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고등 내신 절대평가 어떻게 생각하세요?

.... 조회수 : 3,415
작성일 : 2022-12-30 08:42:14
고등 내신 절대 평가하면
90점 이상이 A라고 가정했을때
89.44와 89.45는 0.01 차이인데도 
89.44는 B, 89.45는 A를 받는다는건데
이게 0.01로 등급이 나뉘는 상대평가와 차이가 없겠어요.

그리고 생기부평가시 전국의 올A가 엄청 많아질테니
B 하나 뜨는 순간 수시는 포기해야하는거죠?
상대 평가는 시험 난이도에 따라서 등급 컷이 내려가기도 하지만
이건 시험이 쉬우나 어려우나 무조건 A 받지 않으면 만회가 더 힘들테구요.

대체 이 절대 평가로 해서 가장 수혜받는 사람이 누굴까요?
상대평가 등급제에선
넘사벽들에게 막혀서 2~3등급 받는 아이들....
하지만, 그게 일반고의 아이들에겐 해당이 되지 않겠어요.
전국에 올A가 엄청 많을테니
그 안에서 학교 이름이나 세특으로 변별되겠네요.
이럴 경우, 특목고가 절대적으로 유리하겠어요.

그리고 일반고에서 아무리 돈을 쏟아도 1등급 못받던 아이들에게는
엄청 큰 기회가 되겠어요.
과외를 쏟아부어도 4프로 1등급은 힘들었지만
절대평가 A는 충분히 할만 할테고
그렇게 등급만 받아두면
막강한 사교육으로 생기부 만들고..
다시 입사관 제도의 그 생기부 시절로 돌아가게 되겠어요.ㅠ.ㅠ

다들 절대평가 찬성하시나요?
IP : 156.146.xxx.15
7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현 교육부장관
    '22.12.30 8:46 AM (223.38.xxx.104)

    MB정부 교육 담당자죠.
    자사고 관련

    당시 자사고, 특목고 핫 하지 않았나요?

  • 2. 현 교육부장관
    '22.12.30 8:48 AM (223.38.xxx.104)

    수능 없어져야 하네 마네 그것은 아니었네 그러던데

    수능도 없애고
    고교 성적도 절대평가로 하면
    뭘로 대학 가는 학생을 선발할까요?

  • 3. ....
    '22.12.30 8:48 AM (114.204.xxx.120)

    그렇게 되면 특목고 자사고 강남권 일반고 좋아지겠죠.

  • 4.
    '22.12.30 8:49 AM (112.166.xxx.70)

    IB 형태로 입시를 바꿀려고 절평을 하는거라, 절평을 현행 입시 기준으로 보면 이상하죠. 교육적 차원에서는 찬성인데, 입시 차원에서는 많은 문제를 만들겠죠.

  • 5. ㅇㅇ
    '22.12.30 8:50 AM (58.124.xxx.225) - 삭제된댓글

    대학은 본고사 같은거 다시 만들겠죠. 내신으로는 변별력이 없으니.

  • 6. .....
    '22.12.30 8:52 AM (39.124.xxx.75) - 삭제된댓글

    대학이 서열화가 되어있는데, 아이들 점수로 서열화 하는걸 자꾸 막다보니 깜깜이 전형만 더 늘어나는것 같아요.
    내신 절대평가 되면 특목자사고가 월등하게 유리해지죠. 그럼 입시판이 초등으로 내려가는건 당연하구요.
    고교학점제 도대체 왜 하는건지 이해 불가입니다. 아이들 적성을 억지로 고등때 정해서 대학 들어가는것도 말이 안돼요. 진로 적성 바뀔수도 있는건데, 마음 바뀐 아이들은 입시에 어마어마하게 불리해지잖아요.
    다른 나라 자꾸 따라가려고 하지 말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교육과 대입을 했음 좋겠습니다.
    수시 50%, 정시 50%으로, 평소 성실하고 학교 생활 잘하는 애들은 수시로 가고, 공부로 승부보는 아이들의 길도 열어줘야죠. 그래야 공정할거 같아요.

