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AP 보도에 주한미군 확인…국방부 "침몰과 무관"
러시아 조사단 떠나며 "천안함 한국 조사결과 존중"
천안함 침몰 사건 20여분 전까지 불과 75해상마일(139㎞) 떨어진 곳에서 한국과 미국이 한국 잠수함을 가상적으로 설정해 추적하는 대잠훈련을 했다고 주한미군이 6일 공식적으로 밝혔다.
< 에이피 > (AP) 통신은 미군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천안함이 침몰하기 전 75마일 떨어진 곳에서 미군 구축함 2척과 다른 함정들이 한국 해군의 잠수함(정)을 가상적으로 삼아 추적 훈련을 벌였다고 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주한미군 대변인 제인 크라이턴 대령은 이 훈련이 3월25일 22시에 시작해 26일 21시에 종료됐으며, 그 이유는 천안함 내의 폭발(blast) 때문이었다고 확인했다.
통신은 서방전문가들이 여전히 그날 백령도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의문들을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의하지 못하도록 돼 있기 때문에 익명을 요구한 한 관리는 "천안함은 계획적인 공격이라기보다는 적개심을 가진 지휘관의 소행이거나, 사고 또는 훈련이 잘못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26일은 14~21시까지 해상으로 침투하는 북한 특수전부대를 차단하는 훈련이 있었으며, 이 가운데 17시까지의 훈련에 대잠훈련이 있었다"고 말하고 21시 이후엔 훈련이 종료되고 야간 경비임무를 수행하도록 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이 훈련은 천안함 침몰 지점과 170㎞ 떨어진 곳에서 이뤄졌기 때문에 천안함 사건과는 무관하다고 원 대변인은 덧붙였다. 훈련 지점에 대한 설명이 한·미가 엇갈리는 데 대해 한 군사전문가는 바다에서 움직이는 해상 기동 훈련은 수십㎞가량 되므로 거리를 말할 때 이런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군 고위 관계자는 이날 "지난달 31일 입국해 일주일간 천안함 사건에 대한 조사를 했던 러시아 조사단 3명이 오늘 아침 항공편으로 돌아갔다"며 "러시아 조사단은 '짧은 시간 내 훌륭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 것에 대해 경의를 표한다. 한국에서 이뤄진 조사 결과를 존중한다'는 의사를 표했다"고 밝혔다.
강태호 권혁철 기자 kankan1@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천안함 침몰직전까지 한미 대잠수함훈련
기린 조회수 : 435
작성일 : 2010-06-08 06:38:27
IP : 59.3.xxx.149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이제야
'10.6.8 7:19 AM (110.9.xxx.43)밝혀지니까 군측에서 실토를 하네요.
전에 자게에 펌한 기사에서 한준위가 바닥에 있던 미국잠수정에 갔다가 일을 당했다고 나와있던데.
전혀 천안함 함수,함미와는 떨어진 장소였다고 그런 말은 아예 하지도 않더니 그럼 이제 그 얘기도 나와야 하는거 아닐까요?
그렇다면 한준위가 자식같은 병사들이 배안에 있을지도 몰라서 내가 들어가야 한다고 한 말과는 어떻게 연관지어져야 하는건가요.2. 국민은
'10.6.8 8:48 AM (119.197.xxx.46)진실을 원합니다.
이런 식으로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 하는 것을 국민이 모르려 생각한다니.......
정말 이해가,용서가 안되는 놈들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