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엄마의 위신이 안 서네요 물이 얼면 무게가 더 나가지 않나요?
왜 그럴까요?
애한테 설명할 말이 없네요
책에서는 얼어도 무게가 같다고 나오는데
책을 미리 안보고 아이한테 부피와 무게가 같이 더 나간다고 가르쳐 버렸더니
엄마의 위신이 안서네요
1. --;;;
'11.6.30 4:22 PM (150.150.xxx.24)얼마나 더 나오나요? 아마도 공기중의 수분이 얼음 표면에 달라붙어서 더 나오는 것 같아요. 그릇표면이나 얼음 표면에 송글송글 물방울 맺히잖아요 그런것들 무게도 무시못할양이예요.
2. ...
'11.6.30 4:23 PM (116.43.xxx.100)이론상으로는 무게는 같으나..부피는 늘어난다고 알고 있는뎁....
3. oops
'11.6.30 4:29 PM (220.73.xxx.248)아닌데요?
물이 얼면 부피가 늘어날 뿐(물분자 간격이 벌어짐으로써...)무게는 동일합니다.
다른 물질은 얼면 부피가 주는데 반해 물만 특이하게 부피가 늘어나죠.
아마도 위에 분 지적처럼 주변의 수분이 얼음에 달라붙어 그럴 겁니다.4. 미르
'11.6.30 4:57 PM (121.162.xxx.111)물이 액체상태일때는 오각형형태로 있는데 (육각수....얼음일 때 얘기?)
중요한점은 이 오각형구조 안에 물분자가 하나 더 들어갈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액체의 오각형구조에서 고체의 육각형 구조로 변하면서 가운데가 비게 되고
부피가 늘어나는 것이죠.
또 얼음이 얼때 결정이 6각형으로 되는 이유는
수소결합의 형태 때문입니다.
물 H2O 즉 수소분자 두개와 산소분자 하나가 결합할 때
수소는 -를 산소는+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때의 모양이 ㅇ0ㅇ이런 모양으로 되어있는데 수소 분자의 각도가 104.5도 입니다.
보통 이산화 탄소 같은것을 보면 탄소 두개가 180도 각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끌어당기는 힘이 없어요
그런데 물같은 경우는 104.5도 니까 계속 합쳐지려면 끌어당기는 힘이 있어 빈공간이 생기는 겁니다
물은 완전하게 얼음이 되었을시 부피가 약 11분의 1만큼 증가합니다.
물이 1일때 얼음이되어서 증가되는 부피는 0.091(소수점 4자리 반올림) 입니다.
따라서 요약하면
수소결합이 만든 현상으로 액체인 물의 오각형구조에서 고체인 얼음의 육각형구조로
변하면서 부피가 증가한다.5. 질량보존의 법칙
'11.6.30 4:58 PM (61.78.xxx.102)무게는 늘 일정하죠. 부피가 더 나가게 되고 그러면 밀도는 낮아지죠.
집에서 실험했는데 무게가 더 나가게 되면 실험이 잘못된 거고 그 원인을 찾아나가는 것도 공부일 듯 싶어요.6. 미르님
'11.6.30 5:13 PM (115.41.xxx.10)우와, 미르님! 잘 배우고 갑니다. 과학쪽 전공이세요?
7. 무게는
'11.6.30 7:17 PM (14.52.xxx.162)같고 부피만 늘어나요,
초등 과학책에 나오는 문제입니다8. 질량보존의 법칙
'11.7.1 12:07 AM (1.225.xxx.196)ㅎㅎㅎ 무지 중요해요.
9. ...
'11.7.1 2:24 AM (210.121.xxx.149)무게는 재는 장소에 따라 다르고..(무게는 중력의 영향을 받는것)
질량은 변하기 않는다고 해야하는게 더 정확한 얘기같네요..
암튼.. 질량은 변하지 않습니다..
원래 고체가 되면 부피가 줄어드는데.. 물은 부피가 늘어나는 특이한 물질이라고 배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