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독일로 김치를 가져가야 하는데 어찌 가져가나요?

| 조회수 : 2,350 | 추천수 : 47
작성일 : 2006-09-12 15:37:59
올케가 남동생에게 가면서 김치를 가져가려고 하는데...
포장을 어찌 해야 하나요...
난감하네요...
진공포장 해야 하는건지......
통에 넣어서 가야 하는지..
아님 비닐에 넣어서 여유있는 통에 넣어 가져가야 하는지...
경험자들... 알려주세요...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쪽빛하늘
    '06.9.12 4:05 PM

    진공포장은 터지기 때문에 절대 안됩니다. 면세점에서 진공포장된 김치를 샀는데도 현지에 도착하니 빵빵하게 부풀어서 터지기 일보직전이더군요. 해보진 않았지만, 양념과 절인배추를 따로 가져가시는건 어떨지..

  • 2. 친절한박씨
    '06.9.12 4:11 PM

    저기...중앙우체국 포장하는곳에서 본건데...
    일단 진공포장하시고...업소용 고추장 통(스텐통..뭔지아시죠?..큰것)에 다시 밀봉하던데요..
    포장하는 업체에 가서 하시면 편하고 아니시면 그통구해서 해보세요..

  • 3. 레인
    '06.9.12 4:13 PM

    비닐봉지 여러겹 싸시구요 랩으로 그냥 심하다 싶을 정도로 둘둘 많이 말아주세요...그리고 나서 다시
    커다란 비닐봉지에 넣어서 가시면 되요..그럼 터지더라도(직접 가지고 가면 터지기전에 가실수도 있지만 암튼 터지더라도 새진 않습니다) 집에서 쓰는 랩말구요 업소용 랩 사셔서 그걸로 둘둘 말아서 가지고 가심 되요... 사촌오빠 스페인갈때 사촌언니가 그렇게 해서 밑반찬이랑 엄청 싸주시는데 스페인은 프랑스에서 한번 비행기 갈아타고 갔는데도 멀쩡히 잘 갔다고 하네요

  • 4. 안줘!
    '06.9.12 4:19 PM

    몇년전에 김치 한 통 싸들고 독일 다녀왔습니다. 나름 포장 열심히 겹겹이 많이 하고 스텐통에 넣어 다시 비닐로 싸서 들고갔습니다. 그런데도 공항에 내려서 수화물찾고 일행만나니 김치냄새난다고 하더군요. 저요? 냄새 하나도 못느꼈습니다.. 최대한 많이 포장하세요. 업소용고추장통 괜찮겠네요^^

  • 5. 블루치즈
    '06.9.12 4:30 PM

    담궈놓으신거면 할 수 없지만 저번에 티비에 어느분이 나오셔서 절인배추랑 양념 따로 진공포장해가면 발효가 진행 안되기때문에 냄새나 터질걱정 없다고 하신걸 본거갔네요..

  • 6. 조이
    '06.9.12 5:27 PM

    진공포장해도 괜찮던데요.(여러번 해봤슴다) 이제 날씨도 선선해지니까 더 괜찮구요. 진공포장한 다음에
    밀폐용기(락앤락 같은)에 넣어서 받았는데 빵빵해지긴 하지만 한번도 터진적 없거든요. 저희는 독일에서 또 한번 갈아타야해서 비행시간도 더 걸립니다.

  • 7. 달려라 삼천리
    '06.9.12 5:29 PM

    울 엄마는 미국 갈때 비닐에 담고 락앤락에 넣고 또 비닐로 싸고 하시던데...
    갈때 마다 겨울이었어가지고 괜찮았거든요.
    샌프란시스코 들려 짐 다시 국내선으로 옮기고 했는데도...
    김치랑 반찬은 따로 라면 박스에 넣어가지고 갔는데
    아무래도 냄새야 나겠죠. 우린 몰라도 ...
    가지고 갈때마다 간 떨리긴 해도 가져가면 언니도 좋아하고 우리도 잘 먹고~*^^*
    공항에서 김치 포장 해 준다는 얘기 들었어요. 공항에 알아보세요.

  • 8. griffin
    '06.9.12 5:38 PM

    젤 쉬운 방법은 포장코너 있는 우체국에 가셔서 포장하시는게 제일 쉬울 듯해요.
    업소용 스텐통 같은데다가 넣고 (간장류 같은 샐 가능성이 있는것두 마찬가지)
    테이프로 칭칭 감아줍니다. 냄새도 덜나고 좋구요.

