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단독주택을 원룸으로 개조하면?

단독 조회수 : 906
작성일 : 2009-06-10 16:15:01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은 주변 아파트보다 가격이 낮은데 지금 살고있는 아파트 팔고 주변 단독을 매입해서
건축비 들여 원룸이나 고시텔로 만들면 앞으로 괜찮은 수익원이 될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몸값 쑥쑥 올라가는 '단독주택'   2009-06-10 12:47


서울 양천구 목동의 한 원룸형 주택.

2층 건물에 12가구가 독립된 생활 공간을 꾸릴 수 있도록 꾸며졌습니다.

화사한 벽지에 웬만한 가전제품까지.

깔끔하게 차려진 이 곳은 올 초만 해도 낡은 단독주택이었습니다.

집주인 박모 씨는 대지 2백 47㎡의 단독주택을 최근 방 12개짜리 원룸 형태로 개조했습니다.

불황에 다니던 회사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직장을 그만둔 박 씨는 자신의 단독주택을 개조해 임대사업을 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박모 씨/서울시 목동 : 은퇴하고 나서 수익을 올릴려고 생각하다보니까 원룸사업이 요즘 가장 좋은 것 같아서 원룸으로 개조를 했죠.]

지은지 30년 된 낡은 단독주택이 고정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는데 효자 노릇을 하게 된 셈입니다.

임대 수익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12개 원룸의 보증금이 1억 2천만 원, 다달이 임대료 수입이 5백만 원 들어온다고 가정하고, 집을 개조하는데 든 비용 4천만 원을 감안하더리도 460만 원 정도의 월 수입을 올릴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박모 씨/서울시 목동 : 집이라도 있어가지고 리모델링 하고 나니까 아주 든든한 노후대책이 되더라고요.]

박 씨의 경우처럼 아파트와 다가구 등 빌딩의 그늘에서 하나 둘씩 사라져가던 단독주택이 요즘 귀하신 대접을 받고 있습니다.

관리 불편 등 단점 때문에 급격히 줄어들었던 단독주택 수요도 부쩍 늘었습니다.

미분양 등으로 골치를 앓고 있는 아파트 시장과는 대조적으로 단독주택을 찾는 이들의 발길이 늘면서 가격도 많이 올랐습니다.

서울 강남구 일대의 단독주택 가격은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3.3제곱미터당 2천만 원 정도에서 지금은 2천 5백만 원, 많게는 3천만 원 정도로 올랐습니다.

거래건수는 20% 정도 증가했습니다.

[봉하운/부동산 공인중개사 : 아파트가격보다는 단독주택가격이 예외적으로 강남에서 많이 저평가 되어 있었어요. 그런데 그 수요자들이 강남의 아파트보다 단독주택을 사서 새로운 다가구나 원룸주택 이런 쪽으로 변환하기 시작해서 수요가 증가되는 원인이 됐습니다.]

불황에도 비교적 경기의 영향을 덜 받는 소형주택 임대사업이 단독주택의 몸값을 올리고 있는 것입니다.

원룸형, 기숙사형 등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을 쉽게 지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뉴타운 등 도심 재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땅을 가지고 있는 단독주택의 희소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추명진/소형주택 건설업체 대표 : 뉴타운 개발로 멸실되고 있어서 별로 남지 않았거든요. 별로 남지 않았는데 이 도심형 생활주택이나 다른 은퇴노후대책으로.]

하지만 단독주택에 대한 관심이 늘었다고 해도 주의할 점은 있습니다.

[이영진/닥터아파트 소장 : 지역들이 가급적이면 노후되어 있거나 낙후된 지역의 단독주택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나중에 취득 후에도 자산가치의 상승을 이룰 수 있는 지역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 역세권이나 뉴타운 지역을 중심으로 적어도 99㎡, 30평 이상의 땅을 끼고 있는 단독주택이 인기가 있다는 게 중개업자들의 설명입니다.

