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결혼하고 첫 명절.. 어떻게 해야할까요?

| 조회수 : 1,803 | 추천수 : 59
작성일 : 2006-09-12 16:38:15
시댁이 꽤 먼 곳이라  명절이 아니고는 자주 못가요.

이번주말에 벌초하러 한번 가긴 하지만..  

보통  2달에 한번꼴로 간다고 보면 되겠네요.

이번 추석이 목,금,토.. 3일이잖아요.

시댁에 수욜저녁에 갔다가  이틀 자고, 금욜(추석당일)  저녁때 왔으면 하는데

시부모님께서 많이 섭섭해 하실까요?

사실.. 지금 친정이 같은  도시(운전해서 30분 거리)에 있다고는 하지만

잘 안가지구.. 신랑도 바빠서 결혼 후 같이 친정 가본적도 없거든요.

전 명절연휴를 시댁에서  전부 보내야한다구 생각안해서,  추석당일  오후에 돌아와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저희집은  그래왔거든요.  친가도 그렇고, 외가쪽 식구들도 다 그렇게 하더라구요)

신랑은  좀 섭섭해하시지 않을까  걱정하더군요.

결혼하고 첫 명절.. 물론 시댁도 중요하지만,  저희 친정쪽에서도 보면  첫 명절인건 마찬가진데

친정쪽 친척들도  뵙고 인사드릴 수 있게  돌아와도 되는거 아닐까요?

참고로..  명절 연휴가 토욜까진데.. 일요일은 신랑 당직이라서  꼼작달싹 못하구요

시부모님들도  절대  막히시거나  답답하신 분들은 아니세요..  그래도 처음이라  실수하는건지 걱정이 되네요.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데이지
    '06.9.12 4:58 PM

    친정 부모님도 찾아뵙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저희 형님과 동서는 연휴 마지막날 친정간다고 처음부터 그랬기때문에 시댁에서도 당연히 가는걸로 아시거든요. 더구나 결혼하고 친정에 한번도 안가셨다니 사위로서도 당연히 가야하는거 아닌가요?
    저는 이런저런 사정상 결혼하고 14년째인데 명절에 친정 딱 한번 가봤네요.ㅠㅠ

  • 2. griffin
    '06.9.12 5:32 PM

    결혼 후 전업주부였어요. 첫명절이 넘 짧더라고요.
    그래서 전 하루 먼저 내려가고 남편은 근무 마치고 내려가고. (안밀려서 4시간 거리)
    그리고 명절 연휴 마지막날 전날.
    그러니까 예비새댁님 경우로치면 금요일에 마지막 버스편으로 친정으로 왔어요.
    처음엔 약간 서운해하시는 듯 하셨는데
    (제가 더 있기를 바라신다기 보다는 간만에 보는 아들 더 보고 싶으신거지요.)
    처음부터 그랬더니 이젠 으례 연휴 마지막밤은 친정에서 자는거려니 하세요.
    (저도 시댁은 제사 등등으로치면 두달에 한번꼴로 가는 편입니다.)

    저희 사촌올케는 친정이 중간 거리인데 오빠가 들렸다 가자고 하는데 길 많이 밀리고 올케가 피곤하니까
    명절 쇠고 며칠 있다 주말에 오자고 하면서 안들려버릇했데요.
    그렇게 5~6년 하고 나니 습관이 되어버리더래요. 점점 명절때 안가게 되더라고.

    그정도는 이해하실거같아요.
    남편분을 이해시키실때도 부드럽게 이해시키세요.

