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뭐가 있을까요?
감나무 정도 되나요?
감꽃을 먹기도 한다는데 맞나요?
가 뭐가 있을까요?
감나무 정도 되나요?
감꽃을 먹기도 한다는데 맞나요?
감ㅡ약 안치면 벌레 생기고 다 떨어져요
대추 ㅡ약 안쳐도 많이 달려요
블루베리 ㅡ약 안 침 근데 익을때쯤 새들이 공격 그물망 필요
포도, 감, 사과. 배............잘 자라기는하는데 사과와 배는 접붙이지않으면 땡사과배 열림.
그나마 포도가 그럴듯하게 달리는데 시큼한건 어쩌지못함.
대추나무 웃자랍니다. 위로 올라가지 못하게 가지치기 열심히 해줘야해요. 대신 대추가 아주아주아주 달아요.
버찌나무. 어찌나 버찌나무에 꽃도 왕성하게 피우고 열매도 무진장 잘 열리는지 말입니다.
자주가던 단골 소아과샘에게 잘라낸 버찌달린거였나? 가을에 여물어진 두툼한 그걸머라죠 그런거 주르륵 달린 나뭇가지들 몇개 엄마가 가져다주래서 가져다 드렸더니 무척 좋아하시던거 기억나네요. 언니가 가지치기한 나뭇가지를 장난삼아서 정원 수돗가 옆에 나무 심는다고 콱 꽂아놓은게 그대로 뿌리 내려서 버찌나무가 자라게 되었음...그정도로 잘 자람.
이런 버찌나무를 본적이 없네요. 버찌 맛있엇는데.
딸기모종, 무지 잘퍼짐. 뭐 해줄거없이 그냥 놔두었는데 확 퍼짐. 해마다 너무 잘 퍼져서 나중엔 다 뽑아버림...어느 여름날 비오는데 개굴개굴 개구리소리까지 남. 아니 어떻게??? 서울 한복판인데? 남산이 바라보이는 강북의 동네였는데?
죽어있든 살아있든 물체와 생명은
끈임없는 관리와 보호가 필수에요.
하물며 먹을거는 말해 뭐해요.
농약 안한다는 상추도 성장 촉진제 넣어 크게 키우던걸요.
색깔 진해지는 비료나 액비 같ㅇㄴ걱도 넣어주고요.
내가 오염없이 먹게 유기농해도 흙에 피해가 덜하게 짓는거지
사람몸에 해가 덜되게 하는거지 유기농에도 별별게 다 들어가요.
고로 유기농이든 농약이든 식물이나 과일에 이때 요만큼
조때 저렇게 해가며 뿌려줘요.
방치해도 수확이야 있는데
과실은 먹을수가 없고 식물 역시 먹을게 없어요.
잡초는 아무렇게나 해도 잘 자라는게 갸도 환경이 좋아서지
척박헌데서는 갸들도 키도 안자라고 홀뚝하고 비실데요.
앵두 이야기 하시는 듯, 물 많이 줘야 해요
죽어있든 살아있든 물체와 생명은
끈임없는 관리와 보호가 필수에요.
하물며 먹을거는 말해 뭐해요.
농약 안한다는 상추도 성장 촉진제 넣어 크게 키우던걸요.
색깔 진해지는 비료나 액비 같ㅇㄴ걱도 넣어주고요.
내가 오염없이 먹게 유기농해도 흙에 피해가 덜하게 짓는거지
사람몸에 해가 덜되게 하는거지 유기농에도 별별게 다 들어가요.
고로 유기농이든 농약이든 식물이나 과일에 이때 요만큼
조때 저렇게 해가며 뿌려줘요.
방치해도 수확이야 있는데
과실은 먹을수가 없고 식물 역시 먹을게 없어요.
온갖 벌레와 병충해가 찾아와요.
사람도 몸 관리 평생 하잖아요. 감기걸리면 병원가서 약먹고요.
잡초는 아무렇게나 해도 잘 자라는게 갸도 환경이 좋아서지
척박한데서는 갸들도 키도 안자라고 홀뚝하고 비실데요.
사람이 안가꾸는 산속 열매들은 거기 사는 각종 동물이나
식물들이 농사짓고 있으니 걔네들 먹을게 있는거고요.
잘 자라게 하려면 환경이 좋아야 하는데
온갖 농약에 비료를 줘야하는 우리나라는 사실 농토가 제일 척박해요
들이나 산에 저절로 자라는 나무 정도가 내버려뒤도 과실을 맺어요 도토리나 밤 대추 정도
감도 개량하지 않은 떫은 감은 잘 되었고 새벽에 일찍일어나 감꽃을 주워 먹거나 꽃 목걸이도 만들었지만
지금은 환경변화로 그런것들도 다 농약을 쳐야 됩니다
농약 안친 사과는 새까맣게 때가 묻었고 빨갛게 익지도 않고 단맛보다 신맛이 많아요
자연적인 맛을 싫어하는 사람들때문에 농약 없는 농사는 농가 패망입니다
포포나무라고 심어만 두면 된댜고 해서 심었는데
한해 겨울 지나면 좀 얼어 죽더라구요
손 안가는 농사없어요
화분 하나를 키워도 손이 가야 제대로 자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