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주방저울, 있으면 좋을까요?

살까말까? 조회수 : 1,616
작성일 : 2008-05-19 17:21:35
외식을 그다지 안 좋아라하는 주부인데요...

제가 할 줄 모르는 요리 위주로만 외식하는 편이구용. ^^;;

근데 바깥 음식 맛 없어서 제가 직접 해 먹어볼라구요, 손이 많이가서 귀찮기는 하겠지만요.

집에는 계량스푼정도잇는데 주방 저울 있으면 다양한 음식에 도전해 볼수 잇을거 같기도 하구요...

베이킹도 할 수 있을거 같아서요.

있을면 잘 사용할까요?

만약 산다면 제품 추천 부탁드려용...
IP : 122.35.xxx.158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5.19 5:22 PM (203.142.xxx.240)

    ㅎㅎㅎ
    주방저울이 있으면 다양한 음식에 도전이라...

    딴지가 아니고
    절대 그럴 것 같지는 않아요.
    만약 그런다 하더라도 한 두번이겠지요^^

  • 2. ..
    '08.5.19 5:25 PM (203.229.xxx.253)

    다양한 요리까진 아니지만.. 있으면 종종 써요.
    요리 초보라 책 보다가 손대중으로 해도 감이 없을때
    망칠까봐 첨엔 계량해서 얼마나 넣어야하는지 배웁니다.

  • 3. 저는
    '08.5.19 5:25 PM (125.143.xxx.53)

    가끔 쓰거든요
    베이킹할때 주로 사용하고 ,,,눈대중으로 하더라도 처음엔 어느정도 저울이 필요하니까요
    이유식 만들때도 썻고,,,
    타니타 꺼로 샀어요

  • 4. 저울
    '08.5.19 5:26 PM (211.177.xxx.11)

    근데 저울은 기본적으로 갖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잘 안쓰여도 아주 가끔씩은
    쓸일이 생겨요. 베이킹도 하실 생각이면 당연 있으셔야죠.

  • 5.
    '08.5.19 5:30 PM (122.17.xxx.12)

    베이킹 외에는 주방 저울 필요없어요.
    요리책봐도 다 계량스푼이나 계량컵 쓰거든요.
    베이킹하실꺼면 기본이고 아니면 별로 필요없는 거 같아요.

  • 6. 제가 봐도
    '08.5.19 5:42 PM (219.254.xxx.189)

    베이킹하는거 아님 필요없어요. 저도 한때 베이킹한답시고 저울사서 많이했는데
    역시 내길이 아님을 깨닫고 지금은 그냥 일반 요리나 하는데 전혀 안써요

  • 7. 비추천
    '08.5.19 5:45 PM (222.109.xxx.185)

    베이킹을 하신다면 필수품이지만, 빵/과자 같이 계량이 필요한 요리를 잘 안하신다면 그냥 짐만 되지 않을까요?
    있으면 정말 아주 아주 가끔은 쓰겠지만, 없어도 별로 상관 없을 것 같은데요.

  • 8. ..
    '08.5.19 5:47 PM (121.152.xxx.222)

    베이킹과 천연화장푸/비누 만들 때는 필수적이고
    다른 때는 거의 안씁니다.

    이왕 사실거면 전자저울 사시고요. 마트 보다 인터넷이 훨씬 싸요.

  • 9. 베이킹
    '08.5.19 5:47 PM (121.152.xxx.107)

    위에도 다 써주셨지만 베이킹 이외에는 주방저울 사용할 일 거의 없어요.
    베이킹도 계량스푼으로 환산해놓은 게 있어서 초반엔 없이도 충분히 버틸 수 있구요.^^;
    당장 필요한 게 아니라면 짐만 될듯 해요

  • 10. 저는
    '08.5.19 5:49 PM (218.232.xxx.15)

    지마켓에서 만 얼마주고 전자저울 샀다가 에러나서 못쓰고, 비싼 돈 주고 다시 사기는 그렇고 해서 다이소에서 이천원인가에 바늘저울 샀는데 만만하게 쓰기는 싼게 더 좋네요. 정확한 계량을 필요로 하는 베이킹을 하는 건 아니어서 가능할지도 모르지만요.

  • 11. 살까말까?
    '08.5.19 5:50 PM (122.35.xxx.158)

    원글인데용...
    친절한 답변 감사드려용...
    요즘 왜이리 먹고싶은게 많은지요...
    그래서 생각해 낸게 직접해먹자였거든요...
    근데 사지 말고 쫌만 더 버텨볼랍니다. ^^*

  • 12. ...
    '08.5.19 6:12 PM (122.37.xxx.69)

    요리할 때 쓰지는 않지만 있으면 나쁘진 않아요.
    가끔 음식물이 많을 때 저울로 재서 나누곤 해요.
    고기 사오면 200그람씩,
    고추가루 근이 많나 검사도 하고,
    남들에게 나누어 줄 때 공평하게 하고,
    한마디로 있으니까 재미로 써요^^

  • 13. 저는 필수!
    '08.5.19 7:17 PM (121.131.xxx.49)

    저는 요리책 따라할 때에도 꼭 필요해요. 자스민님 레시피도 양념장이 100g당 몇 큰술.. 이런 식이잖아요. 저는 눈대중, 손대중이 절대로 안 되는 스타일이라서 필수입니다.

