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만원씩
'25.10.20 9:17 PM
(118.235.xxx.135)
시가 돈주는게 억울해서 그래요. 이번은 첫째가 조금 더 쓰는거라 별문제 아닌것 같고요. 시누도 시어머니께 애기 돌봄비 줄텐데
왜 백만원이나 드리나요? 남편분 전문직인것 같기도 하고
2. ㅇㅇ
'25.10.20 9:17 PM
(211.58.xxx.111)
-
삭제된댓글
결혼과 동시에 월 100만원 이체요? ㅠㅠ
에고…대단하십니다. 저는 그렇게 못살듯요 ㅠㅠ
3. ㅎㅎㅎㅎㅎ
'25.10.20 9:21 PM
(222.106.xxx.168)
개천의 지렁니랑 결혼한 대가가 참. ㅎㅎ
그러니 남편은
부인인 나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는 게 아니라
더 내고 싶은 걸 못하게 하는 사람인 거죠
그게 기분 나빠요.
그걸 가지고 뭐라고 한 적은 없지만
당연히 고마움도 못 느낌 ㅎㅎ
4. 00
'25.10.20 9:23 PM
(218.145.xxx.183)
월 100에 한달에 한번만 가도 외식비 10-20에 명절에 어버이날, 생신 하면 매월 120정도는 드는거 아니에요?
그냥 님이 전업하면서 그 돈 안드리는게 더 남는거 아니에요?
5. ㅎㅎㅎㅎㅎ
'25.10.20 9:23 PM
(222.106.xxx.168)
ㅡㅡ 저희 아이가 아니라 시누네 아이들 보신다니깐요
6. 맞벌이
'25.10.20 9:25 PM
(118.235.xxx.126)
아내 맞벌이 시키고 그러는 거면 ...
7. ㅎㅎㅎㅎㅎ
'25.10.20 9:25 PM
(222.106.xxx.168)
어버이날
생신 2번
설 추석
그것도 제가 줄여서 20입니다 ㅎㅎㅎ
8. 남편도
'25.10.20 9:25 PM
(118.235.xxx.112)
이런거죠. 82에 친정에 얼마주고 어쩌고 글올라오면 댓글에
결혼하고 친정에 어떻게 그렇게 돈줄수 있냐?
내가 번돈으로 준다 .내가 남편보다 더 잘번다 자기가 무슨 권리로
주지마라 할수있냐
꼭 이런 댓글 주렁주렁 달려요 .
9. ..
'25.10.20 9:28 PM
(49.239.xxx.30)
매월100만원 시가에 드린다는 말씀이죠?
10. ㅎㅎㅎㅎㅎ
'25.10.20 9:30 PM
(222.106.xxx.168)
그렇죠 (애매하면 원글 수정할게요)
11. 저는
'25.10.20 9:37 PM
(112.157.xxx.212)
-
삭제된댓글
저는 맏딸
남편은 둘째
전 원글님 남편성향이라서
친정가면 제가 다 결재해요
그냥 동생들 낸다 하면 말려요
통큰 누나 ㅎㅎㅎㅎ
시가 가면 남편이 둘째인데 장남이 왕소금
그냥 남편보고 다 결재 하라고 해요
그래서 무조건 나가서 쓰는돈은 우리가 다 내요 ㅎㅎㅎ
양가에 용돈은 20여년 전에 다 끝났어요
그당시까지 양가에 용돈으로
인당 20만원으로 양가에 40씩 드렸어요
양가 다 돈없는 집은 아니었구요
유산 받을때
시가에서는 우리가 월등하게 잘 사니 우린 따로 유산 안주셨고
친정에선 맏이가 젤 애썼다 하시고 가장 많이 주셨어요
동생들도 저 가장 많이 줘야 한다고 부모님께 말씀드렸었대요
둘다 돈벌이는 잘하는 셈이니
돈 쓰는걸로는 스트레스 받지 말자 했어요
12. 에고
'25.10.20 9:41 PM
(223.63.xxx.106)
많이 짜증 나는데요? ㅜ
원글님 보살이시네요 ㅜ
이제 만나서 밥먹을일을 거의 없애세요 ㅜ
그게 답 ㅜㅜ
13. ditto
'25.10.20 9:44 PM
(114.202.xxx.60)
저런 일이 반복되면 이제 가족 여행도 가고 싶지가 않다고 말하세요 글만 봐도 염치가 없어요 시누네.
14. 맞벌이
'25.10.20 9:51 PM
(180.68.xxx.52)
-
삭제된댓글
두 분 소득이 높은가요?
맞벌이들이 결국 이런식으로 맘편히 각자 집에 돈을 쓰면서 돈을 못모아요.
남편은 처가에서 애를 보건 말건 살림을 해주시건 말건 상관없이 아내가 벌어 처가로 150만원 가니 나도 내가 벌어 우리집에 돈 쓴다는 마음이죠.
돈모으세요. 그리고 시가 모임 줄이시고 모임은 시누이네랑 반으로 나눠 부담하세요. 매달 100만원인데 여행따로 식사따로 지나간 명절비용까지...과하십니다.
저정도면 부모님도 한 끼는 부담하실만도 한데 아무 생각이 없으시네요.
