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기저귀떼기 노하우?

엄마야 조회수 : 362
작성일 : 2011-06-28 10:27:07
31개월 남아고 둘째예요.

이제 기저귀 좀 떼보려고 하는데 이녀석이 좀처럼 협조를 안하네요.

기저귀 벗겨 놓고 쉬마려우면 "엄마 쉬~~" 하라고 해도 절대 안하고, 쉬할 때가 된거 같아서 통 가져다 대거나 변기에 앉혀놔도 싫다고 도망갑니다.

참다참다 배아프다고 할 때 기저귀 채워주면 그제서야 하네요. 정말 참지 못할 땐 한번씩 싸기도 하고...

말도 느린 편이라 이제서야 두 단어 붙여 말하는데 좀더 기다려줘야 할까요?

좋은 노하우 있음 나눠주세요.

감사합니다.
IP : 1.226.xxx.4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ㅁ
    '11.6.28 11:09 AM (124.55.xxx.40)

    전 노하우모르고요.
    지금 24개월...저희아들과 똑같아서 반가워 답글답니다.
    노하우좀 누가 알려주세요~~!!!
    아기변기에 앉자 혹은 통을 가져다대면서 "쉬~~~"해 그러면 "아니야 아니야~지금싫어"하면서 도망갑니다.ㅜ.ㅜ
    이번에 못떼면...내년여름 36개월에나 해야하는데... 요즘 매번 벗겨놓고 지내다가
    요며칠 비와서 다시 기저귀 입혔었거든요. 오늘 또 벗겨놔야겠네요~

  • 2. ^^
    '11.6.28 11:30 AM (121.135.xxx.143)

    전 노하우는 잊어버렸구요~~^^;;
    기저귀 얘기가 나와서 그냥 끼어들었어요
    혹시나 저같은 분 계실까봐서요

    전 큰애(지금 중3)가 여자앤데 정확히 47개월에 기저귀뗏거든요
    덩치도 큰애라 나중에는 맞는 기저귀가 없어서 성인용 디팬드를 사야하나 심각하게 고민할때 혼자서 저절로 뗀거 같아요

    암튼~그때 그래서 주변에서 걱정을 너무 많이 하시더라구요 문제가 있는거 같다 병원가봐라 등등

    지금껏 키워보니 기저귀떼는건 공부실력하고는 전혀!관련없다는거 알았습니다
    성격은 확실히 느긋하고 공부는 중3이긴 하지만 잘하구요 특히 수학은-여자임에도 불구하고-전교에서 5등안에 들거든요(전 교육열 심한 동네 거주중이구요)

    그냥 기저귀는 애들마다 다른거 같아요
    빨리 떼주면 부모로서 너무 감사할 따름이지만 혹 늦어져도 심려마시라는 차원에서 글 올립니다

  • 3. 배변훈련중
    '11.6.28 5:02 PM (175.126.xxx.152)

    25개월 우리 딸 기저귀 때기 일주일 째예요. 첫날, 둘쨋날은 옷을 10번은 더 버려놓더니 3일째부터 바로 변기에 가서 쉬하고, 5일째부턴 쉬야 마렵다 표현하며 변기로 가더라구요..ㅠㅠ 감동했어요..^^;

    일단 계속 쉬는 변기에 하는거라고 알려줬구요. 첫날은 쉬 하는 간격 알려구 종일 벗겨놨어요.. 1시간 정도 간격이길래 그때마다 변기에 안혔는데 잘 안있을라고 해서 좋아하는 인형, 장난감 같은거 같이 가지고 있게 했어요. 그래고 몇일간은 쉬야 잘하고 나면 엄마가 좋아하는 뽀로로 한번 보여주고, 아님 사탕줄께 했구요.

    그리고 육아까페에서 본대로, 아이가 물약 먹일때 쓰는 물약통에 물 담아서 딸이 좋아하는 뽀로로 인형이 쉬야 마렵다고 한다고, 변기에 앉혀주자 하고... 쉬야 나올때까지 뽀로로는 얌전히 앉아서 기다린다...하면서 그러다가 물약통 몰래 숨겨서 쉬하는것처럼 소리나게 하고 나중에 싼것 보여줬어요. 이게 되게 효과있더라구요...

    변기에 잘 안앉아 있으려고 할때마다 아까 뽀로로는 쉬야 잘했지 하면서 알려주거나, 아이를 변기에 앉히기 직전에 먼저 뽀로로가 쉬야하는걸 보여줬어요. 그럼 바로 잘 앉더라구요.