  • 7. 대체
    '22.12.30 8:53 AM (175.223.xxx.179)

    Ib를 해서 교육적으로 어떤 면이 찬성인가요?
    그게 우리 나라 교육에 맞나요?

  • 8. 아마
    '22.12.30 8:53 AM (122.37.xxx.93) - 삭제된댓글

    수능최저가 다 들아갈거에요
    대학에게 자율화 줬어요
    이제 대학이 맘대로하니

    수능최저 볼거같은데요.

  • 9. ㅎㅎ
    '22.12.30 8:56 AM (175.223.xxx.194)

    대학은 수능 최저 보는거 싫어해요
    성적 별 차이없다 보고
    애들 수시로 뽑아서 그만두지 않고 수업료 내는걸 바라거든요
    지금도 수능 최저 보는건 대학 자율이예요

  • 10.
    '22.12.30 8:58 AM (110.70.xxx.236)

    완전 기득권 보호 목표죠
    과외를 쏟아부어도 4프로 1등급 힘들었는데
    절대평가 A는 충분히 할만 할테고
    그렇게 등급만 받아두면
    막강한 사교육으로 생기부 만들면 되니까

    원글님 말씀에 완전 동의해요

  • 11.
    '22.12.30 8:59 AM (112.166.xxx.70)

    입시 공부와 교육을 혼동하는 분들이 많으신듯~ 학교 한 번 가보세요. 일반고 가보면 한 반에 몇 명이나 칠판 보고 있는지. 이게 지금 우리 나라 교육 아닌가요?

  • 12. 교육부 장관
    '22.12.30 8:59 AM (223.38.xxx.104)

    "수능 없어진다" 말한 이주호... '없애겠다'는 말은 안 했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047/0002376840?sid=102

    "수능 없애겠다" 이주호 장관의 단호한 결심 - https://v.daum.net/v/20221220155108488

  • 13.
    '22.12.30 9:01 AM (112.166.xxx.70)

    냉정하게 고등학교 분리해서 학업적 기질과 의지 있는 애들은 ib 방식으로 국제화된 교육 받게 했으면 합니다. 한동훈 딸같은 애들만 국제 학교에서 양질의 교육 받지 말고, 돈 없는 서민 자식들도 학업 의지 있으면 좋은 교육 받아야죠.

  • 14. 112.166
    '22.12.30 9:02 AM (223.38.xxx.1)

    우리 동네 올 일반고인데 치열한대요.

    각 학교 서울대 5명 이상은 보내는듯

  • 15. 고교학점제
    '22.12.30 9:04 AM (211.206.xxx.180)

    절대평가 정책들 모두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거니
    이미 2015년 전에 교육학자나 행정가들이 만든 결과물이란 건데!
    교육 전공 유학파들이 문제인 건지...
    늘 세계화 시대 흐름에 맞게 바꾼다고 교육과정 개정해서
    지금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한다고 이러고 있는 거임.
    근본적으로 직업에 대한 사회인식이 바뀌어야
    취업에도 영향을 미쳐 교육 환경도 의도대로 바뀌지,
    직종별 처우와 소수 직종 쏠림은 여전하고 어차피 교과학습 뻔한데
    뭘 자꾸 다양성과 창의성을 진짜 평가하는 것처럼 그러는지...

  • 16.
    '22.12.30 9:04 AM (112.166.xxx.70)

    우리 동네 이야기 한심하네요.

  • 17. 112.166
    '22.12.30 9:04 AM (223.38.xxx.1)

    일반고도 분위기 많이 달라졌어요.
    특목고, 자사고 안 가고 일반고 오는 우수생들도 요즘 많아요.

  • 18. 112.166
    '22.12.30 9:05 AM (223.38.xxx.1) - 삭제된댓글

    ㅋㅋ

    어느동네 사는지 모르겠지만
    최근 입결 보고 말하세요.