    물론 취미가 베이킹이라 더 필요하기도 해요. ^^

  • 14. ,,
    '08.5.19 7:52 PM (221.153.xxx.153)

    전 베이킹 안해도 주방저울없는 부엌은 상상못해요
    주방저울 꼭 필요해요...
    꼭 전자저울아니어도 국산 협성제품이던가?...이게 가장 쓰기편하고 ,정확하게 잘나오는것같아요
    가격도 싸고

  • 15. 전 애용자!
    '08.5.19 8:07 PM (203.100.xxx.20)

    국수 삶을 때라든지 고기 무게 잴 때 등등...
    저울을 이용해서 하니까 음식이 항상 같은 맛이 나요.

  • 16. 저도 필수
    '08.5.19 9:31 PM (116.126.xxx.107)

    얼마전에는 갖고 있던 저울이 깨져서 새로 장만을 했는데 무게가 잘 안맞아서
    다시 장만했어요.
    저도 저울 없는 주방 ,, 생각도 못해요

  • 17. 아이 이유식
    '08.5.19 10:35 PM (123.215.xxx.88)

    할 때도 필요해요. ^^

  • 18. 구름
    '08.5.19 11:10 PM (58.224.xxx.156)

    저두 국수 삶을때 정말 필요하죠 1인분에 딱 100g 이잖아요

  • 19. 가끔
    '08.5.19 11:14 PM (222.98.xxx.175)

    가끔 무 200그람 이렇게 나오면...눈대중없는 저는 필요해요.
    하다못해 카레 뒷봉지에 보면 감자 대 1개(200g) 이렇게 씌여있으면 왠지 한번 재보고 싶어지지 않나요?ㅎㅎㅎㅎ
    1000냥 샵에서 바늘 저울로 1키로까지 재는거 사서 쓰는데 베이킹 안하니 그걸로도 충분합니다.
    아....그리고 고기 냉동할때요. 저희는 거의 고기를 안 먹어서 카레할때 반근 사서 150그람은 쓰고 150은 냉동합니다.

  • 20. ..
    '08.5.20 1:22 AM (116.120.xxx.169)

    마트에 5천원 안팎의 저울도 많더군요.
    눈금만 잘 맞으면 각겨무시하고 하나는 있어야되던데요.

    즉 있다가 없으니...꼭 사다놔야하는게 저울이더군요.

    며칠전 홈*러스서 정육샀다가 종이팩 겹쳐놓은거보고 무게달아보는데 일등공신이 바로 그 저울이죠.

    저두 저울없는 주방 상상도 못합니다.
    제과제빵하면..저울은 필수이고..
    일반저울사다가 디지털사고 싶고...그담 저 정밀한걸루 사다놓고싶은게 그 저울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3208 영통에서분당 수내역 가는 버스있나요? 4 k 2008/05/19 509
193207 스텐볼 또는 대야를 가스렌지에 올려서 끓여도 되나요 6 스텐이 2008/05/19 5,408
193206 유럽여행시 환전 어느 은행서 하는게 좋은가요? 4 coffee.. 2008/05/19 541
193205 급질-햄버거 속 패티를 만드는데요... 단단하게 할 방법은? 7 햄버거 2008/05/19 923
193204 어린이집에 면담 가는데요 2 ... 2008/05/19 407
193203 심장이 이러다 멈추는게 아닌지.. 7 힘든맘 2008/05/19 1,337
193202 아이들 방문수업 시키시는 댁에선 어떤 공부상 쓰세요? 2 .... 2008/05/19 590
193201 손발톱영양제 추천 좀 부탁드려요~~ 꼭이요ㅠ 6 못난내발톱 2008/05/19 592
193200 유학원조심해서 알아보세요 사기성?유학.. 2008/05/19 559
193199 미역국 끓이는 방법 좀 가르쳐 주세요.. 12 궁금 2008/05/19 1,632
193198 전기렌지 쓰시는 분 1 전기렌지 2008/05/19 685
193197 마트에서 소고기 국거리를 샀는데요.. 8 요리에 근본.. 2008/05/19 1,201
193196 뒷골이 자꾸 당기고 마비되는 느낌이네요 2 큰일 2008/05/19 781
193195 중고전집...새 전집? 4 아줌마 2008/05/19 805
193194 녹차 (우전)을 사고 싶은데요.. 2 우전 2008/05/19 360
193193 좀전에 우박이 내렸어요 4 날씨가 2008/05/19 436
193192 방금 중앙일보 영업하는분 왔다가셨는데 5 ㅉㅉ 2008/05/19 1,112
193191 경향신문 대표이사가 바뀐다는데... 5 관련자분이나.. 2008/05/19 1,043
193190 야구모자 세탁. 5 ⓧ이루자 2008/05/19 1,313
193189 대표주부모임 우리는 안되나요?? 오늘자 경향일보 1면 광고 !!!!!!!!!!!!!!!!!.. 4 우리도합시다.. 2008/05/19 870
193188 저들이 가장 무서워하는거...아고라펌>> 3 .. 2008/05/19 678
193187 부동산 중개 수수료를 법정 요율보다 많이 요구하는 경우 어떻게 할까요...? 8 새댁 2008/05/19 823
193186 연꽃은 물에 띄워서 기르나요? 4 궁금... 2008/05/19 427
193185 어제 교통사고를 당했어요.이제 어떻하죠 11 눈썹이 2008/05/19 1,605
193184 지금 경주 날씨가 어떤가요? 2 경주날씨 2008/05/19 453
193183 메이플베어 (캐나다 문화원) 어떤가요? .... 2008/05/19 1,957
193182 40대초반 굳어만가는(침해) 지식 해결방법좀요~ 6 신문사설외우.. 2008/05/19 827
193181 만화책은 보고싶은데 5 만화 2008/05/19 457
193180 주방저울, 있으면 좋을까요? 20 살까말까? 2008/05/19 1,616
193179 급해요 장터에 사진 올리는거.. 1 ... 2008/05/19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