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피에타-소외....깊은 울림

| 조회수 : 2,448 | 추천수 : 1
작성일 : 2012-09-13 12:08:12

영화를 즐기지 않는 편인데도 모처럼 친구와의 만남을 풍요롭게 하고 싶은 마음과 지구촌시대에 어떤 공감대가 형성되어 대상 수상으로 이어졌는지도 궁금한 차에 보게 되었습니다.

주인공의 이름은 이 강도입니다. 이름이 중의적이란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 강도가 하는 일이 청계천 일대의 영세공들이 사채를 쓰다가 갚지 못할 시 보험금으로 그 대출금을 추심하는 날강도같은 일을 하는 의미로 그리고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을 때 구원받았던 그 강도를 연상케도 합니다.

1평 남짓한 곳에 기계 하나 놓고 생계를 잇고 있는 영세공들은 은행과 제2금융 같은 제도권과는 이미 거리가 멀고 결국 사채를 강요당하게 됩니다. 사채의 이자율은 IMF이후 경기활성화를 목표 아래 이자제한법이 없어졌다가 사채업의 불법추심이나 상상을 초월한 고율의 이자 문제로 이자 67%인가를 상한으로 제한하는 법이 재도입되었습니다만 실상에서의 법규정은 무용지물이죠.

왜 법에?란 말이 나오기도 전에 이들 앞에 놓여진 실상은 냉혹하기만 합니다. 대출업자는 이 강도를 통해서 온갖 폭력을 동원해 원금의 몇십배가 넘는 돈을 착취합니다. 그럼에도 영세공의 분노는 대출업자보단 인간 백정이라고 하는 이 강도에게 향하죠. 대출업자는 더러운 폭력은 이 강도에게 맡기고 그는 오로지 이 강도가 가져온 피 한방울 묻지 않은 깨끗한 돈만 손에 쥡니다. 이 편이 훨 덜 꺼림칙하죠. 자신이 사이코패스가 아닌 이상 뼈와 살이 으스러지는 걸 직접 목격하고 싶진 않으니요.

결국 가해자는 이 강도가 됩니다. 같은 사회적 약자임에도...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가장 약자인 그는 버려진 아이.. 기아였습니다. 이 버려진 아이가 30이 넘어 인간 백정 쓰레기로 이 사회의 한쪽에 자리 잡은 것입니다. 세상과 소통을 해본적 없는 그는 생물을 날 것으로 먹는 그야말로 원시적인 짐승의 모습 그대로입니다. 그리고 문을 열면 승냥이의 모습으로 상대방을 포획하고 그들이 흘린 상흔은 그의 저녁거리인 닭의 피와 다르지 않습니다. 오로지 생존본능으로만 살아가고 있던 그..

그런 그가 처음으로 타인의 방문을 받게 되고 세상과의 접점이 시작됩니다.

얼마전 사진 한 장을 보았습니다. 나찌가 폴란드 아이들을 대상으로 생체실험한 사진이었죠. 성기가 잘못 달리거나 아예 없는 아이... 아이들의 눈동자는 한없이 맑기만 한데 그 사진은 헛구역질이 나올 정도로 참혹하고 슬픈 사진이었습니다. 순수한? 아리아의 혈통을 지키겠다는 그들의 목적은 그 외의 모든 이들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시키고 인간을 대상화 수단화시키는 데까지 이르죠. 사진 속의 그 아이들은 어떤 생을 살았을까요? 2차세계대전을 끝으로 우린 자유 평등 박애 중 박애에 더 많은 중점을 두기 시작했습니다.

그로부터 60년이 지난 지금...

세상은 버려진 사람을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또 버려진 사람이 보는 세상은 어떨까요?  제 주위엔 고아출신은 없습니다. 여러분도 비슷할 겁니다. 그럼에도 고아 출신은 있습니다. 승자독식을 당연시 여기는 사회.. 기회균등이 일면에서만 이루어지는 사회에선 버려진 사람들은 점점 더 우리 주위에서 사라지겠지요. 그리고 이런 줄긋기 경계 구별 차별 등등이 계속되는한 우리란 낱말에서 저와 여러분이 배제된 그런 우리만의 사회도 충분히 가능할 것입니다.

이 영화는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요? 감히 제가 단언한다면 그건 자본주의의 황폐화도 아니고 결국 소외된 한 인간의 이야기입니다. 마지막 장면으로 가면서 눈물은 자연스럽게 흘러나옵니다. 작가는 우리에게 그리고  세상를 향해 외칩니다.

자비를..