  • 19. 112.166
    '22.12.30 9:06 AM (223.38.xxx.1)

    ㅋㅋ

    어느동네 사는지 모르겠지만
    최근 입결 보고 말하세요.
    왜 상위권 아이들이 일반고를 가는지 ^^

  • 20.
    '22.12.30 9:07 AM (112.166.xxx.70)

    교육과 입시를 동일시 하니 허구헌날 입결 타령하죠. 에이고… 벽을 보고 이야기를 하니… 이러니 교육이 바뀔수가 없죠.

  • 21. 112.166
    '22.12.30 9:09 AM (223.38.xxx.1)

    국가 정책이 달라지면 이 분위기도 달라지긴 하겠죠?
    절대평가로 바뀌면
    원글님 글대로 학교 내신만 보고는 대학은 학생선발이 힘드니까요.

  • 22. 112.166
    '22.12.30 9:10 AM (223.38.xxx.1)

    일반고 얘긴 님이 먼저 했잖아요.
    (한반에 칠판.. 본인이 썼잖아요)

  • 23. 걍내신
    '22.12.30 9:14 AM (211.58.xxx.161)

    수능이 일년에 한번이니 한번으로 인생결정어쩌고하는데
    그러면 수능 일년에 네번보고 평균내면 안되나요
    학교셤 변별력도 없고 선생들 능력없어서 문제도 그지같고
    선생들이 너무 막강한힘 있으니 그거로 신이라도 된줄알고 애들 다루고 애들은 그거때매 할말도못하고 쥐죽은듯 있지요
    걍 수능으로만 통일했으면...

  • 24. 대박
    '22.12.30 9:17 AM (124.5.xxx.96) - 삭제된댓글

    특목 전사고 대박
    내신좋고 커리큘럼 좋고 애들 선별해서 뽑아놨으니 정시도 괜찮을거고...강남 일반고 좋을 거 없어요. 일반고는 커리큘럼 별로예요.

  • 25. ......
    '22.12.30 9:17 AM (175.223.xxx.9)

    수능 한번 보는것도
    출제진 한달 감금하고
    문제집 보안이며 수능장이며 어마어마한 예산을 쓰고 있는데
    이걸 일년에 4번하는게 가능한가요?

    모의고사 수준으로 관리 감독하면
    그 수많은 부정행위는 어떻게 관리하구요?

  • 26. ......
    '22.12.30 9:19 AM (175.223.xxx.199)

    교육과 입시를 어떻게 분리시키나요?
    방법을 제시해보세요

  • 27. 허허
    '22.12.30 9:20 AM (106.244.xxx.141)

    학군 강화 사교육 부활

  • 28. 대박
    '22.12.30 9:21 AM (124.5.xxx.96) - 삭제된댓글

    특목 전사고 대박
    내신좋고 커리큘럼 좋고 애들 선별해서 뽑아놨으니 정시도 괜찮을거고...강남 일반고 좋을 거 없어요. 일반고는 커리큘럼 별로예요.
    223.38님은 참 뜬금없네요. 요즘 누가 서울대로 서열 내요.
    좋다는 일반고 의대만(치한약수 빼고) 한 50명 가는 학교예요?

  • 29. 근데
    '22.12.30 9:21 AM (211.36.xxx.194)

    인생에서 치르는 굵직한 국가고시도 1년에 한번 있음.
    그 1년의 한번을 위해 수험생들이 해마다 도전하는 건 똑같음.

  • 30. 대박
    '22.12.30 9:22 AM (124.5.xxx.96)

    특목 전사고 대박
    내신좋고 커리큘럼 좋고 애들 선별해서 뽑아놨으니 정시도 괜찮을거고...강남 일반고 좋을 거 없어요. 일반고는 커리큘럼 별로예요.
    강남 일반고 수시 입결 손해 막급이죠. 잘 나온다고 해도 애들 수준에 비해면 어처구니 없어요.
    223.38님은 참 뜬금없네요. 요즘 누가 서울대로 서열 내요.
    좋다는 일반고 의대만(치한약수 빼고) 한 50명 가는 학교예요?