요즘에는 아이들 생각보다 늦게까지 지원해야 합니다. 양가부모 돌보다 아이들 못챙기고 원글님 노후까지 날아가버릴 수 있어요.
15. ㆍㆍ
'25.10.20 9:52 PM
(211.234.xxx.93)
시댁 남편 참 양심도 없으시다
시누이는 같은 젊은 세대끼리
월100에 용돈 밥값 ㅜ
자기 올케 같은 사람 요즘 없는거 알텐데 ㅜ
나쁜년이네요
16. ㆍㆍ
'25.10.20 9:53 PM
(211.234.xxx.93)
힘들다고
다달이 생활비를 80줄여서
그외 생신 용돈 포함 100이여야지
요즘 시국에 120.130이 말이 되나요?
17. ㅎㅎㅎㅎㅎ
'25.10.20 10:04 PM
(222.106.xxx.168)
감사함도 모르는 게 어이없 ㅎㅎㅎ어요
여행가자고 한 내 잘못이네요
결국 ㅎㅎ
늘 시가에ㅜ모여서 텔레비전이나 보고 있는 게ㅜ싫어서
가자 했더니만…
시모는 고맙다 하더라구요 ㅎ
시누는 카톡으로 새언니 덕에 잘 놀았다하고 끝
18. 참
'25.10.20 10:04 PM
(211.235.xxx.4)
어이없네요
애, 살림 봐주시는 친정에 겨우 150이라뇨
그리고 시가에는 100?
맞벌이신거 같은데 시댁에 돈드리려 일하시는 느낌?
19. ㅎㅎㅎㅎㅎ
'25.10.20 10:07 PM
(222.106.xxx.168)
그게 적다면 적은데 2년 전 비용이고 지금은 부탁 안 드려요.
20. ㅎㅎㅎㅎㅎ
'25.10.20 10:12 PM
(222.106.xxx.168)
남편은
나에게ㅜ너무 돈돈하지 마라
친정부모님 더 돈 드려도 된다
친정부모님 만나면 밥 사고 용돈 챙겨드려요
이걸 착하다 해야 하는지
자기 부모 돈 드려야 하니 그러는 건지
21. 불효녀
'25.10.20 10:14 PM
(49.236.xxx.96)
그러니까 시엄니는 무노동에 100
친정은 죽어라 일하고150
모든 시집살이도 남편이 시키듯
이 상황도 원글님이 잘못하고 계십니다
친정에 돈을 더 주세요
22. ㅎㅎㅎㅎㅎ
'25.10.20 10:15 PM
(222.106.xxx.168)
지금은 도움 안 받고 있습니다
23. 어이ㅣㅜ
'25.10.20 10:18 PM
(116.34.xxx.24)
저보다 더한분이 여기계시네ㅠ
저는 50드려도 분통터짐
왜 100이나 주면서 맞벌이 하세요
드럽게 양심도 없네
남편이요!
24. 두분이
'25.10.20 10:18 PM
(221.138.xxx.92)
잘못 하셨네요.
친정에 200 을 드리던가
시가에 매달 돈을 보내지 마세요...한 10~20정도만 보내던가
친정에 왜 그러세요?
25. Dgh
'25.10.20 10:26 PM
(39.7.xxx.171)
애 시터비는 그렇다치고 형제계해서 무조건 그돈으로
경비 쓰세요. 월5~10만윈씩ㅇ걷으세요
26. 궁금쓰
'25.10.20 11:20 PM
(124.61.xxx.72)
1. 14년 전에 시아버지, 시어머님은 연세가 어떻게 됐나요.
2. 결혼할 때 시댁에 도움받은 게 있나요.
결혼함과 동시에 100만원씩 드렸다는 게 이해가 안가서요.
27. ㅎㅎㅎㅎㅎ
'25.10.20 11:26 PM
(222.106.xxx.168)
어후 더 생각하고 싶지도 않아요ㅠ과거 일은.
지원 당연히 없죠
지금 밥 한 끼 안 사는 거 보셨잖야요
애들 용돈은 오만원씩 주더만요 ㅎㅎ
많이 쓸 생각 없으니
애들 용돈 수준 주는 거 같아요
생각이 없는 건지 돈이 없는 건지
28. ㅇㅇ
'25.10.20 11:54 PM
(211.246.xxx.38)
처음부터 시가에 너무 잘해줬네요.
왜그랬어요?
남편에게도 원글님 연봉 오픈하지 말고
시가 모임 줄여요.
저도 개천용 남편, 시가는 지방 완전 집성촌...
결혼하자마자 생활비 저희가 다 부담했어요.
사람이 뻔뻔한게 10을 해주면 20, 30을 요구하더라고요.
남편이 아무리 서울에서 좋은 대학을 나왔어도
집안환경 무시 못해요. 남존여비, 우리엄마는 불쌍한 사람, 효도 가스라이팅...
저희도 친정이 더 잘살아요.
친정이 잘살면 더 노골적으로 돈을 요구하더라고요. 가난한 사람이 얼마나 뻔뻔해질수 있는지
25년을 겪은 사람입니다
이제부터 원글님을 위한 재테크 하세요.
29. 난
'25.10.21 3:23 AM
(1.235.xxx.154)
한계에 이른거죠
시댁에 이제 잘하려고 하지마세요
저도 30년만에 제 목소리 내거든요
속병나기전에 그만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