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논술학원에 안가고도 논술로 대학 갔다는데....
중학생인데 수업료가 비싼 것 같아요.
논술로 대학 간 아이들 얘기를 들어보면 논술학원에 간 적이 없는데도 높은 경쟁률을 뚫었더군요.
책읽고 신문 봤다고...
책 읽고 엄마랑 신문 보면 굳이 논술학원에 보내지 않아도 될까요?
좋은 논술학원에선 어떤식으로 지도를 하나요?
1. 저희
'11.1.6 10:53 AM (112.148.xxx.28)아이 학원 다니지 않았는데요. 평소에 신문보고 토론하는 습관 들인 다음 대학 갈 때쯤 해서는 그 대학 홈피 들어가 기출문제 풀어보고 유형 익혔네요. 논술학원에서도 대개 그런 '유형'가르쳐 주는거 아닌가요? 글을 풀어내는 능력까지 어찌 가르쳐줄 수 있을까 싶은데요...
2. 이과문과
'11.1.6 10:53 AM (124.216.xxx.69)대학논술때문에 중등부터 한다구요? 월25만원 그러면 5년이면 1500만원이예요
이과라면 구지 지금부터 할게 아니랍니다
문과라면 특목고 갈건지 일반고 갈건지 결정되고난뒤부터 해도 된답니다
지금 어머님께서 논술 기출문제 확인하세요3. ....
'11.1.6 10:56 AM (203.233.xxx.130)윗님.. 혹시 신문 뭐 읽히셨나요? 이제 구독하려 하는데 고민이 너무 많아요.
4. 저도
'11.1.6 11:00 AM (61.73.xxx.66)논술잘보고 대학간 케이슨데요.
어렸을때부터 책많이 봤고(엄마가 낮엔 책그만보고 나가서 놀라고.밤엔 책 그만보고 자라고 불끄실때 까지). 신문정독했네요.
수능끝나고 한달 논술학원서 테크닉정도 배운게 사교육은 전부였어요.5. 한논술합니다
'11.1.6 11:36 AM (180.70.xxx.13)저 한논술했어요. ㅎㅎ 대학 들어갈때 제가 쓴 논술 답안이 울 학교 모범 답안 중 하나로 나중에 나오고 그랬거든요. 근데 논술학원 다닌 적 없어요.
한글을 익힌 후부터 책은 정말 엄청 읽었구요.
어릴때부터 매일 저녁마다 엄마아빠 동생과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었는데 어릴땐 동화책이나 위인전의 내용을 엄마아빠한테 들려주면서 그 속의 인물이 나라면 어땠을까 하는 얘기들을 했었던 기억이 나요. 그리고 중고등학교때 동서양고전 많이 읽었구요. 써머리 된 종류로 본 적도 있긴 한데 엔간해선 시간 내서 고전들도 첨부터 읽었어요.
고등학교 들어가면서부터 노트한권에 한쪽은 맘에 드는 기사나 사설이나 암튼 신문 내용 스크랩 하고, 그 옆페이지는 붙인 기사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고 내 의견을 써보는 노트를 만들었구요. (엄청 시니컬하게 써놨더라구요. 다시보니...쥐뿔도 모르는 주제에 잘난척 쩔게 썼더라구요. 기사의 논조까지 막 혼자 평석해 가면서요;;)6. ....
'11.1.6 11:49 AM (175.215.xxx.21)자기 생각이 있는 아이로 키우면 논술은 생각을 글로 쓰기만 하면 되는 것임.... 생각이 없는 아이를 글쓰는 기교만 키워 봤자 아무 소용 없음. 학원에서 가르키는 건 글 쓰는 기교임...
7. ...
'11.1.6 11:54 AM (124.50.xxx.98)논술학원에서 한두달 테크닉정도 익히는거지 학원다녔다고 논술실력이 늘지는 않을듯.
