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는 한국보다 일본이 다양한것 같습니다.
우리가 흔히 차라 불리는것중에 대추자,유자차,인삼차들은 茶의 대용차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과의 종류중에서 차와는 다식이 제일 잘 어울립니다.
그리고 모양이 예쁜떡이나 한과 종류중에서 어느것이나 잘 어울리기도 합니다.
다과에 송편과 약식을 말씀하셨는데 2가지 다 보관이 호화때문에 며칠가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12월이면 저온에서는 2가지 다 쉽게 굳는 성질이 있씁니다. 한과중에서 약과나 산자,강정,정과종류는 보관기간도 길고 맛도 좋습니다.
그리고 한과의 종류 말인데요. 아주 많습니다.
1. 유밀과 -약과(꽃,전통,모,인삼,만두,매작과,김매작,삼색매작,매엽)
2. 유과 -강정(세반,흰깨,흑임자,파란콩,송화,계피 잣,미니 쑥,대추강정,산자,빙사과)
3. 정과 -정과(당근,감자,금귤,박고지,사과,도라지,인삼,무,모과,우엉,연근,동아,밀감정과,편강)
4. 다식 -다식(송화,콩,녹말,싹,밤,흑임자,육포,영양,태극콩,청태꽃다식)
5. 숙실과 -밤초,대추초,율란,조란,생강란
6. 과편- 과편(앵두,다래,포도,오미자,딸기,대추인삼,금귤,감귤,자두,유자과편)
7. 엿강정-엿강정(흰깨,흑임자,태극깨,오색깨,들깨,사과깨,유자깨,대추말이,곳감말이,호두말이,호두엿,잣엿,보리엿,쌀강정
[전통한과]-최순자 (발췌)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re] 한국차와 다과
이옥희 |
조회수 : 873 |
추천수 : 33
작성일 : 2004-10-02 15:10:10

전업주부를 탈피하고자 몇 년동안 다채롭게 즐기던 취미생활 접어두고,그나마 잘 하는것 하자 다짐하며, 요리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음식관련 자격증 7개가 ..
- [요리물음표] 엔초비 만드는 법 부탁.. 2 2007-08-27
- [요리물음표] 햇마늘로 뭘 하면 좋을.. 1 2007-05-28
- [요리물음표] 고로쇠 물 재활용 방법.. 2 2006-03-24
- [이런글 저런질문] 서울->대전 피아.. 4 2008-06-3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