자비를 베푸소서.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비누인
    '12.9.13 3:06 PM

    멋진 후기에요..개인적으로 평범한 사람이 일상에서 누군가에게 저지를 수 있는 잔혹함을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는 현실을 고발한 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

  • 2. 발자국소리
    '12.9.14 6:32 AM

    저도 김기덕 감독의 영화 팬인데 이곳은 지방이라서 언제 상영할지...
    좋은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극장가의 횡포로 개봉해주는 곳이 많지 않다는소식이 우울하게 하네요

  • 3. 초원의집
    '12.9.14 10:26 PM

    다시한번 더 보러 가야겠어요.

    도적들. 겅머자. 비교가 안되던데요.

    제스탈이 그래서 그런지. ㅎㅎ 강추 합니다.

  • 4. 자연과나
    '12.9.15 12:16 AM

    솔직히 폴란드 아이들의 사진은 충격이었습니다. 말로만 들었지 직접 사진으로 확인하기는 처음이어서요.
    이 영화도 그런 거 같습니다.
    우린 천애고아나 사회적 약자에 대해 이 사회에 한켠에 있다는 걸 교과서론 알아도 보통은 망각하고 삽니다.
    그런데 이 영화를 통해 우리의 시선이 사회적 약자에 대해 한번쯤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것이죠.
    그리고 이 영화가 걸리기까지의 과정이나 지방에서는 상영관찾기가 힘들다는 발자국소리님의 얘기만으로도
    문화 독재를 통해 대중의 시각을 암암리에 편향화시킬 수도 있겠구나란 생각이 듭니다.
    자본의 논리론 작은 영화지만 깊은 울림이 있는 영화 많이들 보러 가셨으면 합니다.

  • 5. GWELL
    '12.9.15 2:01 PM

    저도 마지막 장면에서 뭐라 형용 할 수 없는 심장이 베인 듯한 고통이 느껴져......
    마지막 크레딧이 다 올라가도록 자리에서 일어날수가 없었어요.
    원글님 영화평 아주 좋아요^^

  • 6. 소나타
    '12.9.17 1:14 PM

    김기덕감독님이 이런 시나리오를 썼다는거 자체가 대단하다고 느꼈습니다
    조금 어설픈 부분도 있지만 한번에 쭉 찰영했다고하니 그것도 감안될부분이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3069 인혁당 사건 쉽게 이해하기(펌)| 5 바람개비 2012.09.14 1,836 6
33068 여러분의 기억력이 감퇴됐다고 느낄 때는 언제인가요? 2 포이트리 2012.09.14 1,341 0
33067 베트남 여행 견적좀 부탁드려도 될지요?? 2 병다리 2012.09.13 1,924 0
33066 피에타-소외....깊은 울림 6 자연과나 2012.09.13 2,448 1
33065 전화요금 문의? 합니다. 1 맘이 2012.09.12 1,426 0
33064 자기일은 자기가 알아서가 기분나쁜 소리인감요? 6 진주 2012.09.12 2,058 0
33063 갤3 62 요금제 의무 사용 3개월 후... 5 시영맘 2012.09.11 4,107 0
33062 신용카드재테크를 하기에 좋은 인기 신용카드는 어떤카드가 좋을까요.. 3 센스걸 2012.09.11 2,376 0
33061 벽지에서 홀아비 냄새 ㅠ 없애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4 happyh 2012.09.11 5,178 0
33060 우체국은 송금 수수료가 무료???? 5 마야아빠 2012.09.11 2,022 1
33059 포장식 출장부페 이용해보셨나요? 미술 2012.09.11 1,686 0
33058 초딩5학년 큰딸래미때문에 고민임다~ 3 호박궁디 2012.09.10 2,459 0
33057 저처럼 문재인 후보 좋아하시는 분 - 돈 안드는 후원안내 2 채린맘 2012.09.10 2,137 1
33056 노점상 1 예쁜세상 2012.09.09 1,335 0
33055 와이프한테 잘합시다. 5 제로핑 2012.09.09 5,055 1
33054 몸이 아픈데 다림질까지.. 2 알뜰똑순이 2012.09.09 1,205 0
33053 영어 연수 1 007뽄드 2012.09.09 1,286 0
33052 요즘 날씨에 추위를 느끼는 나 3 불꽃낭자 2012.09.09 1,473 0
33051 타조는 스키를 잘 타조 바람개비 2012.09.08 1,263 0
33050 꽁짜인데 버리지 마세요 4 바람개비 2012.09.08 3,139 3
33049 독재를 독재라 부르지 못하고... 7 바람개비 2012.09.08 2,141 15
33048 브라우니 새끼낳음 10 바람개비 2012.09.07 3,696 1
33047 넝쿨당과 김남주 화제의 비결은? 1 제로핑 2012.09.07 2,468 0
33046 한국에서 흔하게 볼수 없는 기자| 5 바람개비 2012.09.07 1,636 5
33045 명품아파트의 장애인 시설 설치 3 바람개비 2012.09.07 1,74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