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결혼식에서요...
이것저것 경비 얘기하다가 사회자에게도 답례를 해야하는데
요즘에 현금이 좋다며 삼십만원 정도 준다네요.
저는 친한 친구인데 그냥 축하의미에서 봐줄수도 있는데 삼십은
너무 과한 금액아니냐고 했더니 요즘엔 다 그렇대요.
친한 친구들 사이에서도 이렇게 돈으로 사례를 해야하나 좀 씁쓸해요.
제가 나이 들은 탓일까요?
1. .
'11.3.16 1:13 PM (59.27.xxx.214)5년전에 결혼했는데 따로 밥한번샀나, 아님 밥도 단체로 사주고 말았나 그랬던 기억이 나요.
어째튼 고마워서 자발적으로 사례를 하는건데 금액이 과해도 그들에겐 당연한건가부죠..2. 헐..
'11.3.16 1:15 PM (58.145.xxx.249)저희때는 그런거없었는데... 사회해준친구가 축의금도 내구요.
따로 밥한번 사고 이랬어요.3. ㅈ
'11.3.16 1:17 PM (175.124.xxx.112)그거 함값 대신 받아서 , 요즘은 함값 이런거 안하니 , 친구들끼리 아님 신부 신랑 친구들 다 뭉쳐서 한자리 놀것 같은데요? 혼자 냠냠하지는 않을듯이요.
4. 헐
'11.3.16 1:18 PM (115.137.xxx.196)울남편 수없이 결혼식 사회 봐줬는데 요즘 같으면 떼부자 되었겠어요...
사회 봐줄 정도면 친한 친구일텐데... 돈이 오가야 되나요...5. ..
'11.3.16 1:19 PM (1.225.xxx.35)축의금 대신 부주로 사회 봐주는거였는데 요샌 그런가보네요?
6. 차라리
'11.3.16 1:25 PM (124.216.xxx.190)윗님 말씀처럼 축의금대신으로 하는것도 좋은 생각인것 같네요.
7. ㅎ
'11.3.16 1:25 PM (211.218.xxx.74)저희신랑도 30 줬네요(2년전)
큰돈이라면 큰돈이지만 분위기상..ㅎㅎ
그래도 사회봐주는거 고맙잖아요^^8. 덜렁이
'11.3.16 1:25 PM (110.13.xxx.107)동생분에게 정 마음이 쓰인다면
친구들끼리 결혼식 끝나고 따로 술마시러 갈건데
그때 좀 넉넉하게 주라고 하세요
저도 얼마전에 결혼을 했는데
신랑이 사회 본 친구에게 대표로 돈을주면서 니들끼리 술한잔 해라 하던데요...
요즘은 함을 안하니 다들 저렇게 하더라구요9. 과한거 아닌데요?
'11.3.16 1:27 PM (121.181.xxx.81)저희 결혼식도
신랑 친한 친구가 사회를 받는데 (대다수 젤 친한 친구가 사회를 보죠)
현금 30으로 답례 했어요
그리고 이 친구는 따로 부조했고요
저희도 식 전에 다른 먼저 결혼한 친구들에게 물어봤는데
다들 이런 식이었어요
20-30답례 주고
주례 한 친구는 부조하는 경우도 있고 안 하는 경우도 있고 그건 친구 깜량 (?)이고요10. ...
'11.3.16 1:33 PM (124.5.xxx.18)사회며 축가며 다 사례 합니다.
그리고 사회봐 주고 축가 불러주는 걸로 마는 게 아니라 축의금은 또 따로 내구요.
사례 받은 것만큼 축의금도 넉넉하게 내던데요.
서로 상부상존 거 같아요. 그냥 해 준다고 해도 그냥 맡기긴 좀 불편하잖아요, 절친이라도.11. 움
'11.3.16 1:38 PM (112.151.xxx.99)사회는 약간 품앗이 개념도 있어요.
울 남편이 그 친구 결혼식때 사회봐줬었는데 암것도 없었다기에
저희 결혼식때도 그친구가 해주고, 저희는 밥한끼 샀어요.12. 흠..
'11.3.16 1:40 PM (203.234.xxx.3)그냥 하루 진행 도우미 부르는 게 낫겠네요. 특A급 행사 도우미 (귀빈 조찬 안내 방송 등)도 1일 18만원인데. (올데이 행사. 반나절 행사는 12만원)
13. 너무
'11.3.16 1:56 PM (220.85.xxx.226)했네요.
30은...금액의 문제가 아니라..저같음 그냥 안 받을거 같아요.
근데 그건 아셔야 해요.그 친구분이 정말 사회본 경험 많지 않는한...전문인 도움 받는게 나아요.
저희 언니때보니까 그렇더라구요.이왕 금액지불하신다면..씁쓸한 세상이네요.
친구끼리...돈거래라...14. 그게이상한가?
'11.3.16 2:00 PM (124.5.xxx.18)어머 사회 봐 준 친구한테 사례하는 게 그렇게 이상한가, 윗댓글들 보니까 갸우뚱해져요.
전문행사도우미가 더 싸도 행사도우미가 하는 거랑 분위기 완전 다른데요?ㅠㅠ
어설픈 그게 더 좋고 정겹잖아요.
정겨운데 뭔 돈이냐구요? 고마움의 표시죠, 그건.
그리고 그 돈 받아서 사회가 그냥 혼자 꿀꺽 안 해요.
뒷풀이 때 친구들한테 쓰죠.
어차피 함진애비도 없는 세태라 결혼식 끝나고 절친들 모여서 같이 뒤풀이 하는데 다시 추렴하는 것보다 그런 돈으로 쓰고 하는 지금 방식이 전 좋던데요.
함값은 백 만원 갖고도 택도 없잖아요.
울 언니 이십 년 전에 함 받을 때도 70만원 줬는데...
그런 거 생각하면 그냥 쓸 돈 쓴다 생각하고 쓰는 게 맘 편하던데요.15. 호..
'11.3.16 2:09 PM (121.173.xxx.26)음 저희 선물사다줬는데...그렇게 줄 생각도 못했고...이번엔 반대로 저희신랑이 사회 봐줬는데 그런 생각은 못했는데요..줘도 안받을듯 싶어요.. 젤친한 친군데..
16. 이런.
'11.3.16 3:41 PM (119.71.xxx.4)친한친구들 중 사회봐주는거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저렇게 사례비를 주는지는 몰랐네요
아직 제 주위에는 그런소리 못들었어요...17. ...
'11.3.16 4:10 PM (128.134.xxx.1)축의금 대신 사회로 하는 경우를 제일 많이 봤네요
저흰 서로 해준 경우라 작은 향수 선물 주고 받고 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