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마요네즈 만들기..실패
마요네즈 만드는 방법이래서 시작했지요..근데 실패했어요
엉기질 않고 걍 물처럼 있어요
나름대로 실패한 원인을 찾고 있는데 잘모르겠어요
고수님들이 가르쳐 주시면 ..그 기름이 아까워서 못버리구 뒀는데 재활용 방법이라두
알려주세요 ㅜ.ㅡ
1. 계란이 냉장고에 있던거 실온에 2시간정도 뒀다가 했거든요
(2시간이 넘 짧은건지 냉장고에 들어간 계란은 안돼는건지 몰르겠어요)
2.식용유와 해바라기씨유를 같이 섞어서 한컵했는데..
(섞어서 하면 안되는거였나??)
도깨비 방망이 비슷한 위즈쿡이라고 홈쇼핑에서 산 거품날 이용해서 돌렸는데..
뭐가 잘못된걸까요???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구제 방법은 없나요??
- [요리물음표] 마요네즈 만들기..실패.. 7 2005-04-15
- [살림물음표] 전골냄비 ??통삼중에 .. 3 2005-05-03
- [살림물음표] 도와주세요^^ 울딸돌이.. 5 2005-03-10
1. remy
'05.4.15 1:51 AM계란은 노른자만 사용해야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기름은 식용유든 해바라기씨유든 포도씨유든 올리브유등 상관없다고 알고 있어요.2. 나는나
'05.4.15 1:53 AM저두 위즈쿡 사용하는데요..
며칠전에 마요네즈 만든다고 해봤네요..
처음에는 올리브유 150ml 정도에 계란(일반계란보다 작은사이즈였어요) 노른자 하나, 소금 약간, 식초대신 레몬즙 약간 이렇게 해서 거품날 이용해서 돌렸는데, 물처럼 있더라구요..
그래서 노른자 하나더! 그래도 여전히 물...
엄마가 옆에서 보시더니 흰자도 같이 넣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셔서, 어차피 망친거 넣어보자 하고 남겨두었던 흰자를 넣으니 마요네즈 처럼 걸죽해지더라구요..
그런데, 만들고 나니 올리브유 특유의 향때문에 먹지 못하고 버렸어요..
계란은 레시피마다 다르더라구요.. 어떤것은 노른자, 어떤것은 전란...
위즈쿡 살때 온 요리책에는 전란으로 되어 있었던거 같아요..
참, 그리고 거품낼때 위즈쿡을 들거나 하지 말고 그릇바닥에 댄 상태로 돌리기 시작해서 걸죽해지면 위아래도 움직이라고 되어 있더라구요..
계란이 적게 들어간 것이 원인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실패한 거 구제방법은 잘 모르겠어요...3. 실비아
'05.4.15 2:48 AM저도 실패한 적이 있어요.
제 경우는 계란을 냉장고에서 나온지 너무 금새 넣었던 것과,
첨에 계란과 식초 잘 섞고 기름 조금씩 넣어가면서 굳었을 때 기름을 추가해야 하는데
첨부터 기름을 많이 넣어서 안되었던 것 같아요.
구제하는 방법은
첨부터 다시 하여 성공하면
망가진것도 조금씩 함께 넣어서 굳게(유화)시키는 방법이 있어요.4. 좋은생각
'05.4.15 9:16 AM계란 노른자 1개에 식용유 1컵 분량을 조금씩 넣어가며 한쪽 방향으로 계속 돌려야 합니다.
식초도 일찍 많이 넣으면 안되고 나중에 다되어가면 약간씩 넣어서 조절합니다.5. quesera
'05.4.15 10:07 AM이렇게 만든 마요네즈는 유통기한을 얼마나 두나요?
6. 무늬만 주부
'05.4.15 11:17 AM이글을 보니 도깨비 처음 사고 마요네즈 만든다고 계란 망친게 생각나네요.ㅡ.ㅡ;;
그때 책자에는 냉장고에있던 계란이 아닌 바로 산.. 신선한 계란으로 알고있었는데
냉장고에 있던것도 되나봐요?7. 루비
'05.4.16 12:15 AM성공한 마요네즈 설명 들어갑니다.
1. 좁고 긴 원형의 용기가 회전력을 도와준다.
2. 싱싱한 계란 1개 (주로 방금 사온 유정란)
3. 소금 1ts ,설탕 2ts, 식초 2~3 ts
4. 식용유 200~300 cc 정도를 붓는다.(저는 초록마을 현미유200ml에 올리브유 30ml 정도 혼합해요.
올리브유가 많이 들어가면 쓴맛이 강해져서 못먹게 됨)
5. 모든 재료를 넣은 다음 그릇 밑바닥에 도깨비 방망이 보호대를 고정시키고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기름이 밑에서부터 엉겨오면 (10초 정도 절대 움직이지 말 것) 위로 살살 당김으로써 위의 기름을 밑
으로 내려가게 도와준다.
90% 마요네즈가 되면 아래 위로 휘저어서 혼합시킨다.
** 저는 식초는 발사믹비네가(포도식초) 사다놓은 걸로 하고 맨 마지막에 연유 2Ts과 아몬드를
추가하여 좀더 고소한 맛을 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