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글 저런질문 최근 많이 읽은 글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학습지 시킬까요 ? 말까요?--- 에 대한 나의 생각
개정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학을 살펴보면 단순연산에 관한 부분이 많이 축소되었고 또 수학 전체를 놓고 보면 연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연산은 유아수학과 초등수학의 기본이며 타고난 수학적 감각이 없어도 훈련에 의해서 향상되는 기술적인 부분이 강합니다.
그리고 유아, 초등 수학에서 연산을 잘하는 아이들은 자신감을 가지고 수학을 접하기 때문에 수학에 대한 거부감이 없습니다.
연산은 꼭 필요한 수학적 영역이고 어머님들의 노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모든 연장도 쓰기에 따라서 이로울 수도 있고 해로울 수도 있듯이 학습지도 분명히 순기능과 역기능이 있습니다.
수학의 다른 영역보다 연산은 반복학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수에 대한 남다른 감각이 있는 아이라고 해도 연산에 대한 반복학습이 없으면 실수가 많아집니다.
따라서 여기에 학습지의 순기능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일정한 양의 공부를 규칙적으로, 단계별로 꾸준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역기능은 무엇일까요 ? 우선 학습지의 장점인 ‘일정한 공부량’ 이 오히려 큰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학습지를 오래 해서 연산을 아주 잘하게 된 아이라고 해도 이야기 해보면 학습지를 했던 시간을 악몽처럼 기억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한가지, 수학의 다른 영역들이 ‘연산의 그늘’에 가려지기 쉽다는 것 입니다.
초등수학에서 다루는 영역은 수와 연산 이외에도 도형, 측정, 규칙성과 함수, 확률과 통계, 문자와 식 등 입니다. 학습지의 구조적인 특성상 전영역에 대한 고른 학습은 충분치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요즘 몇몇 학습지들은 연산 이외의 영역에 관한 내용들을 따로 한과목으로 구성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학습지의 특성상 연산 이외의 부분은 약합니다.
그렇다면 학습지를 할 때 어떻게 하면 효과적일까요 ?
첫째, 기본개념을 먼저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연산은 반복 훈련만 잘 되어 있으면 결과가 빨리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기본 개념을 소홀히 할 수 가 있습니다.
십진법의 원리나 덧셈, 뺄셈의 기본 원리를 충분히 익힌 후 연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구나 이 시기의 아이들은 암기력이 좋은 나이이기 때문에 우선 쉽고 결과가 바로 나오게 하기위해 계산법을 외워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학습법이 반복되면 받아올림의 덧셈까지 하는 아이가 실제 문장제에서 ‘더하는지 빼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수체계나 사칙연산의 원리 지도요령은 제가 올린 다른 글을 참조하세요.
둘째, 모든 문제를 다 풀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제가 가르쳤던 한 아이의 경우는 어머님께서 아이가 풀고난 학습지의 답란에 종이를 붙이시고 다시 위에 풀게하는 방법을 반복하셔서 제가 보았을 때 학습지가 백과 사전처럼 두꺼워 져 있었습니다.
아이는 이미 수학에 넌덜머리를 내고 있었습니다. 무진 애를 써 보았지만 이 학생은 결국 수학에 실패하였습니다.
이 정도는 아니겠지만 대부분의 어머님들은 일단 학습지에 있는 모든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다.
그러나 제가 어머님들께 권해서 효과가 있었던 방법은 ‘아이가 잘하고 있는 부분은 한문제 건너 한문제씩만 하게 해 준다던지, 어머님께서 필요한 몇 개의 문제를 골라주시는 것’입니다.
“ ㅇㅇ이는 잘하니까 요것만 할까?”라고 말씀해 주신다면 아이는 자신감을 가지고 즐거운 마음으로 공부할 것 입니다.
셋째, 80% 의 정답률이면 족합니다.
연산은 아이들의 실수가 많은 부분입니다. 한 두 개 틀리더라도 원리를 잘 알고 있다면 ‘정신을 차려라, 아는 걸 왜 틀려?,’ 라고 꾸중하시기 보단 어머님께서 초연한 모습을 보여주세요.
좀 아깝네..’ 정도의 반응이면 오히려 아이가 더 분발할 것입니다.
넷째, 몰아서 하기 보다 매일 적은 양을 하도록 해 주세요.
흔히 어머님들께서 바쁘시다는 이유로 일주일 분을 한꺼번에 시키시는데 그 것 보다는 적은 양이라도 매일 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10분 정도에 끝낼만한 양이라도 매일 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수학은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째, 반드시 문장제 위주의 문제집과 병행 하십시오.
학습지를 오래한 아이들을 겪어보면 90% 이상이 본인도, 엄마도 수학을 잘한다는 착각(?)에 사로잡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에 연산의 훈련이 잘 되어 있는 아이들은 답이 금방금방 나오는 것에 너무 익숙합니다.
