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장터 거래시에 유용한 에스크로 서비스라고 아세요?
소심쟁이 눈팅족인 제가 갑자기 이런 글을 올리는 이유는요.
82에서 살림 구경이랑 이곳 저곳 돌아 다니다 보면 가끔씩 카페나 장터에서 거래 하시다가
적지 않은 금액을 사기 당하셨다거나 이상한 물품을 받아서 속상해 하시는 분들이 더러 계시더라구요.
그때마다 너무 안타까워서 혹시 이거 아셨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많았거든요.
그래서 알려드리면 좋겠다 싶어서 말씀드리는데 .. 이미 다 아시고 계시는데 제가 뒷북이면 어쩌죠. ㅠㅠ
그래도 일단 서비스 설명을 드리자면... 서비스 주체는 은행이구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장터 거래를 할때는 보통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직접 대금을 송금하잖아요.
일종의 신용 선불 거래처럼 돈 먼저 내고 물품을 받고 거래는 종료.. 뭐 이런식으로요.
그런데 에스크로 서비스는 구매자가 바로 판매자에게 송금 하지 않고 중간에 은행을 거쳐서
거래를 한답니다. 송금을 판매자가 아닌 은행으로 하는거죠.
그럼 은행에서 문자나 메일로 판매자에게 입금 사실을 알리고 판매자는 확인 후 물품을 보내고,
구매자는 물건 인수 후 은행에 송금 신청을 하고 그럼 최종적으로 은행에서 판매자에게 송금 ..
이를테면 옥션 시스템이랄까요?? ^^
복잡한거 같지만 ...
구매자가 은행 지정 계좌로 송금 --- 은행에서 판매자에게 배송 요청 ----
판매자가 확인 후 배송 (배송 등록) --- 구매자 물건을 받고 은행에 구매승인 확인 ----
은행에서 확인 후 판매자에게 송금 --- 판매자 송금 받고 거래 종료
물론 중간 단계가 있으니 거래가 번거롭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돈이 빨리 들어오지 않아서
불편하시겠지만.. 그래도 가끔 소액이 아닌 몇 만원이 넘는 금액은 이런 과정을 거치시는 것도
괜찮지않을까요? ^^ 수수료는 구매자가 내는거구요.
10만원 미만은 500원, 이상은 1000원이라 그리 큰 금액도 아니랍니다.
조금이라도 아껴서 싸게 구입해 보고자 벼룩이나 장터 거래 했다가 돈 떼이시면 정말 눈물나잖아요.
우리 은행, 제일 은행에 에스크로 서비스 있다고 하니 꼭 한번씩 읽어 보시고 금액이 크거나
조금 미심쩍은 부분이 있다 하실때는 적절히 이용해보세요. ^^
단, 사기꾼중에 머리 좋은 사람 있어요. 물건 보냈다고 허위 등록하고 구매자에게 연락해
급전이 필요하다고 미리 확인해 달라고 하면 착한 구매자 믿고서 승인해 주는데 이 서비스의 취지??를
제대로 활용해 보려면.. 절대..물건 다 받고 확인 후에 해주세요. ^^
먼저 해줘서 가끔 탈 나는 경우 있는데, 그건 은행에서 책임 안져줍니다. 본인이 승인했으니..
알아두실 점은요. 이 서비스가 좋은 서비스긴한데 말씀 드렸듯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는겁니다. ㅠㅠ
제가 생각하는 단점들만 적어보자면..
1. 판매자, 구매자 모두 에스크로 서비스 이용 은행 회원으로 가입해야함.
2. 공인 인증서가 필요함.
3. 중간 단계를 거져야 해서 불편할 수 있음. (거래 과정을 체크해야 하므로..)
4. 판매자 입장에서는 돈이 늦게 입금 될 수 있으니 불편할 수 있음.
