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요람을 흔드는 '불량 베이비시터'-

| 조회수 : 2,948 | 추천수 : 30
작성일 : 2007-01-24 11:01:48

시장규모 1조원 급성장… 인증제도·관리기구도 없어

지난 4일 서울 강서구 A베이비시터(아기도우미) 업체 강의실.

A사가 베이비시터 지원자 10여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고 있었다.
오전 10시 반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된 교육의 대부분은 회사 소개와 약관 설명에 할애됐다.
기자도 소정의 교육비를 내고 참가했으나, 정작 중요한 아기 보육 관련 교육은 단지 2시간뿐이었다.

오전에 강사로 나선 이 업체 L사장은
“인터넷을 통해 회사의 문제점을 멋대로 올리면 고발 조치당할 수 있다”며 ‘입조심’을 당부하는데 1시간30분을 할애했다.
오후 첫 강의 역시 회사 약관·보수에 대한 지루한 설명이 이어졌고,
베이비시터가 하는 일과 지켜야 할 일 등에 대한 강의는 10분 만에 끝났다.

이 업체는 “철저한 교육을 이수한 전문 베이비시터를 매달 최대 200여명씩 배출하고 있다”고 선전했지만,
실제 아이 보육 강의는 목욕시키기·이유식 만들기 등 2시간이 전부였다.

1996년 처음 국내에 설립된 베이비시터 업체는 이제 전국 100여 개로 늘어났고,
1조원대의 거대시장(베이비시터협회 추산)으로 성장했다.
맞벌이 가구가 363만 가구에 달해 그 수요는 갈수록 급증하고 있지만,
공인된 인증제도나 관리 기준이 없어 소비자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 1조원대 시장

본지가 서울 소재 베이비시터 및 파출부 업체 8곳의 가격을 비교해본 결과,
같은 조건(아이 1명, 아파트 평수 25~33평) 아래
주6일 입주(入住)하는 한국인 베이비시터는 한달 130만~170만원, 조선족은 120만~130만원 수준이었다.

아이 1명이 추가되면 20만~30만원을 얹어줘야 하고,
중개업체에 8만원 상당의 회비나 수수료 10%를 별도로 내야 한다.
같은 업체라도 서울 강남이 강북 지역보다 20만~40만원 더 비쌌다.

베이비시터의 주요 대상이 되는 5세 이하 아동 299만 명 중 엄마가 취업한 아동 수는 80만9000명.
백혜숙 베이비시터협회 회장은 “이 중 최소한 20% 가량이 베이비시터를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며
“이 경우 시장 규모는 적게 잡아도 1조3000억원(월평균 1인당 이용요금 80만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 두 번 우는 젊은 엄마들

아이를 베이비시터에게 맡기고 직장에 다니는 이른바 ‘워킹맘(일하는 엄마)’들은
아이가 보고 싶은 마음에 한 번,
베이비시터와의 갈등으로 두 번 우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직장인 이모(여·33·서울 행당동)씨는
최근 조선족 베이비시터가 입주한 지 석 달도 안돼 월급을 올려달라는 요구에 속앓이를 했다.
“집안 일, 아기 다루는 법 등을 다 가르쳐놓고 나니 월급을 안 올려주면 나갈 태세라 결국 10만원 올려주기로 했다”며
“조선족 아주머니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가격 담합까지 한다”고 혀를 내둘렀다.
변리사 김모(여·33)씨는 야근 후 밤늦게 집에 들어서자 베이비시터가 “내일 당장 그만두겠다”는 청천벽력 같은 얘기를 해왔다.

김씨는 “사전통지도 없이 무작정 그만두겠다는데도 달리 방법이 없더라”고 속상해했다.
‘워킹맘’ ‘베베하우스’ 등 육아 관련 인터넷 카페에는 베이비시터 피해 사례가 수십 건씩 올라와 있다.
노동부에 등록된 조선족 가사 및 육아도우미는 총 3425명.

