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주방저울, 있으면 좋을까요?
제가 할 줄 모르는 요리 위주로만 외식하는 편이구용. ^^;;
근데 바깥 음식 맛 없어서 제가 직접 해 먹어볼라구요, 손이 많이가서 귀찮기는 하겠지만요.
집에는 계량스푼정도잇는데 주방 저울 있으면 다양한 음식에 도전해 볼수 잇을거 같기도 하구요...
베이킹도 할 수 있을거 같아서요.
있을면 잘 사용할까요?
만약 산다면 제품 추천 부탁드려용...
1. ...
'08.5.19 5:22 PM (203.142.xxx.240)ㅎㅎㅎ
주방저울이 있으면 다양한 음식에 도전이라...
딴지가 아니고
절대 그럴 것 같지는 않아요.
만약 그런다 하더라도 한 두번이겠지요^^2. ..
'08.5.19 5:25 PM (203.229.xxx.253)다양한 요리까진 아니지만.. 있으면 종종 써요.
요리 초보라 책 보다가 손대중으로 해도 감이 없을때
망칠까봐 첨엔 계량해서 얼마나 넣어야하는지 배웁니다.3. 저는
'08.5.19 5:25 PM (125.143.xxx.53)가끔 쓰거든요
베이킹할때 주로 사용하고 ,,,눈대중으로 하더라도 처음엔 어느정도 저울이 필요하니까요
이유식 만들때도 썻고,,,
타니타 꺼로 샀어요4. 저울
'08.5.19 5:26 PM (211.177.xxx.11)근데 저울은 기본적으로 갖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잘 안쓰여도 아주 가끔씩은
쓸일이 생겨요. 베이킹도 하실 생각이면 당연 있으셔야죠.5. 음
'08.5.19 5:30 PM (122.17.xxx.12)베이킹 외에는 주방 저울 필요없어요.
요리책봐도 다 계량스푼이나 계량컵 쓰거든요.
베이킹하실꺼면 기본이고 아니면 별로 필요없는 거 같아요.6. 제가 봐도
'08.5.19 5:42 PM (219.254.xxx.189)베이킹하는거 아님 필요없어요. 저도 한때 베이킹한답시고 저울사서 많이했는데
역시 내길이 아님을 깨닫고 지금은 그냥 일반 요리나 하는데 전혀 안써요7. 비추천
'08.5.19 5:45 PM (222.109.xxx.185)베이킹을 하신다면 필수품이지만, 빵/과자 같이 계량이 필요한 요리를 잘 안하신다면 그냥 짐만 되지 않을까요?
있으면 정말 아주 아주 가끔은 쓰겠지만, 없어도 별로 상관 없을 것 같은데요.8. ..
'08.5.19 5:47 PM (121.152.xxx.222)베이킹과 천연화장푸/비누 만들 때는 필수적이고
다른 때는 거의 안씁니다.
이왕 사실거면 전자저울 사시고요. 마트 보다 인터넷이 훨씬 싸요.9. 베이킹
'08.5.19 5:47 PM (121.152.xxx.107)위에도 다 써주셨지만 베이킹 이외에는 주방저울 사용할 일 거의 없어요.
베이킹도 계량스푼으로 환산해놓은 게 있어서 초반엔 없이도 충분히 버틸 수 있구요.^^;
당장 필요한 게 아니라면 짐만 될듯 해요10. 저는
'08.5.19 5:49 PM (218.232.xxx.15)지마켓에서 만 얼마주고 전자저울 샀다가 에러나서 못쓰고, 비싼 돈 주고 다시 사기는 그렇고 해서 다이소에서 이천원인가에 바늘저울 샀는데 만만하게 쓰기는 싼게 더 좋네요. 정확한 계량을 필요로 하는 베이킹을 하는 건 아니어서 가능할지도 모르지만요.
11. 살까말까?
'08.5.19 5:50 PM (122.35.xxx.158)원글인데용...
친절한 답변 감사드려용...
요즘 왜이리 먹고싶은게 많은지요...
그래서 생각해 낸게 직접해먹자였거든요...
근데 사지 말고 쫌만 더 버텨볼랍니다. ^^*12. ...
'08.5.19 6:12 PM (122.37.xxx.69)요리할 때 쓰지는 않지만 있으면 나쁘진 않아요.
가끔 음식물이 많을 때 저울로 재서 나누곤 해요.
고기 사오면 200그람씩,
고추가루 근이 많나 검사도 하고,
남들에게 나누어 줄 때 공평하게 하고,
한마디로 있으니까 재미로 써요^^13. 저는 필수!
'08.5.19 7:17 PM (121.131.xxx.49)저는 요리책 따라할 때에도 꼭 필요해요. 자스민님 레시피도 양념장이 100g당 몇 큰술.. 이런 식이잖아요. 저는 눈대중, 손대중이 절대로 안 되는 스타일이라서 필수입니다.
물론 취미가 베이킹이라 더 필요하기도 해요. ^^14. ,,
'08.5.19 7:52 PM (221.153.xxx.153)전 베이킹 안해도 주방저울없는 부엌은 상상못해요
주방저울 꼭 필요해요...
꼭 전자저울아니어도 국산 협성제품이던가?...이게 가장 쓰기편하고 ,정확하게 잘나오는것같아요
가격도 싸고15. 전 애용자!
'08.5.19 8:07 PM (203.100.xxx.20)국수 삶을 때라든지 고기 무게 잴 때 등등...
저울을 이용해서 하니까 음식이 항상 같은 맛이 나요.16. 저도 필수
'08.5.19 9:31 PM (116.126.xxx.107)얼마전에는 갖고 있던 저울이 깨져서 새로 장만을 했는데 무게가 잘 안맞아서
다시 장만했어요.
저도 저울 없는 주방 ,, 생각도 못해요17. 아이 이유식
'08.5.19 10:35 PM (123.215.xxx.88)할 때도 필요해요. ^^
18. 구름
'08.5.19 11:10 PM (58.224.xxx.156)저두 국수 삶을때 정말 필요하죠 1인분에 딱 100g 이잖아요
19. 가끔
'08.5.19 11:14 PM (222.98.xxx.175)가끔 무 200그람 이렇게 나오면...눈대중없는 저는 필요해요.
하다못해 카레 뒷봉지에 보면 감자 대 1개(200g) 이렇게 씌여있으면 왠지 한번 재보고 싶어지지 않나요?ㅎㅎㅎㅎ
1000냥 샵에서 바늘 저울로 1키로까지 재는거 사서 쓰는데 베이킹 안하니 그걸로도 충분합니다.
아....그리고 고기 냉동할때요. 저희는 거의 고기를 안 먹어서 카레할때 반근 사서 150그람은 쓰고 150은 냉동합니다.20. ..
'08.5.20 1:22 AM (116.120.xxx.169)마트에 5천원 안팎의 저울도 많더군요.
눈금만 잘 맞으면 각겨무시하고 하나는 있어야되던데요.
즉 있다가 없으니...꼭 사다놔야하는게 저울이더군요.
며칠전 홈*러스서 정육샀다가 종이팩 겹쳐놓은거보고 무게달아보는데 일등공신이 바로 그 저울이죠.
저두 저울없는 주방 상상도 못합니다.
제과제빵하면..저울은 필수이고..
일반저울사다가 디지털사고 싶고...그담 저 정밀한걸루 사다놓고싶은게 그 저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