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랫만에 불어 모임에 나온 마리포사님, 그동안 독일에 다녀오고 심하게 아픈 모양이라 얼굴은 아직도 회복이 안 된 느낌이었지만
선물 보따리를 가득 들고 왔네요. 아직은 읽을 엄두도 나지 않는 소설 한 권(독일어 소설)과 베를린 필하모니의 2011-12년 정기 연주회를
알리는 팜플렛, (이것은 영어와 독일어가 함께라서 반가운 선물이었습니다.) 영화제 소식을 알리는 소책자들, 그리고 베를린
필하모니 연주회에 갔을 때 구한 어린이 용 책 한 권 (이것은 자신도 필요한 책이라서 먼저 읽어보고 돌려달라는 주문이었는데요
어린이들에게 오케스트라와 음악을 친근하게 느끼게 하려는 말하자면 음악동화였습니다. 물론 독일어로 된 것이고요)
이 책들이 기쁜 선물이긴 한데 언제 내용을 파악하면서 다 읽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조금 마음이 무거운 선물이기도 하네요.
불어수업을 하는 중에 밖에서 통화하는 소리를 듣자니 동생이 서현이 어머니세요? 오랫만입니다. 하는 목소리가 들립니다.
서현이 어머니, 오랫만에? 그렇다면 강남으로 오래 전 이사간 그녀일까 궁금했는데 전화로 도서관 약도를 묻더니 찾아왔더군요.
일산에서 약속이 있어서 온 김에 들렀다고요. 10년만에 만나는 그녀, 일단 수업후에 만나기로 하고, 머리에 쥐가 나는 불어 책을
여럿이서 읽었습니다.
일산에 살 때 함께 스캇 펙의 책을 읽은 것을 기억하고 있던 그녀가 최근에 악의 사람들, 혹은 거짓의 사람들을 읽었노라고
이야기하네요. 사실 저는 그의 저서를 여러 권 읽었지만 거짓의 사람들은 서문만 읽고는 어쩐지 감당하기 어렵다는 생각에
그냥 책을 덮은 책이어서 그런 이야기를 서두로 해서 잠깐 만나려던 계획은 멀리 가버리고 오후 다섯시, 꼭 일어나야 하는 시간까지
이야기꽃을 피우게 되었는데요, 그녀, 그녀의 일행, (그녀 역시 오래 전 학부형으로 알던 분이어서요 ) 이렇게 셋이서
거의 십년의 공백을 뛰어넘으면서 이야기가 통해서 놀랐습니다.
그녀의 딸은 지금 독일에 교환학생으로 가 있고 아들은 건축공학과에 입학을 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건축공학과라고요?
그렇지 않아도 지금 한참 건축에 관한 책을 읽느라고 독서삼매경이라고 했더니 반가워하네요. 어렸을 때 만화책에 코박고 있던
있던 녀석이 벌써 커서 대학생이 되었고, 승태랑 동갑인 딸은 의젓하게 커서 자신의 앞길을 제대로 닦아 나가고 있다는 말을
듣고 있자니 기쁘기도 마음 한 편이 서늘하기도 해서 제 자신도 놀란 날이기도 했지요.
심리학과 불어로 읽는 철학책 읽기 모임에서 합류하기로 약속을 하고 헤어지면서 사람의 인연에 대해서 생각을 한 날이기도 했습니다.
동네에 살았다는 인연만으로는 이런 대화가 가능했을까? 관심사가 같은 부분이 많아서 이렇게 순식간에 흐르는 듯한 감정의
교류가 가능한 것이 아니었을까?
앞으로 어떤 인연으로 발전한 것일까 기대가 되기도 하고요.


회원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