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배추가 좀 덜 절여진 상태에서 ........

초짜에요ㅜ.ㅜ 조회수 : 763
작성일 : 2008-10-03 11:11:14
김치를 담궜다면 어떻게 되나요?

회생가능한가요?

지금이라도 소금을 넣으면 괜찮을까요? ㅠ.ㅠ

절이는 통이 너무 작은데 맨날 1포기만 하다가 2포기를 했더니 잎은 절여지고 배추대(줄기) 부분은 싱겁고

엉망인데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몰라서 그냥 양념에 버무려서 담긴했는데

버리는 사태가 올까봐 걱정이네요

잎은 먹어보니까 적당한게 맛있는데 줄기는 싱거워요 ㅠ.ㅠ

도와주세요~
IP : 211.215.xxx.4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ㅠㅠ
    '08.10.3 11:12 AM (218.149.xxx.40)

    80이 다 되신 저희 어머님은 지금도 김장 배추를 덜 절여서 한답니다.

    그러면 한 여름까지도 아삭한 맛이 남아있습니다.

    근데 대부분 분들은 덜 절여진 배추는 영 아니다라고 생각하시네요..

    그냥 익힘으로 하심 어떨지..

    대신 양념을 조금 짭짤하게 하셔야 제 맛이 납니다...

  • 2. ...
    '08.10.3 11:29 AM (58.227.xxx.103)

    경험상 소금은 맛을 약간 씁쓸하게 느껴지게 만드는것 같아요.
    젓갈을 조금더 넣으시면 괜찮을것 같습니다.
    제가 항상 덜절여서 담기때문에 위의 방법을 자주 쓴답니다.

  • 3. ..
    '08.10.3 11:54 AM (124.56.xxx.39)

    덜 절여도 김치 담가집니다. 김치 양념속에 염분이 있으니까 익으면서 절어요.
    다만, 완전히 절여서 하면요, 배추속의 수분이 다 빠져나와서 김치 담가놓아도 물이 좀 덜생기고요,
    덜 절여서 하면 익으면서 물이 촉촉하게 좀 더 많이 나와요.
    그리고 오래 두면 덜 절여서 담근 배추가 무른다고 하는데 그건 이를테면 김장 담가서 내년까지 먹거나 그럴때 얘기고요,
    요새 담가서 한두달 먹을거면 별 문제 안생겨요.
    저도 항상 덜 절여서 담그는 편입니다. 잘 절이는것은 좋은데 잘못하면 짜져서 저는 조금 덜 절여야 아삭하고 맛있더라구요.

  • 4. ....
    '08.10.3 10:39 PM (210.117.xxx.137)

    이미 담구었기 때문에 제경험상 어떡해
    할수가 없겠네요 싱겁더라도 그렇게 먹어야죠
    담부턴 덜절여진 상태로 담구었다면 다담구고 그위에 굵운소금을
    뿌려 두시면 되고 어느분말씀처럼 액젓를 조금 부어놔도
    제맛이 납니다 몇번 하시다 보면 요령이 생기니 몇번 해보세요
    전 한번 담구면 12포기 정도 담구어서 먹습니다 시원하고 아삭 거리는걸 식구들이
    좋아해서 항상 다버무리고 김치위에 굵은 소금 뿌립니다 정말 시원하고 맛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7385 아깝다.. 1 웅.. 2008/10/03 389
237384 김치할때 감자가루죽 넣으면 안될까요. 4 자수정 2008/10/03 578
237383 김포공항-고속터미널 택시비는? 8 한국가요 2008/10/03 1,088
237382 82만은 살인자가 되지 맙시다 5 세 치 혀 2008/10/03 790
237381 생리때 파마해도 예쁠까요? 3 머리산발 2008/10/03 1,196
237380 혹시 유산 후에 신체접촉 자체가 싫으셨던 분 계신가요? 2 괜찮아지나요.. 2008/10/03 514
237379 어머니나 시어머니 손주 키워주시면 15 카카 2008/10/03 1,421
237378 미네르바[암호해독버젼] 9 빨간문어 2008/10/03 1,362
237377 투매트리스 버릴때 두개다 버려야 하나요? 5 침대 2008/10/03 711
237376 왜 별나게 안티를 해야 하는지.. 4 착한심성 2008/10/03 564
237375 그분의 화려한 업적 5 카카 2008/10/03 973
237374 전세 줄때 도배, 장판은 어떻게 하나요? 9 전세 2008/10/03 1,090
237373 중국 여행 경험 있으신 분 도와주세요~^^ ^^ 2008/10/03 212
237372 경방의 미네르바님의글을 읽고.. 4 답답합니다... 2008/10/03 1,035
237371 왜 남의 남편 연봉이 궁금할까요..? 19 허리띠 졸라.. 2008/10/03 2,643
237370 멜라민 사태에서 우리가 상기해야 할 상황 1 멜라민 2008/10/03 341
237369 남자 정관수술 입원 요하나요? 9 엄살남편 2008/10/03 923
237368 노인이 되면 사탕을 좋아하네요. 7 달콤 2008/10/03 879
237367 수십조 혈세가 날라 갑니다 2 rememb.. 2008/10/03 655
237366 인절미 칠 때 꽈리가 인다는 게 무슨 말인가요ㅠㅠㅠ 6 부실초짜 2008/10/03 616
237365 제가 아이 개월수를 잘못 알고 있는건가요? 15 바보엄마 2008/10/03 777
237364 은행 추천 좀 해주세요 1 은행 2008/10/03 407
237363 이번에는 어느분이 최진실의 죽음 예감한 사람 없나요? 13 애도.. 2008/10/03 6,251
237362 서울시티투어 알려주세요 acing.. 2008/10/03 226
237361 소리가 안나요 1 컴퓨터 2008/10/03 190
237360 배추가 좀 덜 절여진 상태에서 ........ 4 초짜에요ㅜ... 2008/10/03 763
237359 도우미 아주머니 도움을 처음 받는데.. 간식 및 가시는 시간.. 일종류 문의드려요 5 도우미 2008/10/03 1,070
237358 새벽 3시가 넘어 들어온 남편의 헛소리 헛소리 2008/10/03 883
237357 세우실님!! 한박자 쉬고.. 7 듣보잡 2008/10/03 836
237356 믿을수있는새우젓갈추천좀해주세요 3 김치담궈요 2008/10/03 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