬 아니면 스타우브 미니팟에 끓입니다.
    어릴 때 모친이 한솥 끓여 일주일 넘게 내시는 거 넘 싫었어요ㅡㅜ
    울 남편이 늘 장모님께 감사해하죠 ;;

  • 15. 원글이
    '10.7.15 6:06 PM (118.127.xxx.203)

    댓글 읽으며 가만히 생각해보니,
    저흰 국물이 없으면 안되는 사람은 저 뿐이고요, 저 역시 주먹만한 소스용기에 담는 정도예요.
    대신 반찬은 그날 한 건 그날 다 소비되고요.
    흠...우리집 사정을 윗님들 댓글을 보고서야 깨닫다니, 스스로 어이없어하고 있네요. ㅋㅋ

    그럼 역시 제가 먹는 양에 비해 많이 만들고 있는 거네요.

    글구 위에 쩜쩜님!
    저두 예전에 그랬었어요. ㅋㅋ
    밥도 최대한 많이많이 해서 내내 먹고,
    국이든 찌개든 큰 솥으로 하나 가득 해서 ... 전 끼니마다 그걸 다 데워먹다보니
    모든 국이며 찌개의 곰탕화가 ... ㅎㄷㄷㄷ
    그러다 식재료 구매처를 생협으로 바꾸니 냉장고가 터질 지경이 되어서
    요리의 양을 줄이기 시작한거예요.

    댓글에서 힌트 얻어서 많이 했다 싶은 날은 얼려두고
    어떻게든 양을 좀 줄여야겠네요.

  • 16.
    '10.7.15 9:34 PM (211.224.xxx.172)

    둘이사는 데 찌게든 국이든 딱 한끼 먹을 분량만 합니다. 손이 작아서 그런지 많이 못하겠더라구요. 나물 종류도 많이 해봐야 두끼 먹을 분량.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1145 초등 3학년 핸드폰 구입할려고 하는데 뭘 고려해야 할까요? 1 나쁜엄마 2010/07/15 282
561144 말대꾸 안하는 남편. 속상합니다. 5 2010/07/15 785
561143 스텐무선 전기주전자...해밀턴비치 주전자 사용해 보신분 댓글좀 달아주세요 3 전기포트 2010/07/15 1,305
561142 인터넷 카페에서 친한 몇몇끼리만 언니동생하며 야자트는 거 어떠세요? 8 아무개 2010/07/15 750
561141 면생리대 쓴지 석 달째 13 진즉 쓸 걸.. 2010/07/15 2,298
561140 강화마루 얼룩.... 뭘로 지우나요? 1 청소 2010/07/15 486
561139 생리통 약 먹으면 괜찮아요? 21 궁금 2010/07/15 1,252
561138 개인 수영 레슨 vs. 단체 강습 3 수영 가르치.. 2010/07/15 837
561137 타블로 표절 기사 떳네요... 23 언론이란 2010/07/15 9,044
561136 급)질문...해상운송비 를 영어로 뭐라고 하나요? 8 죄송해요 2010/07/15 4,533
561135 몸살감기땜에 아파서 죽을거 같아요. 빨리 낫는 방법 없나요? 7 ... 2010/07/15 774
561134 좋은 팔자는 정말 따로 있는 거 같네요 - _ - 30 부러울 뿐이.. 2010/07/15 14,033
561133 천가방의 지존은??? 2 사고파~ 2010/07/15 1,215
561132 스토리타운 cool 2010/07/15 601
561131 대통령이 칭찬한 남이섬, 알고 보니 '친일파 재산' 5 소망이 2010/07/15 704
561130 목동에서 삼성전자 수원직장으로 출퇴근 하시는분 계세요? 10 .. 2010/07/15 2,502
561129 안상수 “비주류가 많아지는 것 같다” 첫 회의부터 내홍 1 세우실 2010/07/15 225
561128 자생한방병원 추나요법 , 봉침 부작용?? 6 급해요 2010/07/15 2,926
561127 KTX에 여행용 가방 보관할 만한 자리 있을까요? 4 김상덕칭구 2010/07/15 1,918
561126 영어 문장 좀 봐주세요 1 help 2010/07/15 257
561125 국이나 찌개하면 보통 몇 끼니 정도 드세요? 16 밥상이여 2010/07/15 2,017
561124 세탁하니 물빠지네요 ㅠㅠ 수영복 2010/07/15 161
561123 김탁구에 나온 한자, 80%는 못 읽을 것 ”살인자(殺人者) 19 짱 ! 2010/07/15 2,531
561122 호두까기인형 발레~ 4 발레 2010/07/15 294
561121 82 중독자 우리 언니.. 48 언니의 동생.. 2010/07/15 5,445
561120 박상민씨 결혼 속인거요 팬인데 이해가 안되요 5 비원노래 너.. 2010/07/15 2,351
561119 일렉트로룩스 청소기 쓸수록 불만이 많이 생기네요...ㅠㅠ 3 유희맘 2010/07/15 1,717
561118 박카스를 대량구매하면 싸게 살수 있을까요? 6 꿀꺽 2010/07/15 1,087
561117 저~밑에 톳얘기가 나왔길래... 2 톳이라.. 2010/07/15 329
561116 교원평가...선생님들 다 아시나봐요 8 2010/07/15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