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러네요
'25.11.28 7:01 AM
(223.38.xxx.10)
-
삭제된댓글
점차 사라지겠죠
2. 세상을
'25.11.28 7:08 AM
(112.169.xxx.252)
세상을 자기 기준으로 보니 김장부심이라고 하지
가족들이 먹는 겨우내 맛있는 김치 담그는게 주부로서는
너무 힘든일이지 부심이라고 까지 할게 있나요.
가족들에게 맛있는 김치 먹이고 싶어서 하는거지
님은 그냥 사 드시면 되는거고
대기업이라도 믿을수 있나 하는 사람들은 담궈 먹는거고
3. ㅇㅇ
'25.11.28 7:13 AM
(119.195.xxx.137)
김치부심은 아니고 제가 한 게 맛있어서 합니다ㅋ
어른들이랑 같이 엄청난 양 해보기도 했고 초보라 헤매기도 했는데 식구들 잘먹고 맛까지 있으니 하게 되네요
이 계절 배추 무 맛도 있으니 간단히 해도 맛나요
사먹고싶음 사드시는거고 할 사람 하는거죠
4. 절임배추
'25.11.28 7:19 AM
(59.7.xxx.113)
-
삭제된댓글
사서 하면 부심이라고 할게 없어요. 수술하고 한달된 환자인데 절임배추 10킬로 사서 저혼자 담갔어요.
5. 우리는
'25.11.28 7:23 AM
(118.235.xxx.209)
김치 단체로 협동해서 하는거 싫다 난리치는데
프랑스에서 김치의날 하면서 김치는 여러사람이 협력해서 하는 최고의 음식이라고 인터뷰 하는 외국인 있고 ㅎㅎㅎ
6. 김치부심은 무슨
'25.11.28 7:24 AM
(49.161.xxx.218)
김장김치가 제일맛있어서
혼자서라도
해마다 20키로 김장합니다
얕은맛의 대기업김치가 비교가되나요
7. 플랜
'25.11.28 7:30 AM
(125.191.xxx.49)
사먹기도 해봤는데
김치는 만들어 먹는게 끝까지 맛있게 먹을수 있더라구요
그래서 김장합니다
세포기씩 하면 큰통 하나 나오니 힘들지도 않아요
여러번 나눠서 해요
8. …….
'25.11.28 7:33 AM
(210.223.xxx.229)
하고싶은사람하고
안하고싶은 사람안하고
대신 안하고싶은 사람 하게하는 문화는없어져야죠
9. 작은 양
'25.11.28 7:35 AM
(122.102.xxx.9)
무슨 부심요, 재료 가장 맛있는 철에 본인 입맛에 맛있는 김치 먹고 싶어 담는 거죠. 가족도 참가시키면서요. 저는 집에서 담는 김치가 좋아요. 사먹을 사람은 사먹고 담아 먹을 사람은 담아 먹고.
10. ㅇ
'25.11.28 7:36 AM
(211.104.xxx.83)
제철 배추. 제철 무. 제철 재료가 제일 맛있어서 힘들지만 합니다.
하루 힘들면 일년내내 김치찜.찌개. 고등어조림등 맛있게 먹을 수 있으니까요.
또 김장날 먹는 수육, 동태찌개를 가족들이 무척 좋아합니다.
김장부심 아니고 올 사람만 오게 합니다.
또 먹고 싶네요 절인배추에 속얹고 굴보쌈 올린 집에서 한 맛
11. ...
'25.11.28 7:37 AM
(1.227.xxx.69)
저도 한참은 해마다 김장을 했었어요. 엄마가 해온거 보고 자랐으니 당연한줄 알고..
언제부턴가 혼자하게 됐지요. 그런데 맛이없어요. 아무리 여기저기서 주워들은대로 해도 맛이안나서 이젠 안해요ㅋ
그런데 맛이있으면 힘들어도 했을거예요.
기사에서보니 외국 어느 나라에서인가에서(프랑스였나?) 외국인들이 김장 담그는 날을 지정해서 그 날은 휴일로 정해서 김장을 하는것 같던데요.
외국에서는 우리걸 가져가 지키고 정작 우리는 없애려고 하는것 같아 좀 씁쓸하네요.
12. 우리의
'25.11.28 7:44 AM
(39.7.xxx.187)
고유문화인데 식문화가 왜 김치부심인지 이해할수 없는 발언이네요
김치로 성공해서 돈버는 사람들 다 김치부심인가요?
님이 사드시는 김치도 다 누군가의 노력의 댓가로 돈 긁어모으는건데요.
맛네기가 쉽지 않잖아요.