그러나 불법 체류한 조선족 베이비시터를 싼값에 공급하는 직업소개소·파출부 업체가 늘면서 피해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아이디 ‘쌍둥맘’(대학원생·여)은
“조선족 베이비시터를 6~7차례 교체했다”며 “경력을 속이고 위생관념이 없어 아이 피부에 상처를 입혔다”고 했다.
‘효은맘’(직장인·여)은 “외국인 베이비시터들은 여권·외국인등록증뿐 아니라 건강검진도 받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베이비시터코리아 정지아 실장은 “베이비시터 업체는 전화 몇 대와 홈페이지만 있으면
소자본 창업이 가능하며 심지어 허가도 안 받고 운영하기도 한다”며
“정부가 나서 난립하는 업체들을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정부 지원도 없어

지난해 1600만원을 베이비시터 비용으로 쓴 회계사 최모(33·서울 금호동)씨 부부는 올 연초 연말 정산때 분통이 터졌다.
취학 전 아동이 보육시설 등에 다닐 경우 연 20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해주지만,
베이비시터 비용은 한 푼도 혜택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씨는 “부모님은 지방에 계시고 주변에 갓난아이를 맡길 만한 마땅한 보육시설도 없어
베이비시터를 쓸 수밖에 없었지만,정부 지원은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미국·일본 등은 베이비시터에 대해 엄격한 인증을 받도록 해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고, 각종 정부 지원도 많다.
반면 한국은 정부가 베이비시터 업체를 ‘영리(營利)보육’ 시설로 분류하기 때문에 공인 자격증이 없고,
국가 지원도 전혀 없다고 백혜숙 베이비시터협회장은 말했다.

조선일보
정혜전기자 cooljjun@chosun.com
심현정 인턴기자(서강대 정치외교 4년)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래
    '07.1.24 11:03 AM

    일하는 엄마들에게 도움될가해서
    07, 1/24일자 조선일보에서 옮겨왔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1168 연희3동 추천 부탁드려요(인터넷+tv) 김성수 2007.01.24 659 7
21167 일산 talking class 공지사항 *^^* esther 2007.01.24 866 5
21166 요람을 흔드는 '불량 베이비시터'- 1 다래 2007.01.24 2,948 30
21165 헉 점보는 사람이 왜 이리 많아. 2 두리번 2007.01.24 1,475 7
21164 유치원 선생님 드릴만한 선물 뭐가 있을까요? 4 박성민 2007.01.24 1,503 5
21163 다섯살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오드리 2007.01.24 1,581 17
21162 제수음식서비스 추천부탁해요~~꼭~~ 4 오렌지향기 2007.01.24 938 63
21161 신생아 바구니형 카시트 임대해서 쓰는 게 나을까요? 아님 중고로.. 5 준준맘 2007.01.24 4,985 10
21160 청소년경제체험센터에 가보세요. 책맘꿈맘 2007.01.23 812 54
21159 인천어린이박물관 괜찮은가요?? 4 하은맘 2007.01.23 1,286 22
21158 원목 장난감 [노아의 방주/동물농장]요즘 어디서 판매하나요? 2 아이스라떼 2007.01.23 1,278 8
21157 요즘 볼만한 dvd 없을까요? 1 대이짱 2007.01.23 822 7
21156 아파트 1층 사시는 분 조언 좀~~~ 12 서준마미 2007.01.23 4,198 32
21155 병원에서처방전 받고 약살때요~ 4 청쓰 2007.01.23 1,073 5
21154 사진을 세탁기에;... 1 우휘이 2007.01.23 792 38
21153 대전 아파트 전세냐 매매냐 ... 고민이예요 6 아름이 2007.01.23 3,233 13
21152 중고물품~~ 4 사악한마 2007.01.23 1,172 0
21151 코스트코 가입할때요.. 5 미니 2007.01.23 1,586 42
21150 쿠킹클래스 추천좀 해주세요 2 수월당 2007.01.23 1,198 9
21149 항공사 마일리지로 여행다녀오신분 계세요? 7 러브미 2007.01.23 1,928 20
21148 한솔수학나라 교구 가격이요~ 자야 2007.01.23 2,095 62
21147 블라블라 인형 싸게 파는곳 , 인형의 장,단점을 알려주세여~ 1 이뿐맘 2007.01.23 1,959 4
21146 세탁소 비닐은 어떻게 관리를. 13 라벤더 2007.01.23 2,626 7
21145 경주 갈 만한곳 추천해주세요 9 정인맘 2007.01.23 2,016 5
21144 리브로 할인 쿠폰 받으세요^^ 3 maYa 2007.01.23 1,28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