(구매자의 확인이 늦어지면 입금이 늦어짐. 고로 구매자는 받는 즉시 확인해주는 배려가 필요함. ^^)
5. 서비스 자체가 익숙하지 않은 분은 어렵게 느낄 수 있음.
6. 구매자가 서비스 이용료로 10만원 미만은 500원, 이상은 1000원을 내야함.
7. 한쪽이 동의하지 않으면 이용하기 어려움. ㅠㅠ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서비스 최대의 장점은 역시 ~~
사기 당해 돈 날리고, 혈압 오르고, 믿음까지 사라지는 3중 어퍼컷의 피해가 거의 없다는 겁니다.
거래를 은행에서 보증하는거니 말 그대로 안심 거래 에스크로~~!!
게다가 몇 번 이용해보면 요령이 생깁니다. 더구나 82분들 옥션 많이 이용해 보셨을테니
한 두번 해보시면 아마도 쉽게 느끼실듯 합니다. ^^
세상이 하도 이상해서 가끔이지만 5만원 넘어가는 금액을 글 하나만 믿고 거래하기는
부담스러울때가 많잖아요. 그때 이용해보세요. 감이 안좋을때요. ^^
사족이랄까요. 순전히 제 개인적인 생각만으로는 82처럼 장터가 활발한 곳에서는
장터 거래시 3만원 이상은 구매자가 에스크로 서비스 이용을 요구하면
판매자는 동의해줘야 하는 시스템으로 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역시 그건 제 생각일 뿐이구요. ^^;;
이용하지 않으시더라도 정보 삼아 은행 방문하셔서 한번 읽어보세요.
혹시 나중에 요긴하게 쓰일 일이 생길지도 모르니까요.
아래는 혹시 필요하실까봐 제 부족한 설명을 감춰(?)줄 은행 설명을 퍼 왔습니다.
출처는 제일은행 홈페이지입니다.
SC제일은행 장터안전서비스(에스크로 서비스) : 10만원 이하면 건당 500원
http://www.scfirstbank.com/newweb/index.jsp?
1. P2P(Peer to Peer) 에스크로란?
SC제일은행이 제공하는 퍼스트 에스크로 서비스 중 SC제일은행 홈페이지내에서 개인간 직거래시 매매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는 에스크로 서비스입니다. 일반 오프라인 거래 뿐 아니라 전자상거래에서도 물품을 먼저 배송해 주느냐 또는 물품대금을 먼저 지불해 주느냐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자 중 한쪽이 일방적으로 거래 리스크를 부담하게 됩니다. SC제일은행 P2P 에스크로 서비스는 전자상거래, 일반 오프라인 거래 모두를 보호 해 드리고 구매자, 판매자의 양쪽의 거래 만족도를 높여줄 것입니다.
2. 특징과 장점
파격적인 저렴한 수수료만 받고 유용하고 편리한 선진 금융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은행의 철저한 보안 시스템과 공인인증서 시스템 이용으로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금융감독원 보안성 심의 완료)
온라인 거래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거래에 있어서의 거래 리스크도 줄여주는 모든 매매거래 보호 기능을 합니다.
한번의 P2P 에스크로 이용시 10여차례의 이메일, SMS를 통한 거래내용 통지 서비스와 거래 진행표시 바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함을 극대화 합니다.
SC제일은행 고객이 아닌 분들도 공인인증서만 있으시면 누구라도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 사용 방법
물품거래를 하기로 한 구매자와 판매자가 SC제일은행 에스크로 서비스 화면에서 온라인으로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합니다. 이때 SC제일은행 고객이 아닌 분들도 회원가입이 가능하지만 공인인증서는 꼭 가지고 계셔야 합니다.
구매자와 판매자는 거래 상대방을 온라인상에서 조회하여 구매, 판매제안을 하고 서로 매매조건에 합의합니다.