때문에 긴 문장제나 생각을 요하는 문제를 접하면 거부를 해버리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제가 수업을 진행할 때 문장제가 나오면 한 번씩 읽어보도록 시킵니다.
그럴 때면 채 문제를 다 읽지도 않았을 정도의 시간이 흘렀을 뿐인데 “몰라요” 라는 말이 튀어나옵니다.
문제를 차근차근 읽지도 않을뿐더러 문제를 읽고 생각하기를 싫어합니다.
제가 일껏 문제에 대해 설명을 해 주고나면 이렇게 말합니다.
“그러니까 더하는건지 빼는건지만 알려 주세요” (우이~C ㅠㅠ)
문제에 대한 설명이 진행 되면서 중간에 식이라도 나오면 재빨리,거의 자동화된 기계처럼 계산을 하느라 나머지 설명은 듣지도 않습니다.
제가 아무리 몸부림을 치면서 계산은 나중에 해도 된다고 외쳐도 소용이 없습니다.
오죽하면 제가 설명하는 시간에는 연필을 다 빼앗습니다.^^
그래서 학습지를 시키시는 경우에는 문장제 위주의 문제집을 한 권 씩 시키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책은 ‘기적의 수학 문장제’입니다.
(저, 책파는 사람 아니구요, 이 책이랑 사적인 관련 없습니다.)
‘길벗’ 출판사 라고 되어있고 단계별로 문장제 해결법이 비교적 잘 나와있습니다.
제가 방학 중에 진행하는 ‘문장제 특강’ 교재 이기도 합니다.
(제 블러그에서 사진을 옮겨오면 자꾸 지워져서 첨부화일로 올렸더니 사진이 맨 위로 올라가 버렸습니다.)
다른 교재들도 잘 나와 있으니 서점에 가셔서 살펴보시구요.
제가 이 글을 올리는 이유는 ‘학습지 시키지 마라’는 의도는 아니니 오해는 마시기 바랍니다.
순전히 저의 경험에 의한 개인적인 생각이므로 필요한 부분만 기억해 가시고 교육관이 저와 다르거나 도움이 안된다 싶으시면 그냥 잊어버리시면 됩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주절주절 제 잔소리는 계속됩니다
- [육아&교육] 지니큐의 주절주절 2-.. 2014-08-12
- [육아&교육] 지니큐의 주절주절1. .. 8 2014-08-01
- [줌인줌아웃] 오랫만에 사랑이(고양이.. 8 2013-12-13
- [줌인줌아웃] 저도 고양이 자랑 한 .. 38 2013-05-21
1. 쵸콜릿
'06.11.6 3:33 PM잘 읽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2. 둥이맘
'06.11.6 3:51 PM네 저도 잘 읽었습니다. 7살인데 걱정 많은 맘입니다. 집에서 딱히 하는것도 없고 학습지도 하지 않습니다. 그저 유치원에서 배운거 그게 다입니다. 내년에 입학하는데 걱정이 태산입니다.
3. divina
'06.11.6 5:22 PM저도 잘 읽고 있습니다~~
저는 웅진씽크빅 수학을 하는데 문장지 문제가 많아서 만족하고 있어요
연산이 좀 약하다고 해서 바로셈도 이번달부터 같이 하려고 합니다.
암튼 질리지 않게 조금씩 하도록 지도해랴 겠습니다.
정말 지니큐님글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4. 시린오로라
'06.11.7 5:09 AMdivina님, 아니됩니다. 바로셈 하지 마세요. 울딸(1학년)도 6세부터 웅진해서 지금 씽크빅하는데 올초에 학습지샘이 권해서 하다가 진도도 넘 느리고 해서 끊었어요. 거의 1학기내내 계속 한자리수만 반복해서 울딸은 두자리수만 보면 기겁을... 2학기때 두자리수도 교과서에 나오는거 보고 방학때 얼른 끊었어요. 두자리수 적응하는데 좀 미리 해야지 바로셈은 너무 바로 직전까지 끌고가요.
바로셈 수학하고 하면 만팔천원이죠. 넘 비싸지요. 그돈으로 차라리 기탄수학시키시어요. 저희도 씽크빅과 기탄수학하는데 큰 수를 좀 접하니까 많이 나아졌어요. 다른 학습지하는 애들은 세자리수 나가는 친구들도 있는데 그정도는 아니어도 너무 느리면 안되죠. 그래도 아이들은 조금 미리 준비를 시키는게 낳지 않을까싶어요. 바로셈보고 얼른 로긴했네요. 저처럼 후회하시지 마시길 바라며...5. 훌훌
'06.11.7 9:23 AM기적의 계산법이란 책은 어떤가요? 서점 가니 있던데, 연산에 효과적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