  • 3. 빨간립스틱
    '06.9.12 5:35 PM

    님 생각이 맞는 것 같아요. 사실 저도 그렇게하구요. 전 시댁에 제작년까지는 제사가 없어서 시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제사를 어머니가 모셨거든요 그래서 새벽에 그 분들 제사지내고 차로 하시간정도 걸리는 큰댁에서 있다가 4시정도 되면 와요 저는 시댁이랑 친정 모두 같은 동네에 있어요. 첨부터 그렇게 하니 당연히 생각하시구요. 물론 그렇지 않은 분들도 있지만 뭐든 첨이 중요해요 몇몇 친구들 보면은 시어머님이 딸들은 기다리면서 정작 며느리도 친정에 가면 딸인데 보낼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속상하다고 하는 친구들이 의외로 많더라구요. 뭐든 첨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당일날 온다고 며느리 노릇 못하시는거 절대로 아닙니다.(제생각에는...) 사실 가까이 살면 잘 안가져요. 저두 걸어서 10분거리인데도 엄마가 애들 보고싶어 오시지 저는 잘 안가지더라구요...

  • 4. 뽀로리
    '06.9.14 2:41 PM

    5월 결혼후 매주 주말에 가다가 평일이라도 시간내서 매주 시댁갑니다. 처음엔 친정가는거랑 비슷하게 맞춰야지 했는데 이젠 매주마다 시댁가고 친정가고 넘 힘드네요. 시댁부모님의 원하시는 바는 날로 늘어나는군요. 원하시는거 다 맞추긴 정말 힘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9368 미국에서의 생활을 마치고~~ 23 애플민트 2006.09.14 4,596 48
19367 노동부 지원받아서 전통매듭 배우세요...^^;; 1 치즈케이키 2006.09.14 1,803 37
19366 이런부탁해도 될까요!!!! 4 고집쟁이 2006.09.14 2,283 1
19365 삼성 레포츠..유아체능단 4 뚱이맘 2006.09.14 3,747 12
19364 떡갈비를 드려요- 블로그 이벤트 레드빈 2006.09.13 3,020 26
19363 짐보리에서 Price adjustment requstment .. 2 체라 2006.09.13 925 1
19362 휴면계좌 조회사이트가 있네요. 3 창원댁 2006.09.13 2,199 63
19361 어린이용 T-Money Card 2 해와바다 2006.09.13 1,471 33
19360 어린이집 추천 부탁드려요(강원도 원주) 1 드라이 2006.09.13 1,665 23
19359 중소기업중앙회에서 1,000명에게 경품을 나눠준데요 1 호야 2006.09.13 1,815 36
19358 원룸으로 전세집을 알아보는데 조언좀 해주세요. 4 플라이마미플라이 2006.09.13 1,619 5
19357 컴퓨터 주소창이 없어졌어요. 6 박하사탕 2006.09.13 4,534 15
19356 즐거운 한글공부하게 되었어요 원빈맘 2006.09.13 2,290 311
19355 가구 디자인 또는 목가구 관련 책 추천 바랍니다. 이수경 2006.09.12 1,183 3
19354 레벨은 어떻게 올리나요? 2 빤짝 2006.09.12 908 2
19353 부탁드립니다 3 서연정 2006.09.12 887 2
19352 사진올리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2 딸내미부자 맘 2006.09.12 1,209 24
19351 그냥.........가을 바람 부니 이런저런 생각이 들어서요.... 2 깜찍새댁 2006.09.12 5,530 80
19350 결혼하고 첫 명절.. 어떻게 해야할까요? 4 예비새댁 2006.09.12 1,803 59
19349 방문 학습지 채점 5 딸딸이맘 2006.09.12 1,668 14
19348 독일로 김치를 가져가야 하는데 어찌 가져가나요? 12 망구 2006.09.12 2,350 47
19347 내자녀 바로 알기 서비스...[자녀 성적 출결사항 조회가 가능합.. 2 나무 2006.09.12 2,626 46
19346 사회성 부족한 아이의 행동수정은? 2 뚱녀 2006.09.12 1,285 0
19345 아이 부족한 공부는... 8 쭌용 2006.09.12 2,088 8
19344 결혼에 관해....들은 이야기 4 쥬쥬맘 2006.09.12 2,23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