  • 31. ......
    '22.12.30 9:23 AM (175.223.xxx.199) - 삭제된댓글

    강남 일반고는 좋아질거예요
    그동안 상대평가로 가장 내신 본 아이들이거든요
    절대평가하면 a가 3-40프로로 맞출건데
    현재 내신 3-4등급까지 A로 내신만 챙겨두면
    나머지는 사교육 영역으로 다 커버될테니까요

  • 32. ㄱㄴㄱㄴ
    '22.12.30 9:26 AM (175.223.xxx.199)

    강남 일반고는 좋아질거예요
    그동안 상대평가로 가장 내신 피해 본 아이들이거든요
    절대평가하면 a가 3-40프로로 맞출건데
    현재 내신 3-4등급까지 A로 내신만 챙겨두면
    나머지는 사교육 영역으로 다 커버될테니까요
    특목고는 전국 학생수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고
    지방의 내신 좋은 아이들에게 등급 밀렸던거 다 만회할거예요
    수능 최저도 자신있을거고......
    특목고도 대치동에서 세특 지도 받느라 난리인데
    강남 아이들이 최고 수혜자 될거예요

  • 33. ㄹㄹㄹㄹ
    '22.12.30 9:27 AM (125.178.xxx.53)

    상위권 입결 좋다고
    교육이 제대로 되고있다는 생각은 안들어요..
    학교만 죽지못해 왔다갔다할뿐
    아예 공부포기한 애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일부가 아니더군요

  • 34. 강남엄마
    '22.12.30 9:31 AM (223.39.xxx.229)

    1. 30~40 프로 A찍어내기...불가능
    2. 강남 일반고 블라인드에서 알아보는 기술 얘기좀 해주세요. 교과과정 확인 해보시구요.

  • 35. 글쎄요
    '22.12.30 9:31 AM (124.5.xxx.96) - 삭제된댓글

    특목고가 왜 대치에서 세특지도를 받아요. 어느 시대에서 오신건지
    최근 강남 전교권 내신 좋아요. 문제는 눈 높이에 안 맞다는 거죠.
    전교 10등도 메이져의대 내신으로 못가고 정시로 갈 수 있잖아요
    지금 전체 30% A라면 현재 내신 1-3등급 전부 A라는 건데 수시에서 내신의 의미는 없어지고 그럼 생기부만 남아요. 강남이라도 특히 공립 일반고 생기부 한번 보세요. 5년뒤 떠나실 공무원 정신만 남아있어요.

  • 36.
    '22.12.30 9:32 AM (39.7.xxx.6)

    강남 일반고 아이들이
    세특에 밀려서 수시로 못갔던거 아니예요
    내신 등급이 너무 힘들었죠
    비학군지 지역에서 내신 쉽게 받아 등급 좋던 아이들에게 밀렸던거 학군지 일반고로 대체될거예요
    문제는 생기부 만들려면 사교육비는 더 들겠어요
    예전엔 전체의 10프로정도 되는 1-2점대 등급 일부만 생기부 위해 돈 썼는데
    이젠 40프로 정도는 사교육 시장에 돈 쏟아부을테니
    대치동 학원가만 신나겠어요

  • 37. 글쎄요.
    '22.12.30 9:33 AM (124.5.xxx.96) - 삭제된댓글

    특목고가 왜 대치에서 세특지도를 받아요. 어느 시대에서 오신건지
    최근 강남 전교권 내신 좋아요. 문제는 눈 높이에 안 맞다는 거죠.
    전교 10등도 메이져의대 내신으로 못가고 정시로 갈 수 있잖아요
    지금 전체 10% 라도 A라면 현재 전귀 내신 1-2등급 전부 A라는 건데 수시에서 내신의 의미는 없어지고 그럼 생기부만 남아요. 강남이라도 특히 공립 일반고 생기부 한번 보세요. 5년뒤 떠나실 공무원 정신만 가득 남아있어요.
    특목고 전사고하고 강남 일반고하고는 커리큘럼 완전히 다르고 강남 일반고 컬리큘럼은 비학군지 일반고 커리와 비슷해요.