어릴때부터 책많이 읽고 일기쓰게하면 됩니다. 특히 이과논술은 그냥 수학과학 주관식문제풀이예요. 논술이라고 할것도 없는.8. 오바마라
'11.1.6 11:58 AM (60.196.xxx.158)논술은 자신의 생각을 얼마나 체계적으로 쓰냐가 관점이지요
학원의 도식화된 패턴은
대학교수들이 짜증낸다고 합디다9. 논술
'11.1.6 12:02 PM (121.165.xxx.99)2007년인가 부터 대입 논술 형식이 달라졌어요 그전과 달리 통합 교과 내용에서 나오기 때문에
배경지식이 필요 없고 (오히려 감점 요인) 민감한 내용의 시사 문제도 전혀 안나와요.
사회문화나 윤리 내용에서 나온다 보시면 됩니다.
대신 제시문을 여러개 주고 그안에서 요약,비교 비판등 문제 해결해야 하는데(수능 언어영역과 비슷해요) 제일 중요한게 제시문 분석력이고 여기 플러스 논리적 사고와 창의력
다양한 글을 읽고 요약해 보는 훈련이 제일 중요하고 수능 논술 역시 기출문제가 제일 중요해요
여러 대학 기출 문제들을 꼼꼼히 풀어보면서 계속 첨삭하며 글을 다듬어 보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대신 앞으로 입시가 또 어떻게 바뀔지는 모르겠어요 ㅠㅠ10. 그리고
'11.1.6 12:09 PM (121.165.xxx.99)올해 연대 설명회 갔을때 입학 담당 교수님이 하시는 말이 요즘 논술이 혼자 공부하기 힘든거 자기도 인정한다고.. 학원 도움을 받으려면 대신 기출 문제를 가져가서 그걸 설명해 달라 하라고 하시더라구요 반면 고대는 완전 뜬구름 잡는 이야기.. 제발 학원 좀 다니지 마라..자기네는 어릴때부터 책 많이 읽은 준비된 아이들을 뽑는다나... 출제위원이 철학과 교수님이시더라구요
11. 글쎄요
'11.1.6 2:22 PM (124.195.xxx.67)입시가 예전과는 많이 달라져서요
논술 전형도
수능 우선 선발은 수능 성적이 당락을 결정한다고 봐야 하고요,,
특히 이과 논술 같은 경우는
논술이라기보다 본고사에 가깝습니다.12. 중학교
'11.1.6 3:08 PM (14.52.xxx.19)시기에 하는 논술은 책 읽고 줄거리 쓰고 뭐 그런 수준 아닌가요.
정말 할 필요 없어요,
대입 논술은 그런게 아니에요,
배경지식이 많고 논점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으면 좋습니다,
글짓기가 아니라 교과논술이 상위권대학은 많은편이고 문과도 수리논술이 있는 학교도 있어요
그리고 몇몇학교 설명회가면 제발 a,b논술학원은 가지말아라,,그래요 ㅎㅎ
너무 도식화되어있어서 바로 땡..이라는 겁도 주지요,
근데 수능보고 눈술보는건 수능성적이 왠만큼 나와야 하는거라서 논술은 미리 대비할 필요가 전혀 없다고 봅니다,13. **
'11.1.6 3:46 PM (111.118.xxx.116)중학생이면 논술학원이 별 의미가 없어요
윗님말씀처럼 책 하나 더 본다정도겠지요
일단 문과냐 이과냐가 정해져야하구요
그러려면 적어도 고등학교는 들어가야 하겠지요
만일 이과라면 정말 심화수학, 심화과학이라
흔히 알고있는 그런 논술하고는 거리가 멀거든요
(서강대의 경우는 이과도 인문논술이 한 문제 들어갑니다만)
문과라 해도 현재 중학생정도에서 크게 도움되는 논술은 없다고 봅니다
많이 생각하고 신문이나 책 자주 보고...뭐 그 정도가 다라고 생각되네요14. 샘나
'11.1.6 9:59 PM (175.123.xxx.16)올해 조카가 논술로 대학에 합격했어요. 단 한 번도 논술학원은 다닌적은 없구요.
자신의 생각을 그냥 쓰고 나왔다고 하는데, 합격해서 집안에 경사났다고 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