    3일째부터는 시간간격 맞춰서 변기에 앉히니 그때마다 잘 쌋구요. 그러다 보니 아이도 쉬를 한다는걸 아는것 같더라구요. 5일째 저녁부터는 쉬마렵다는 행동을 보여주고 변기로 갔고, 어제 오늘은 혼자 옷내리고 변기에 앉기도 해요.. 낮잠 기저귀는 젖을때도 있고, 아닐때도 있구... 밤기저귀는 아직이구요.
    글구 배변훈련 시작전에 친정가서 일주일동안 우리 딸 엄청 신나게 잘 놀다왔거든요. 컨디션이 정말 좋은 상태였던것 같아요. 그런상태에서 기저귀 때기 시작하니깐 아이도 큰 스트레스 없이 받아들였던것 같구요. 아직 배변훈련 완성된건 아니지만 몇자 적어 봤어요~ ^^

  • 4. 배변훈련중
    '11.6.28 5:04 PM (175.126.xxx.152)

    응가는 하루 거르기도 하고,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밤에 차고 잤던) 기저귀에 하더니 6일째부터 변기에 가서 성공했어요.. 쉬야를 하는게 조금 익숙하니 응가도 변기에 가서 하는게 좀 적응이 됐나봐요..

  • 5. 말귀
    '11.6.28 6:07 PM (110.12.xxx.137)

    알아들을수 있음 기저귀 가리기에 대한 책을 읽어주세요. 아이들 책보여 주는거 효과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4240 오늘 북스데이 인데~아이들 책 구매하실때 삼성 북스데이 날 구매하시면 할인을 많이 받을수 .. 1 엄마마음 2011/05/25 225
654239 맛없는 친정김치 이모들께 나눠주재요. 6 어머님 2011/05/25 1,120
654238 술빵 먹고 싶어요. 8 2011/05/25 695
654237 초3 아들 사회 점수때문에 속상해요.. 3 이런 2011/05/25 741
654236 뒷베란다 곰팡이 근원적으로 막는 방법 없나요? 5 . 2011/05/25 795
654235 유치원, 어린이집 주방에 취직하려면 어떻게 알아보면 되나요??? 3 어린이 2011/05/25 399
654234 일본도 시뮬레이션 중지한답니다 2 ㅇㅇ 2011/05/25 939
654233 생멸치 소금간이 멸치젓갈인가요? 1 젓갈 2011/05/25 248
654232 위기의 주부들 시즌7 마지막회 보고..눈물 (스포) 13 공감 2011/05/25 2,567
654231 해외 출장 가는 동료에게 쇼핑부탁, 좀 참아주세요. 8 기분나빠요 2011/05/25 1,181
654230 화장품 인터넷으로 구매 하려고해요...추천 부탁 드립니다 2 화장품사이트.. 2011/05/25 275
654229 어르신들 북경 패키지 여행시 환전 안해도 되나요? 4 anna 2011/05/25 986
654228 '바보'노무현 봉하에 지다. 5 pd수첩이 .. 2011/05/25 671
654227 유통기한이 모레까지인 닭다리살 상한건 아니겠지여? 헷갈려요 2011/05/25 320
654226 탤런트 이창훈 왜이렇게 맛이 갓어요? 29 땡글이 2011/05/25 15,543
654225 주로 받는 특정 택배사 5 2011/05/25 357
654224 김영진 등재추진위장 "광주의 희생, 심사위 감동시켜" 5 세우실 2011/05/25 318
654223 지지리도 복없는 인생... 3 ... 2011/05/25 1,130
654222 요새 나오는 젊은 연예인들중에 똘똘한 기운이 느껴지는아이는 누구인가요? 39 클로이 2011/05/25 4,060
654221 7세 딸아이 살빠지는데 한약 먹여야 될까요? 6 고민중 2011/05/25 513
654220 (잔인한 사진은 없어요) 사모님들이 좋아하는 모피 농장의 실태가 이렇다네요... 2 . 2011/05/25 479
654219 독일시뮬 바뀐거 보셨어요??대만걸 믿어야 하나요 독일걸 믿어야 하나요?? 5 자나,.. 2011/05/25 933
654218 임재범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8 그남자 2011/05/25 1,327
654217 덜렁대는 1학년 여자아이 어떻게 지도하면 될까요? 1 궁금이 2011/05/25 246
654216 아까 말안하는 부부 글 올린 사람입니다 2 이혼 2011/05/25 1,162
654215 손만두 분해안되려면 4 만두속따로 .. 2011/05/25 484
654214 인도식 카레에 꽂혀 자기가 만들겠다고 하는 남편... 과연 가능할까요? 19 철부지남편 2011/05/25 1,023
654213 기획서를 하나 보냈는데요 2 모 회사에 2011/05/25 336
654212 남편이 미국으로 출장갔는데요~ 핸드폰 문자 요금 많이 나오나요? 10 궁금 2011/05/25 895
654211 신경민 논설위원 강연 후기 - 언론과 민주주의 1 .. 2011/05/25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