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입에 안 맞아서요
꼭 단촛물로 싸야 된다는 사람은 진정 맛있어 그렇게 하겠죠
저는 입에 안 맞아서요
꼭 단촛물로 싸야 된다는 사람은 진정 맛있어 그렇게 하겠죠
네. 저는 수십년된 단촛물 파입니다. 설탕은 좀 덜 넣습니다.
저는 단촛물 여부는 상관없는데
김밥 밥에 찐득하게 한다고 찹쌀 넣는거 싫더라고요
밥이 떡이 됨..
저는 단촛물로 말은건 스시라고 생각하지 김밥이라고는 생각 안해서요~ 김밥의 밥은 소금 참기름 깨죠. 설탕 살짝도 싫음!
저도 단촛물파!!
크래미, 오이, 지단만 넣어 싸는거 좋아해요.
맛도 있고요
여름에 김밥 상하기 쉬운데 단촛물이면 잘 안쉬죠.
전 여름에만 단촛물 넣어서 싸요
담백한 김밥 먹고 싶을 땐 그냥 소금, 참기름 넣고도 싸구요
단촛물에도 소금 들어갑니다~
노리마끼는 단촛물로
김밥은 소금+참기름으로
단촛물은 김초밥이죠.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김밥은 당연히
소금 참기름 깨!
저도 단촛물 파 애들이 싫어해서 못넣어요 ㅠㅠ
전 뭐죠.
단촛물 아니고 촛물파네요 ㅎㅎ
참기름 소금에 식초만 넣어요~
김밥을 단촛물로 싸야 한다고들 그러네요
김초밥 아니고요
여름에만 단촛물 쓰든지 해야겠어요
입에 영 안 맞네요
댓글들 넘 고맙습니다
단촛물 너무 싫어요. 시판 유부초밥 양념도...
나름 입맛 세계화된 편인데 김밥은 한국식이 좋아요.
맨밥으로 싸요
맨밥 너무 싫은데..
약하게라도 단촛물로 해야 김밥 바이브가 나죠
달라요
오이 넣을 때는 햄 빼고 크래미 많이 넣고 단촛물,
시금치 넣을 때는 햄도 넣고 참기름+소금+깨소금...
밥에 소금, 깨, 챔기름 쪼로로록 간을 해야 한식 김밥의 맛이 나더라고요
밥에 단촛물로 간 하면, 일식 노리마끼 맛 이에요
밥에 소금, 깨, 챔기름 쪼로로록 간을 해야 한식 김밥의 맛이 나더라고요
밥에 단촛물로 간 하면, 일식 노리마끼 맛 이에요
저는 촛물 참기름 둘 다 좋아해요. 각자 매력있어요
저도
여름엔 단촛물+오이크래미
나머지는 일반+시금치당근
단무지맛이 결국 단촛물맛 아닌가요?
전 단무지가 들어가야 김밥맛이 완성된거 같아요.
처음 김밥 싸는 거 배울 때 여행가서 친구한테 배웠거든요. 그 친구가 밥을 단촛물로 양념하길래 당연히 누구나 그렇게 하는 건 줄 알았어요. 그러다 몇년후에 다른 친구랑 여행가서 제가 단촛물로 김밥을 쌌는데 이 친구는 질색을 하더라고요. 그건 김초밥이지 김밥이 아니라고요. 근데 한 번 먹어보더니 너무 맛있다고. 그 후로 김초밥파로 전향했답니다 ㅎㅎ
파는 김밥은 밥도 그렇지만 속 재료에 양념을 워낙 강하게 해서 그런 느낌은 없는데 집에서 참기름 소금으로만 양념한 김밥은 김초밥에 비해 무겁고 텁텁한 느낌이에요. 저희 친정엄마도 일제시대에 자라셔서 그런지 원래 우리나라에서도 재래식은 촛물 쓰는 거라고 그러시던데요. 편견없이 한 번 드셔보세요. 식초는 살짝만 넣고 물 많이 넣어서 양념 만드시고요. 전 보통 1:1:1:5 (5가 물) 정도로 섞어요.
물도 넣나요
물은 안 넣고 식초 300미리 설탕 200 소금 30인데 밥에서 느껴지는 단맛이 싫네요
단촛물 소금 다 안 넣고
참기름만 넣어요
단맛이 싫으면 설탕을 줄이시면 되요. 식초:설탕을 3:1 로 해도 괜찮아요. 물은 넣기도하고 안넣기도 하고 집집마다 다르고요.
설탕을 줄이는 방법이 있네요
이 레시피가 최고라고 하도 그래서요
바쁘신데 댓글 고맙습니다
줄여서 해 볼게요
물은 옵션이군요
어려서부터 단촛물 넣은 김밥 먹고 자랐고
시어머니도 김밥 쌀때 단촛물 넣으셨고
그래서 제가 쌀때는 단촛물을 넣지만
애들은 단촛물김밥도 시중의 참가름 김밥도
다 잘먹어요.
김초밥인데요 그건
그냥 소금에 참기름 버무려서
김밥 쌉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