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우리나라는 왜 이리 영어에 목숨 거나요?
무한도전도 뉴욕에서 영어버벅대서 창피했다는 사람도 있고....
한국사람이 한국말 못하면 창피할수도 있겠지만 영어 못할수도 있지 그게 뭐 창피한 일인가요?
영어 완벽하게 해서 한국에서 살때 얼마나 쓸일이 있다고... 어릴때부터 한국말도 하기전에 영어학원(영어 유치원이라고들 부르더군요) 을 보내고 ......
정말 창피한것은 영어를 못하는게 아니라 영어를 못하는 사람을 한심하게 느끼는 국민성이 더 창피한거라고 생각하네요
1. ...
'09.11.23 5:48 PM (180.66.xxx.140)제목보고는 아니라고 말하려고 들어왔는데
내용은 공감이 가는 말씀이네요.
얼마전 싱가폴리콴유총리도 자국영어교육이 실패라고 개탄했다는 기사읽었는데...
핀란드는 아예 공영방송에 영어자막을 넣지요..
영어에 신경쓰는게 꼭 우리만은 아니란거죠.
그치만 원글님 말씀처럼 영어못한다고 창피해하는 연예인들 볼때마다
그들이 더 창피하더군요.
영어를 너무 어렵게생각하는 태도가 영어를 할수없는 큰 장벽이라고 봐요.
모국어 외에 외국어를 못한다고 기죽지는 말면 좋겠습니다.2. .
'09.11.23 5:54 PM (211.48.xxx.155)중국은 더해요.
3. 우리나라 뿐만니라
'09.11.23 5:59 PM (121.181.xxx.78)인근 아시아나 기타 다른 나라들 다 그래요
ㄱ그리고 당연히 목숨걸죠
이유가 뻔하잖아요
최강대국이니
그리고 영어 잘하면 이득이 많고4. /
'09.11.23 5:59 PM (211.114.xxx.83)어쩔수 없지 않나요
대학도 편입도 대기업도 공기업도 영어점수로 가려지니 당연하다고 봅니다.
사회구조가 바뀌지 않는한 특히 학생들은 영어 죽어라 해야겟죠5. 나라가
'09.11.23 6:02 PM (211.205.xxx.169)좁은데 더넓은 나라가서 먹고 살기도 하고 더 배울거 많은 나라 가서 혜택좀 보려고 이 난리 아니겠어요 좁은 데서 아웅다웅 살기 한계가 있구요
그러려면 언어가 일단 되어야 하니까6. 영어
'09.11.23 6:05 PM (211.205.xxx.169)만 잘했다면 인생 바뀌었을 사람 많지 않나요
부모들이 그러니 애들한테 더욱 한풀이 식으로 가르치는거겠죠7. 좁아??
'09.11.23 6:10 PM (112.148.xxx.27)나라가 좁아서 나가살려고 영어한다????ㅋㅋㅋ물론 이게 영어하는 목적의 다는 아니겠지만
나꾸 웃음이 나오는군요...8. 깜장이 집사
'09.11.23 6:14 PM (61.255.xxx.23)저도 부모님들의 한풀이 정도로 밖에 안보인다는..
사실.. 사교육의 대부분이 부모들의 한풀이로만 보이네요.. 흠..9. 영어꽝
'09.11.23 6:47 PM (121.181.xxx.22)인터넷도 영어만 잘하면 세계와 소통할수잇는것인데..
우리나라사람이 영어 제일 못하는듯합니다.
들인시간대비...
거의 영어가 세계공용어수준인데 우리는 뭐햇는지..
영어때문에 손해보는 일 많은듯합니다.10. 영어만
'09.11.23 8:18 PM (112.149.xxx.12)잘해도 먹고 살 수 있어요. 설대요? 나오면 좋겠는데요. 요즘 외국 기업도 많고, 그래서 영어 못하면 그건 분명 핸디캡 입니다.
영어는 돈 이에요. 아르바이트를 해도 편하고 쉽게 돈을 벌어요.11. ?
'09.11.23 8:54 PM (121.134.xxx.21)영어 완벽하게 해서 한국에서 살 때 얼마나 쓸 일이 있냐고 하셨죠?
누가 그냥 일상생활에서 영어 완벽하게 쓰려고 영어배우나요?
일에서 공부에서 더 많은 정보, 기회를 얻기 위해서 영어를 배우죠.
설마 우리나라 부모들이 다 한풀이로만 영어를 가르치겠어요?12. 원글님 말씀에 동감
'09.11.23 9:42 PM (124.50.xxx.22)영어, 물론 살아가면서 도움될 일도 많고 잘하면 좋겠지만 어려서부터 영어 집중 교육으로 인해 놓칠 수 있는 것도 많다고 봅니다.
제 생각으로는 영어만 잘해서는 뭐 그다지 잇점은 없다고 보구요,,두루 두루 갖춘 사람이 영어를 잘하면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모두가 다 외국 회사 다닐 것도 아니고 외국 출장 갈 것도 아닌데 너무 어려서 부터 영어에 치우친 교육을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전체적으로 학습 능력을 키우면 나중에 영어가 아주 절실한 시점이 되면 그 때 가서 집중적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한참 뛰어 놀 유아기 부터 영어 집중 교육은 아니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