    양념 따로 가져가실려면 젓갈양을 좀 줄여서 되직하게 해서 지퍼백 봉지에 넣고 납작하게 만드세요.
    공기를 최대한 빼야 눌려도 입구가 벌어지질 않아요.
    그렇게 한 다음에 지퍼백에 여러번 넣으세요. (이때는 입구가 서로 엇갈리게 넣으면 벌어져도 샐 확률이 적습니다. 가루도 마찬가지)
    그렇게 해서 가져가셔서 시판 젓갈이나 피쉬소스 좀 더 첨가해서 묽기 조정해서 김치 담그시면 되요.

  • 9. 실바람
    '06.9.12 6:08 PM

    양념류를 가져 가셔서..김치를 담그는게 제일 좋을것 같아요..
    번거롭겠지만..
    지금가면 알디나 리들에도 배추가 많이 나올꺼예요..

  • 10. 곰부릭
    '06.9.13 1:10 AM

    가능하실지 모르겠지만 김치를 담궈서 하루라도! 두고 난 후에 포장해서 가시면 가스(그러니까 냄새죠^^)가 더 많이 생기구요...가시는날 당일날 담구셔서 비닐에 담으시고 공간을 남기고 납작하게 묶으세요..(즉 발효해서 부풀더라도 가스가 찰 공간이 남아있게 김치 한포기당 넉넉한 크기의 비닐봉투에 담아서 바람 빼고 봉하기) 그렇게 한포기 한포기 비닐에 각각 담아서 다시 비닐에 여러겹 싸가시면 괜찮습니다.

  • 11. sunny
    '06.9.15 8:48 PM

    전 두꺼운 비닐에 싼 다음 스티로폼 상자에 넣어 테이프로 둘둘 말아 이민 가방에 넣어 갔었는데 괜찮았어요.

  • 12. 빠끄미
    '06.9.16 12:05 AM

    전 1년에 4,5번정도 외국에 사는 언니에게 김치 날라대는데요~ㅋㅋ
    직접 외국으로 가시는 거면... 락앤락통에 김치 넣으셔서 비닐로 한번 싸주시고 스트로폼박스에 넣으시면 딱 좋습니다.
    국물조차도 흘린적 없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9368 미국에서의 생활을 마치고~~ 23 애플민트 2006.09.14 4,596 48
19367 노동부 지원받아서 전통매듭 배우세요...^^;; 1 치즈케이키 2006.09.14 1,803 37
19366 이런부탁해도 될까요!!!! 4 고집쟁이 2006.09.14 2,283 1
19365 삼성 레포츠..유아체능단 4 뚱이맘 2006.09.14 3,747 12
19364 떡갈비를 드려요- 블로그 이벤트 레드빈 2006.09.13 3,020 26
19363 짐보리에서 Price adjustment requstment .. 2 체라 2006.09.13 925 1
19362 휴면계좌 조회사이트가 있네요. 3 창원댁 2006.09.13 2,199 63
19361 어린이용 T-Money Card 2 해와바다 2006.09.13 1,471 33
19360 어린이집 추천 부탁드려요(강원도 원주) 1 드라이 2006.09.13 1,665 23
19359 중소기업중앙회에서 1,000명에게 경품을 나눠준데요 1 호야 2006.09.13 1,815 36
19358 원룸으로 전세집을 알아보는데 조언좀 해주세요. 4 플라이마미플라이 2006.09.13 1,619 5
19357 컴퓨터 주소창이 없어졌어요. 6 박하사탕 2006.09.13 4,534 15
19356 즐거운 한글공부하게 되었어요 원빈맘 2006.09.13 2,290 311
19355 가구 디자인 또는 목가구 관련 책 추천 바랍니다. 이수경 2006.09.12 1,183 3
19354 레벨은 어떻게 올리나요? 2 빤짝 2006.09.12 908 2
19353 부탁드립니다 3 서연정 2006.09.12 887 2
19352 사진올리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2 딸내미부자 맘 2006.09.12 1,209 24
19351 그냥.........가을 바람 부니 이런저런 생각이 들어서요.... 2 깜찍새댁 2006.09.12 5,530 80
19350 결혼하고 첫 명절.. 어떻게 해야할까요? 4 예비새댁 2006.09.12 1,803 59
19349 방문 학습지 채점 5 딸딸이맘 2006.09.12 1,668 14
19348 독일로 김치를 가져가야 하는데 어찌 가져가나요? 12 망구 2006.09.12 2,350 47
19347 내자녀 바로 알기 서비스...[자녀 성적 출결사항 조회가 가능합.. 2 나무 2006.09.12 2,626 46
19346 사회성 부족한 아이의 행동수정은? 2 뚱녀 2006.09.12 1,285 0
19345 아이 부족한 공부는... 8 쭌용 2006.09.12 2,088 8
19344 결혼에 관해....들은 이야기 4 쥬쥬맘 2006.09.12 2,23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