  • 38.
    '22.12.30 9:34 AM (124.5.xxx.96) - 삭제된댓글

    특목고가 왜 대치에서 세특지도를 받아요. 어느 시대에서 오신건지
    최근 강남 전교권 내신 좋아요. 문제는 눈 높이에 안 맞다는 거죠.
    전교 10등도 메이져의대 내신으로 못가고 정시로 갈 수 있잖아요
    지금 전체 10% 라도 A라면 현재 전국 내신 1-2등급 몽땅 전부 A라는 건데 그럼 수시에서 내신의 의미는 없어지고 그럼 생기부만 남아요. 강남이라도 특히 공립 일반고 생기부 한번 보세요. 5년뒤 떠나실 공무원 정신만 가득 남아있어요. 전혀 특별하지 않아요. 강남 티도 안나요.
    특목고 전사고하고 강남 일반고하고는 커리큘럼 완전히 다르고 강남 일반고 컬리큘럼은 비학군지 일반고 커리와 비슷해요.

  • 39. ..
    '22.12.30 9:35 AM (218.236.xxx.239)

    일반고는 어디든 망~ 요즘 비학군지 일반고도 세특 잘 써줘요. 거긴 뭐 A 안퍼줄려고 하겠어요?
    교유과정이 일반고는 다 비슷해서 비학군지랑 차이 안나요.. 수능최저야 사교유 싸움이니.. 차이날순 있지만요.
    전사고나 특목은 차이있겠죠...

  • 40. 강남엄마님
    '22.12.30 9:36 AM (39.7.xxx.50)

    현재 고3들 진로과목 봐보세요
    그 과목들이 절대평가예요
    A 비율이 30프로 정도예요
    그리고 교육부에서도 a를 3-40프로 주는걸 권장해요

    그리고 서울대 1차 합격자 수 보세요
    블라인드라도 서울대 비록 상위권 대학은 강남 일반고 다 알아요
    생기부 그저 그런 제 아이 3점대인데도
    고대1차는 합격했구요

  • 41. 아뇨
    '22.12.30 9:36 AM (124.5.xxx.96)

    특목고가 왜 대치에서 세특지도를 받아요. 어느 시대에서 오신건지
    최근 강남 전교권 내신 좋아요. 문제는 눈 높이에 안 맞다는 거죠.
    전교 10등도 메이져의대 내신으로 못가고 정시로 갈 수 있잖아요
    지금 전체 10% 라도 A라면 현재 전국 내신 1-2등급 몽땅 전부 A라는 건데 그럼 수시에서 내신의 의미는 없어지고 그럼 생기부만 남아요. 강남이라도 특히 공립 일반고 생기부 한번 보세요. 5년뒤 떠나실 공무원 정신만 가득 남아있어요. 전혀 특별하지 않아요. 강남 티도 안나요.
    특목고 전사고하고 강남 일반고하고는 커리큘럼 완전히 다르고 강남 일반고 컬리큘럼은 비학군지 일반고 커리와 비슷해요.
    자동봉진 외부수상독서기록 다 사라졌는데 무슨 사교육시장에서 생기부를 만들어요.
    언제적 이야기를 하시는지

  • 42. ㅎㅎ
    '22.12.30 9:37 AM (175.223.xxx.13)

    저희 전사고 올해 졸업생인데
    세특지도 대치동서 받는거 맞아요
    다들 쉬쉬해서 그렇지
    대부분 받습니다

  • 43. 아뇨
    '22.12.30 9:41 AM (124.5.xxx.96) - 삭제된댓글

    저희 아이는 전사고 2인데 안 받습니다.

  • 44. 아뇨
    '22.12.30 9:42 AM (124.5.xxx.96) - 삭제된댓글

    저희 아이는 전사고 2인데 안 받습니다.
    주변에 받는 사람 거의 없어요.
    문과 많은 학교 아닌가요.

  • 45. 아뇨
    '22.12.30 9:43 AM (124.5.xxx.96) - 삭제된댓글

    저희 아이는 전사고 2인데 안 받습니다.
    주변에 받는 사람 거의 없어요.
    강남 살아도 안 받습니다.
    문과 많은 학교 아닌가요.

