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어머니께서 묘법 연화경을 베껴쓰신다는데...
베껴쓸만한 노트가 출판 되는게 있나요?
있다면 어디서 구입할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없다면 추천해주실 만한 노트는 어떤게 있을까요??
그리고 부드러운 필기구는 어떤게 있을까요??
저는 절에 다니지 않으니 잘 모르는데다
유일하게 어머니께서 관심있어하시는 분야라 도와 드리고 싶어서 그러니
어떤 말씀이라도 좋으니
해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1. .
'11.6.16 2:38 PM (116.33.xxx.166)보통 모나미 볼펜으로 쓰셔도 됩니다.
붓펜으로 쓰시는 분, 플러스팬으로 쓰시는 분 등등 다양하게 하시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이 가장 편하고 덜 힘든 필기구라야 한다는 것이죠.
알맞는 노트는 조계사 앞에 많은 불교용품점에서 팔기도 하는데요
두꺼운 연습장에 편하신 크기의 줄을 직접 그어서 쓰셔도 됩니다.
묘법연화경은 양이 상당 한데요
그래도 쓰고 나면 뿌듯함이 가장 큰 경전에 속하기도 합니다.
이래저래 일종의 영험/ 효험 같은게 바로 바로 오는 경전이라고들 이야기 하시지요.
그만큼 성심을 다하고 쓰는 동안은 기도하는 마음을 유지 해야 하지만요.
신도분들 중에는 당신이 사경한 경전을 돌아가실 때 관 안에 넣어 달라는 분도 많아요.
저는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당사자나 자손들을 위해서나...
더 자세한 이야기들도 있지만...원글님이 불자가 아니시라고 하니 이만 줄입니다.2. 울엄마두..
'11.6.16 2:38 PM (116.38.xxx.25)사경하고계세요..
노트는 법화정사02-928-1331 로 전화하셔서 여쭤보시구요..
펜은 붓펜으로 쓰시던데요..
노트를 법화정사에서 나오는 것으루쓰시는것이 좋아요..
책이랑 노트랑 같이 나가서 쓰기 좋더라구요..^^3. 도움요청
'11.6.16 2:41 PM (124.57.xxx.39)원글입니다..
116님 더 자세한 이야기 풀어 주시면 안될까요??
궁금하네요..
저는 관심만 있는 쪽이라서요..4. .
'11.6.16 2:42 PM (116.33.xxx.166)그리고 이왕 쓰시려면 뜻을 정확히 알아 가면서 쓰시면 기쁨이 몇 배예요,
무비스님 번역하신 불광출판부에서 나온 <이것이 불교다 법화경>(상,하)을 사 드리세요,
원문 한 줄 읽고 해석 읽으신 후 원문 옮겨 쓰기를 대장경 판각 하듯이
하시면 더 좋아요.
한 줄 쓰고 일배 하고 한 줄 쓰고 일배 하기도 합니다.
다 쓰실 때까지 육식을 금하는 분도 많아요.5. 아
'11.6.16 2:42 PM (183.100.xxx.68)저도 궁금한데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간절한 마음으로 또 마음 다스리면서 하고싶어서요.6. 볼펜
'11.6.16 2:45 PM (58.227.xxx.121)노트는 잘 모르겠고
부드럽게 잘 써지는 볼펜이라면 강력 추천할만한게 있어서요.
미쯔비시 제트스트림이요. 펜 굵기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1.0이 제일 부드러운거 같아요.
볼펜 여러가지 많이 써봤지만 이게 제일 부드럽게 잘 써져요.7. ㅇ
'11.6.16 2:54 PM (222.117.xxx.34)그냥 아무노트에 쓰시면 되요..
저희 엄마는 그냥 문방구에서 노트사셔서 하시더라구요..펜도 아무거나..8. 도움요청
'11.6.16 3:07 PM (124.57.xxx.39)법화정사에 문의 했더니 출판사가 다르네요..ㅠㅠ 일반노트로 해야겠네요....
9. 저도
'11.6.16 3:08 PM (210.112.xxx.132)관심있는데 효과는 어떤가요?
경험하셨거나 얘기 들으신 분 계씬가요?10. 도움요청
'11.6.16 3:10 PM (124.57.xxx.39)미쯔비시 볼펜 검색했더니 평이 좋네요..일단 사이즈별로 다 주문들어갑니다..
11. ㅇㅇ
'11.6.16 3:32 PM (116.33.xxx.76)제트스트림이면 깨알같이 글 많이 쓰는 고시계에서도 나름 유명한 볼펜이에요 ㅋㅋ
5mm는 좀 가늘어서 깔끔하고 7mm부터는 두께가 있어서 부드러워요.12. 지나다가
'11.6.16 4:21 PM (14.51.xxx.139)흠......나무묘법연화경이라는 경전을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합니다
간혹 뵌 큰스님들께서는 법화경을 불자(신도)들이 가까이 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어느정도의 경지에 오르신 분(스님)이라면 공부하시지만....그게 아니라면(보통 신도들이라면) 쉽게 말해 정신이 이상해질수 있다고 합니다
일반에 사이비종교처럼 알려진 남묘호랭게교라는 경전이 있는데요
일본에서 넘어온 남묘호랭게교는 나무묘법연화경을 일본식 발음으로 이르는것이랍니다
일본은 법화경 불교가 대중화되어 있다고해요
어느때부턴가 우리나라에도 법화경을 대중화한다고 하는데.........흠....
글이 마무리가 안되는데요
제가 지식이 짧아 설명이 잘 안되네요
이왕이면 여러 절이나 스님들을 만나뵙고 본인에게 맞는 마음공부, 수행하셨으면 좋겠네요
잘 모르면서 쪼끔 들은바가 있어 지나가다 남깁니다
혹시 틀린 말씀이라면 지적해주세요 배우겠습니다
아무튼 종교를 가지는건 참 좋은일입니다13. 흠
'11.6.16 4:42 PM (211.196.xxx.39)윗님, 그건 그 경전 속 내용이 그만큼 강렬해서 그런 거예요.
잘못 해석하여서 오는 마장이지요.
다라니의 한글자를 잘못 외우면 오는 것과 같은 이치거든요.
하지만 사경의 공덕을 이야기 할께 법화경이 언제나 첫 손 꼽히는 것처럼
이 경전의 사경기도의 공덕은 확실히 크답니다.
본래 전하는 바를 정확히 짚어 가면서 쓰시다 보면 괜찮아요.14. ~네~~
'11.6.16 5:00 PM (14.51.xxx.139)제가 모시는 스님이 대종사이신데요
사경기도를 한다고 하면 잔소리말고 기도하거라 하시거든요 ㅎㅎㅎㅎ
그런것도 스타일따라 틀린가봐요15. 요즘 듣는중이라서요
'11.6.16 6:16 PM (14.51.xxx.139)혹시 참고되시라구요
http://www.bbs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