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과 부동산시장이 과열 조짐을 보이는 것도 풍부한 유동성이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3월2일 1018.81에서 지난 17일에는 1329.00으로 30% 급등했다. 서울 강남의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올 들어 5000만~2억원 올라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던 2006년의 90~95% 수준을 회복했다.
그러나 실물 경제는 여전히 얼어붙어 있다. 2·4분기 들어서도 고용과 민간소비는 최악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실물경기 회복과 무관하게 자산 가격이 오르는 것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경기침체 속에 물가가 폭등하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이어져 우리 경제가 장기간 회복 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지난 16일 국회 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800조원은 분명 과잉유동성"이라고 진단했다. 같은 날 김종창 금융감독원장도 "(과잉 유동성이) 부메랑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떠도는 돈 800조 … 부메랑 우려’…침체속 물가급등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마.딛.구.나 조회수 : 948
작성일 : 2009-04-19 20:45:12
IP : 220.78.xxx.6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마.딛.구.나
'09.4.19 8:45 PM (220.78.xxx.66)http://media.daum.net/economic/view.html?cateid=1037&newsid=20090419173707519...
2. ..
'09.4.19 8:51 PM (211.201.xxx.110)"만약 (통화량 증가가) 200조원이 넘어가게 되면 물가는 10% 이상 오를 것이고, 이 상황에서 외환시장까지 흔들리게 되면 하이퍼 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면 한국은행도 파산할 수 있어요."
sde님이 오마이뉴스에서 3월달에 인터뷰한 내용의 일부입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view.html?cateid=1041&newsid=2009031709...
이거 아무리 머리를 굴러도 부동산 거품을 유지하려고, 전국민을 지옥으로 떨어뜨리려는
생각밖에 안드는군요.
sde님은 이런식으로 정책을 유지한다면 올해말이나 내년초에 하이퍼인플레이션과 국가부도를경고했는데, 미치겠네요.3. ..
'09.4.19 9:07 PM (211.201.xxx.110)그러나 sde님 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되면 부자의 기준이 부동산이 아니라달러라고 하는군요. 한국의 돈이 똥값이 되니~
부동산 많다고 안심하기는 어려울듯 합니다.4. 잘난 척~
'09.4.19 9:27 PM (121.133.xxx.232).. 님 말씀을 유식하게 말하면 <인플레이션의 역설>이라고 합니다.
저도 요즈음 공부해서 알았죠.
정말 생존을 위하여 경제 공부를 취미로 가져야 할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