  • 46. 아뇨
    '22.12.30 9:44 AM (124.5.xxx.96)

    저희 아이는 전사고 2인데 안 받습니다.
    주변에 받는 사람 거의 없어요.
    강남 살아도 안 받습니다.
    문과 많은 학교 아닌가요.
    큰 아이는 강남일반고 5년전 졸업했는데
    그때는 받았습니다. 자소서부터 자르륵

  • 47. ㅇㅇㅇ
    '22.12.30 9:44 AM (110.70.xxx.140)

    학교에서 세특 써오라 하면
    아이가 부모에게 연락하고
    부모는 대치동 가서 내용 다듬은 후에
    기숙있는 아이에게 메일로 보내주고
    그거 제출하면 교사는 그대로 토시하나 다르지 않게 적어주는거 제 눈으로 직접 봤어요
    자동봉진 수상 이런거 상관없이
    과목별 세특 말하는거예요

  • 48. ..
    '22.12.30 9:46 AM (218.236.xxx.239)

    외고 세특도 그런식인데...그냥 집에서 고민해서 써오지... 대치 학원으로 문의하진않는데 돈이 썩어났군요..

  • 49. 아뇨
    '22.12.30 9:47 AM (124.5.xxx.96)

    올해 서울 유명 모 외고에서 학생이 그런 거 갖고 와서 써달랬다가 교무실에서 혼난 이야기는 들었습니다. 지금 예비 고3
    학생이 세특 알아서 써가면 교사가 그대로 올려주는 거 교육청 고발 당하면 어찌되는지나 아시나요.

  • 50. ......
    '22.12.30 9:47 AM (110.70.xxx.140)

    학군지 3등급 받던 아이들에겐 정말 기회가 되겠네요
    1등급과 성적의 큰 차이도 없게 될테니
    기준을 완화시켜주면 경쟁은 더 힘들어져요
    2찍들이 바라던 공정이니까 받아드려야죠

  • 51. 당연히
    '22.12.30 9:49 AM (118.235.xxx.5)

    수능최저 오르겠죠. 1등급이나 3등급이나 같으면

  • 52. 그런데
    '22.12.30 9:50 AM (39.7.xxx.73)

    세특 써간걸 그대로 올려주면
    누가 고발을 하나요?
    세특 써간 학생?
    써준 교사?
    세특이라는거 교사와 해당 학생만 볼 수 있는건데
    그걸 어떻게 고발한다는거죠?
    본인들이 고해성사 하기 전엔 모르는거죠
    주위에서 말 들어도 증거가 없으니 고발도 못하구요

  • 53. ㅎㅎ
    '22.12.30 9:53 AM (110.70.xxx.140)

    본인들은 세특 컨설팅 아니라고 하죠
    저도 보고 들은게 있지만 자세히 말은 못하겠네요
    열심히 관리받더니
    올해 의대 합격하더군요

  • 54. 없애야
    '22.12.30 9:54 AM (118.235.xxx.5)

    세특도 부조리온상이니 없애야겠네요. 자소서나 세특이나 소설

  • 55. 다른 건
    '22.12.30 9:58 AM (118.235.xxx.66)

    모르겠고 비학군지 출신들은 이제 명문대 가기 더더욱 힘들죠

  • 56. 수능
    '22.12.30 10:07 AM (118.235.xxx.5) - 삭제된댓글

    수능최저나 오르면 좋겠어요. 무슨 수학 과학 4등급이 서울대 의대를 가요.

  • 57. 수능
    '22.12.30 10:08 AM (118.235.xxx.5)

    수능최저나 오르면 좋겠어요. 무슨 수능 수학 4등급이 서울대 의대를 가요.

  • 58. 그런데요
    '22.12.30 10:34 AM (59.15.xxx.53)

    A등급 30-40프로 아이들까지 못해줄걸요??

    지금도 진로 절대평가는 그렇게 한다던데
    예를들어 88(내원점수) 70(전체평균) A (A컷:10% B컷:20% C컷:40 ...)
    그래서 A컷이 너무 많거나 뭐 그러면 학교수준 다 알수있다고....