여기에 단독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여전히 환금성이 떨어지는 편이어서, 단독주택을 살 때에는 반드시 투자 목적을 분명히 하는 게 좋다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605579
IP : 222.106.xxx.20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단독
    '09.6.10 4:15 PM (222.106.xxx.202)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605579

  • 2.
    '09.6.10 4:24 PM (121.160.xxx.58)

    어떻게 지으면 4천만원에 방12개, 가전제품이 완비될까요?
    가진돈이 엄청 많다면 원룸 괜찮겠지요.

  • 3. 그게
    '09.6.10 5:32 PM (125.182.xxx.9)

    개조비용이 1억6천인데
    보증금 1억2천을 뺀 금액이라 들었어요...

  • 4. 훔..
    '09.6.10 7:05 PM (121.162.xxx.106)

    저희집이 명지대뒷편인데..단독이거든요,.
    40평인데..부동산에 내놔도 보러오는이가 없네요..
    대학가근처라..원룸이 부족하다는데..정말 원룸 지어놓으면 딱 좋을 위치이긴해요..
    제가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으면..저도..원룸 짓고 싶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6845 은행업무에 대해 아시는분 조언좀... 3 수표 2006/12/01 433
326844 혹시 방문 여닫이 방향을 바꾸시문 계신가요...? 4 찬영엄마 2006/12/01 623
326843 내게도 인연이 올까요 ..? 18 외롭다.. 2006/12/01 2,613
326842 남대문 임산부타이즈 불량품 교환해 줄까요? 3 임산부 2006/12/01 164
326841 들깨가루가 노란데요.. .. 2006/12/01 365
326840 혹시 파마직접해보신분계신가요? 6 집에서.. 2006/12/01 522
326839 아기 엄마는 도대체 옷 코디를 어떻게 ㅠㅠ 14 심각. 2006/12/01 1,564
326838 그냥 시시껄렁 투덜잡담.. 2 두아맘 2006/12/01 485
326837 "마음속의 그림책" 이런 책 또 없나요? 넘 좋아요 2006/12/01 253
326836 병원어느과로가야하나요? 8 chris 2006/12/01 571
326835 캐나다 토론토 요즘 날씨 어떤가요?? 1 궁금녀 2006/12/01 277
326834 음식점에서의 작은 예의 5 부끄러워.... 2006/12/01 1,204
326833 어린이집은 언제부터 보내나요? 7 첨이예요 2006/12/01 801
326832 장터에 이두영님... 1 후기 2006/12/01 1,039
326831 급해요...세탁기 전원버튼이 안되네요. 8 도와주세요 2006/12/01 8,670
326830 머리를 밤에 감고 자니 아침에 스타일이 안나와요 4 헤어 2006/12/01 952
326829 볼륨매직 맞는지 봐주세요 6 황당스러워라.. 2006/12/01 1,275
326828 맛있는 떡집이요... 1 떡~ 2006/12/01 659
326827 마라톤 하시는 분 계신가요? 5 두아맘 2006/12/01 406
326826 광진구나 강동에서 남양주시청까지 출퇴근하려면요?? 3 궁금 2006/12/01 305
326825 퍼스트클래스 담요 + 책이 구천원이래욧! 6 정보? 2006/12/01 913
326824 아이둘 합한 사교육비 총 16만원 입니다 7 제경우 2006/12/01 1,529
326823 장터에서 7000원에 구입한 물건의 택배비가 5500원.. 33 이런.. 2006/12/01 2,012
326822 팝송들을수 있는 싸이트 좀 알려주세요? 3 팝송 2006/12/01 416
326821 새로운 직장에서 전직 직장의 경력증명서는 어떻게 떼나요..? 2 직장 2006/12/01 433
326820 기저귀 사이즈를 잘못샀는데.... 3 초보맘 2006/12/01 233
326819 남자 양복.. 2 . 2006/12/01 298
326818 뉴라이트 새 교과서 만든 교수들 명단.. 11 아... 2006/12/01 1,274
326817 뉴라이트 새 교과서 만든 교수들 조선 동아일보 반응 조중동이란... 2006/12/01 578
326816 뉴라이트 새 교과서 위안부 삭제 일제는 강점 아니라 합병 9 나라가 망할.. 2006/12/01 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