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부동산 버블 붕괴 남의 일 아니다

. 조회수 : 722
작성일 : 2007-12-18 20:30:04
기고/김광수]부동산 버블 붕괴 남의 일 아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9월에 서브프라임론 부실 사태로 인한 손실 규모가 최대 1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았다. 그 후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는 손실 규모를 최대 2000억 달러로 추정했으며, 벤 버냉키 FRB 의장도 1500억 달러 이상일 것으로 전망을 수정했다. 외국계 금융기관들은 손실 규모가 더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7∼9월 미국과 유럽의 대형 은행그룹과 주요 금융기관의 서브프라임론 관련 손실이 발표되면서 주가가 절반 이하로 급락하는 종목이 속출했다. 10∼12월 손실 규모는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태가 악화되자 조지 W 부시 미 행정부는 서브프라임론 사태에 대한 종합구제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08년부터 금리가 7∼8%에서 9∼11%로 상승하는 변동금리부 서브프라임론(ARM) 대출자만 대략 180만 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국내 부동산시장의 경우, 일반은행은 무리한 부동산 관련 대출과 예금의 증시 이탈로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 일반은행이 자금 확보를 위해 양도성예금증서(CD)와 단기외화차입, 은행채 등을 남발해 금리가 상승하더니 11월부터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은행의 과다대출은 2005년부터 확대돼 올해 들어 사태가 매우 심각해졌다. 은행이 증권시장과 단기외화차입을 통해 자금을 대규모로 조달하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다. 1980년대 말 일본의 버블 상황과 똑같은 상황이 한국에서 재현되고 있는 것이어서 우려스럽다.

최근 한국은행도 서브프라임론 사태 이후 국내에서 신용도가 낮은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34조 원에 이른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12∼13% 규모로 미국의 서브프라임론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했다. 금융기관별로는 은행권이 19조 원으로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9%인 반면 보험,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은 15조 원으로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25.1%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투기적 가수요를 포함한 국내 아파트시장의 수급을 우리 연구소에서 분석해 본 결과 지방은 66만 채 이상의 잠재적 공급 과잉 상태에 있고, 수도권 역시 공급 부족이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2001년 이후 온갖 투기적 가수요를 제외한다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역시 사실상 상당한 수준의 공급 과잉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은행의 자금 부족으로 인한 금리상승 압력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다. 그래서 1억∼2억 원 또는 그 이상의 은행 및 금융기관 대출을 끼고 아파트 등을 산 사람은 늘어나는 이자 부담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차기 정권을 누가 잡더라도 부동산 투기로 인한 아파트 가격 급등을 방치할 수 없다. 참여정부가 무너진 결정적 요인은 부동산 투기 대책 실패이기 때문이다.

이미 한국 경제는 부동산 투기 대책 실패로 인해 총체적 위험수위에 이르렀다. 미국과 일본 등 외국에서는 한국 부동산시장의 버블이 터지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본다. 지금이라도 무리한 대출로 부동산을 산 사람은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낮은 가격에라도 손절매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한다. 늘어나는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파산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기 때문이다.

김광수경제연구소 소장





IP : 222.106.xxx.66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1821 치과서 견적을 받고왔어요 3 크림치즈 2007/12/18 544
    161820 저도 아미쿡 대열에 끼였어요.^^ 4 아미쿡 2007/12/18 530
    161819 문후보 지지자들만 보세요 19 종각유세 2007/12/18 985
    161818 부동산 버블 붕괴 남의 일 아니다 . 2007/12/18 722
    161817 MRI 사진이 잘못 나왔을때 푸르른날 2007/12/18 253
    161816 시래기를요.. 글쎄.. 2틀이나.. 깜박잊고.. 물에 담그어 두었네요.. 1 어쩜좋을꼬?.. 2007/12/18 388
    161815 “‘나’라고 한적 없다” 나경원 대변인 패러디 화제 15 코미디야 2007/12/18 1,391
    161814 인터넷으로주문하고인천공항에서인도받을때 4 면세점 2007/12/18 308
    161813 낼 은행 쉬나요? 1 궁금 2007/12/18 492
    161812 화나게 만드는 시누//// 6 짜증나 2007/12/18 1,356
    161811 인터넷으로 사는 커텐 추천부탁드려요 1 . 2007/12/18 185
    161810 집값 어떤가요? 3 요즘 2007/12/18 1,230
    161809 어린아들 소소한 거짓말 1 학부모 2007/12/18 383
    161808 아들은 봉? 4 조언해주세요.. 2007/12/18 649
    161807 사워크림 맛이 마요네즈랑 비슷한가요? 5 궁금 2007/12/18 1,456
    161806 11살 남아옷 1 아이들옷 2007/12/18 142
    161805 추천 좀 주세요-경기도 남양주 고등부 학원.. 2007/12/18 132
    161804 태안반도에 사시는 분들 태안반도 2007/12/18 180
    161803 아이 친구들이 집에와서 장난감을 가져갔던일이 있었는데... 1 엄마 2007/12/18 445
    161802 혹시 "아씨우리옷"이라는 한복 아세요? 3 여쭤봐여.... 2007/12/18 404
    161801 인테리어 된집 값더 받을수 있을까요? 12 2년살집 인.. 2007/12/18 1,243
    161800 아이옷 패딩 8만 상의 2만5천 하의 3만 4 엄마 2007/12/18 694
    161799 복수해주고파~~ 1 미쳐미쳐 2007/12/18 529
    161798 국회 의사당 아이랑 견학가보신분? 헌정기념관도 갈까요 말까요? 1 .. 2007/12/18 103
    161797 대전 사시는 분들 도움 말씀 부탁드릴게요~ 3 대전 2007/12/18 299
    161796 아이들 생일날 선물 안 사가지고 오는 아이 생일엔??? 15 ^^ 2007/12/18 1,072
    161795 크리스마스 이브(24일) 고속도로 많이 막힐까요? 2 이브 2007/12/18 597
    161794 두식구 사용하기에, 브리타 정수기 어떤게 좋을까요? 3 . 2007/12/18 402
    161793 이명박 지지자들의 모순 <딴지일보 인터뷰 중 발췌> 2 공감되어서... 2007/12/18 484
    161792 언니하고 싸웠네요. 4 언니와 나 2007/12/18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