구매자가 SC제일은행 에스크로 계좌에 매매대금을 입금하면 SC제일은행은 입금 확인 후 판매자에게 배송요청을 합니다. 판매자의 배송등록 후 구매자가 구매승인 확인을 하면 SC제일은행이 판매자에게 매매대금을 자동입금 함으로써 매매보호거래가 종료됩니다.
4. 서비스 이용시간, 수수료, 거래한도
서비스 이용시간 : 24시간 365일
수수료 - 에스크로 거래금액 100,000원 이하일 경우 : 거래 건당 500원
- 에스크로 거래금액 100,000원 초과일 경우 : 거래 건당 1,000원
* 에스크로 거래 정상 종료 시 판매자가 부담하고, 에스크로 거래 합의 후
거래취소시 또는 구매거절 시 구매자가 부담함
매매보호한도 : 거래 건당 1만원 ~ 10억원

- [이런글 저런질문] 장터 거래시에 유용한 .. 7 2006-06-25
- [살림물음표] 딤채 구입하려는데 꼭 .. 2 2006-08-01
- [살림물음표] 웍의 리펫부분요. 2 2006-07-16
1. 김영아
'06.6.25 2:41 PM저도 이런게 있었으면 좋겠다싶어요...아기책 전집같은거 솔직히 20만원 이상에 내놓으시는분들 계시는데 구매하고싶어도 단위가 커서........
..........그런데 거꾸로 판매입장에서 생각해보면......구매자가확인은 안누르고 연락안되면 어쩌나요???? 그냥 갑자기 궁금하네요.......;;2. 봉나라
'06.6.25 2:56 PM저도 장터에서 판매를 해왔습니다만, 예전에 어느 한 카페에서 이런 제도를 이용하고 있더라구요.
관심은 있었는데 여러 가지 장단점이 있는 것 같군요. 내일 은행에 들러 자세한 얘기를 들어봐야 겠어요.
자세한 정보 고맙습니다.3. 푸린
'06.6.25 3:16 PM음.. 제 생각이지만 판매자가 배송할 때 은행에 배송 확인을 하니까
송장번호랑 이런게 있으니 정말 보냈는지.. 구매자는 받았는지 추적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물품 대금은 어차피 은행에서 보관하고 있는거니 구매자가 일부러 안해주더라도
판매자가 은행에 보낸 사실 증빙하고 얘기하면 은행에서 알아서 해결해 줄 것 같습니다만.. ^^
사실.. 더 자세한 것은 은행 홈페이지에 자세히 나와있구요. 상담원 콜 번호가 있으니
전화해서 물어보시는게 더 확실하실 것 같아요. ^^4. 목캔디
'06.6.25 5:48 PM에..에스크로서비스를 하는 사이트도 있어요.
(은행 아니고 사이트입니다.)가격은 에스크로서비스랑 거의 비슷했던 걸로 압니다.
장터에 제 이름으로 검색하면 나올텐데..-기억은 안나네요.5. 강물처럼
'06.6.25 7:46 PM쇼핑몰은 에스크로 서비스 의무적으로 해야 합니다.
지난 4월1일 부터요..
6월에는 에스크로 안하는 쇼핑몰 감사도 했었어요..
10만원이상 현금 구매시만 적용되고 결제창에서 무통장 입금 선택하시면 그냥 입금할건지
에스크로 서비스 이용할건지 선택하게 되어있을겁니다.
물론 쇼핑몰 마다 조금씩 형식은 다르겠지만 거의가 하고 있을거에요..6. 코알라^&^
'06.6.25 10:06 PM좋은 의견입니다.
저도 한번 확인해서 다음 진행 때 부터는
실행해야겠네요.
에스크로 서비스 가능 은행계좌와
아닌 은행의 계좌를 공개 해서
원하는 곳으로 입금 하시라 하면 되니까요.7. 블랙커피
'06.6.26 12:15 PM그래서 이멜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장터에서 회원탈퇴하면 그만이지만 이멜주소는 싸이트에 회원정보가 있으니까 이멜 확인으로 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