김치, 된당, 고추장,청국장 등 시판것이래도 다 김치 잘담그던
사람들의 작품이에요. 회사가 김치 비법 노하우를 돈주고 산거잖아요.
현재는 시판 것들이 너무 달거나 맛도 밍숭밍숭
니맛도 내맛도 아닌 왠 외국애들 입맛에 맞게
변질된거 같아 우리나라 특유의 맛이 없어 저는 몇포기래도 꼭
김장 담아 먹어요. 사먹는 김치들 맛도 밍숭한데 미원이 너무 들어갔어요ㅠ김치가 맵고 깨운하던가
약간 매우면 시원하던다 해야는데 미원 들이부어 익혀
찌개거리지 속이 니글대요.
김치 한가지만 잘담아 돈벼락 맞은 사람이 한둘이 아나에요.
식당이 왜망하고 손님 없게요?
중국산김치 때문이에요.
중국산 장류로 찌개 끓이고
중국산 장아찌류 내놓고
장사하니 누가가요? 이집 저집이 미원만 넣는다고 음식이
되는게 아닌데 맛에 대한 노력보단 조미료로 맛해결보고
이집저집 비슷하고 가격만 올려받고 비싸니
특별런거 없음 집에서 먹고 말잖아요.
전 김치랑 특이한 오징어 무침 때문에 명동 충무김밥
비싼 김밥으로 돈지랄도 해요ㅠ
13. 부심이
'25.11.28 7:44 AM
(211.234.xxx.23)
어디있나요
각가정마다 필요하니까 담는거죠
김장이 무슨 인류공영에 이바지 하는것도 아닌데요
부심 같은거 없어요
이때 재료들이 좋아서 이때 담아두고 먹는게 부심은 아니죠
14. 70대이상
'25.11.28 7:46 AM
(211.48.xxx.185)
할머니들의 김장부심이 사라진다는게 정확할듯요.
윗 댓글들처럼 가족을 위해 20킬로 이내로 혼자 김치
담그는 건 유지될거고
원글님은 시어머니 진두지휘에 며느리가 큰 일꾼이 되어
시누이네 김장까지 해야하는 그런 풍습을 말씀하신거겠지요.
저도 여기에 공감하구요.
여자들이 전업주부일때나 당연시했고 피할수도 없는거였지
남편과 똑같이 돈 버는데도 쉬어야 하는 주말에
며칠 몸살날만 한 80포기 100포기 김장에 노동력 제공은
좋은 풍습이랄수가 없어요.
제사도 마찬가지구요.
대가족 농경사회 때의 풍습을 핵핵가족 첨단 산업사회에
그대로 고수, 지키려는 건 모순이자 여자들에겐 폭력이나
마찬가지예요.
물론 며느리 당사자가 기꺼이 김장, 제사 치르는걸 좋아한다면야
뭐가 문제겠어요?
아무튼 나이든 사람들과 남자들 사고방식이 농경사회 때
그대로인것부터 바뀌어야해요.
15. ...
'25.11.28 7:48 AM
(118.235.xxx.70)
김장 직접 하는사람들 좀 할일없고 무식해보여요
100포기니 200포기니
얼마나 편한시대에 살고있는데
내세울게 그건거죠
16. 어쩔수없는것
'25.11.28 7:51 AM
(221.138.xxx.92)
여성이 사회생활 병행하려면 할 수가 없는 것 같아요.
내 몸하나 간수하기도 힘든데 어떻게 김장을 하나요..
가볍게 담가 먹을수는 있어도..이정도만 되어도 진짜 악을 쓴거죠.
17. ㅡㅡ
'25.11.28 8:00 AM
(106.101.xxx.155)
엄마랑 이모랑 항상 같이 김장하시다가
작년부터 힘들어서 이제 안해요
김치 사먹어요
나는 할줄도 모르고 배울생각없어요
미래에는 집안일도 더 줄어들어서 가정주부역할이 더 축소 될것같아요제사,김장 없어지고. 로봇청소기 식기세척기 건조기 ...
18. ᆢ
'25.11.28 8:01 AM
(61.75.xxx.202)
이 세상에 태어나 가치있는 일이라면
가족이 아닌 타인을 위한 희생 봉사 아닌가요?
다 자기계발하고 돈 벌려고 일하는 거죠
회사 다니는 것만 가치 있는 듯 주부의
김장을 폄하하는 발언 납득하기 힘드네요
19. ᆢ
'25.11.28 8:08 AM
(125.137.xxx.224)
외국의 무식하고 큰 100킬로그램 가까이되는 치즈덩이
이 신선한 동물고기 24시간 언제라도 마트에서 살수있는 시대 딱히 제철동물 제철고기 개념도 없는데 동물내장에 다진고기 쑤셔넣고 훈연한 소시지장만
하몽 훈제고기장만
발로 포도를 밟아 와인만들고
오크통에 위스키 저장하고
외국집에서 외국인가정이 그러고있는건 신기하고멋진 외국문화고
우리나라 김장은 미개한가
외국살이해보고 오히려 김장 참여하게됐어요
저도 김치안먹고 김장참가안한다
하고싶으면 하시라 선언하던 30년전며느리입니다
10년전부터 하기시작했어요
제철음식장만 가족화합
나이들고 은퇴해 사회적으로 적적한부모의 자존감 자조 세우고 외롭지않게하기 등등
요양원 노치원비보다 싸게먹히고
부모자식간 할게있다는게 중요하더군요
배추농사 거의도와드리고 김장도 거의도와드립니다
대신 남자도 앞치마입고 절이기 다하고 버무리기 나르기
남녀노소 김치먹고싶고 받아가고싶으면 똑같이참여하고
10살도 똑같이 참여합니다
20. 김치유목민
'25.11.28 8:09 AM
(125.179.xxx.132)
깔끔하고 손맛좋은 분들이 하는 김장김치
한 10년 못먹었더니 그리워요
시판 김치 죄다 먹어봐도 쨍하고 깊은 맛이 없어요
익혀봐도 그냥 찌개에 넣을 정도는 돼도
생으로 먹는 그 시원함을 못찾네요
저는 관절염있고 일해서 엄두도 안나고
친정은 이제 김장안하고
어디서 주는데도 없고 ㅜㅜ
조금씩이라도 내가 담글까 깊이 고민중입니다
21. .ㆍ
'25.11.28 8:18 AM
(118.235.xxx.219)
냉장고도 없던 시절
먹거리도 다양하지 않았기에 그랬었지요
할일이 없었다니요
1년 먹거리 그 추운계절에 가족을 지켜준
반찬이었는데요
시절이 변했으니
현실에 맞게 하면 되지요
가족수에 맞게
시부모 김장하는법 친정김장하는법
인터넷방법 등에서
나의 우리식구의 레시피를 만들어가는 것
재미있어요
깍두기도 좋고 열무ㅇ부추 갓 파김치ᆢ
22. 딸엄마님들아
'25.11.28 8:19 AM
(221.138.xxx.92)
공부 열심히 한 딸이 어엿한 직장생활해서
사회에서 자리잡았음 좋겠어요.? 아님
매년 김장 담아 가족들 잘 챙기는 주부가 되었음 좋겠어요?
답 나온거 아닌가요?
사라질 수 밖에 없어요...
23. 윗님아
'25.11.28 8:23 AM
(122.36.xxx.84)
-
삭제된댓글
그렇게 훌륭히 키운 딸,아들도 다 손수 담금 맛있는
김치가 먹고 싶어요.
못하니 못먹지 사람인데 어찌 김치없이 살아요?
김치없인 난 못살아요
김치는 사랑아네요.
24. ㅇㅇ
'25.11.28 8:24 AM
(122.36.xxx.84)
그렇게 훌륭히 키운 딸,아들도 다 손수 담금 맛있는
김치가 먹고 싶어요.
못하니 못먹지 사람인데 어찌 김치없이 살아요?
김치없인 난 못살아요
김치는 사랑이네요.
25. 여성사회생활하면
'25.11.28 8:25 AM
(221.138.xxx.92)
먹고 싶어도 사먹을 수 밖에 없다고요..
26. ...
'25.11.28 8:30 AM
(106.102.xxx.130)
정작 하는 사람들은 별 생각이 없는데
안하기 찔리니 남들은 부심으로 모네요
원글 꼬인 심보부터 해결하세요
27. 부심이
'25.11.28 8:34 AM
(118.235.xxx.162)
없진 않은거 같아요.
같이 하기 싫은데 난리치니까 할수없이 도우러가요.
28. ...
'25.11.28 8:36 AM
(39.114.xxx.243)
윗 댓글님
외국 가정에서 하몽 만들고 치즈 만들고 포도주 만들고 한다고요???
어느나라가요????
그 가정도 희귀하니깐 방송 탔나보네요. 서유럽, 미국 살이 하고온 사람입니다.
그게 신기해 보일지언정
멋져보이진 얂을거 같은데요???
29. 그냥
'25.11.28 8:50 AM
(110.35.xxx.43)
지금50~60대는 가계에 맞춰 하는거지 부심은 아니지않나요.. 저희 시엄니 70대후반..김장부심 컸는데 지금은 며느리들이 각자 담아서 한통씩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