  • 59. ......
    '22.12.30 10:41 AM (110.70.xxx.140)

    진로과목은 A 3-40프로가 권장이긴해요
    A 비율로 학교 수준 절대 몰라요
    그래서 다들 세특에 집착할거예요
    세특 허접한 a와 세특 훌륭한 a중 누굴 뽑겠어요
    수능 최저도 계속 완화하고 있는데......

  • 60.
    '22.12.30 10:52 AM (39.7.xxx.3) - 삭제된댓글

    A비중으로 학교 수준 절대 알 수 없어요

    이 중에서 수업 수준 한번 맞춰보세요.
    실제 한 강남 지역 한 과목의 수치구요.
    똑같은 원점수 93점 A의 경우
    이것만 보고 수업의 수준을 어떻게 알 수 있으실까요?



    1) 93 평균 59.3 A(39.1) B(14.1) C(46.8)
    2) 93 평균 69.9 A(15.5) B(69) C(46.8)
    3) 93 평균 77.4 A(66.7) B(10.4) C(22.9)
    4) 93 평균 72 A(51.8), B(16.4) C(31.8)
    5) 93 평균 65.9 A(34), B(24.5), C(41.5)

    대학이 블라인드라도
    교육과정과 자율 진로 행특으로 알아볼 수 있어요

  • 61.
    '22.12.30 10:54 AM (39.7.xxx.3)

    A비중으로 학교 수준 절대 알 수 없어요

    이 중에서 수업 수준 한번 맞춰보세요.
    실제 한 강남 지역 한 과목의 수치구요.
    똑같은 원점수 93점 A의 경우
    이것만 보고 수업의 수준을 어떻게 알 수 있으실까요?



    1) 93 평균 59.3 A(39.1) B(14.1) C(46.8)
    2) 93 평균 69.9 A(15.5) B(69) C(46.8)
    3) 93 평균 77.4 A(66.7) B(10.4) C(22.9)
    4) 93 평균 72 A(51.8), B(16.4) C(31.8)
    5) 93 평균 65.9 A(34), B(24.5), C(41.5)
    -----------------------------

    대학이 블라인드라도
    교육과정과 세특과 자율 진로 행특에 본인 학교의 특정프로그램을 녹여쓰면 다 알아볼 수 있어요
    절대평가면 정말 세특에 매달려야겠네요

  • 62. hs
    '22.12.30 10:54 AM (210.217.xxx.103)

    전 찬성이요.
    내신 절평-수능 자격시험-대학별고사
    어설피 학종으로 정성평가 하지 말고. 학교별 수준 너무너무 다른데 교과로 뽑지 말고.
    내신은 절평하면 각 학교별로 적당히 난도 조절하겠죠. 3~40프로 90점 정도 이상 나오지 못 하게 지침 주고.
    그럼 학교별 수준차이에 따른 학군지 불리도 덜하고 수능 자격시험화 하면 정시에서 빛을 발하는 학군지 아이들보단 비학군지 교과노리는 류의 동네 아이들에게 덜 불리하고. 그 다음 대학별고사로 진검승부.
    대학별고사 지금처럼 면접 이런수준이 아니라 바카로레아 수준의 시험.

  • 63. ......
    '22.12.30 11:02 AM (39.7.xxx.162)

    세특 컨설팅 많이 받죠
    학기말되면 컨설팅 많이들 받아요
    거기서 생기부 부족한 부분 조언받고 더 채우는 식으로......

    저흰 올해 정시로 입시 끝내는데
    고1때 입학때 생기부 관리 제안받은 적 있어요
    대치동 학원에서 받는건 조금 하수들이구요
    고수들은 개별 관리를 하죠
    저도 사실 혹 했지만 비용이 너무 비싸 포기했구요
    다행인지 아이가 내신이 엉망이라서 일찍 정시로 틀어서
    세특은 버렸기에 더 관심 안뒀어요

    고3까지 관리 받은 아이도 알아요
    세특 발표는 아이가 하지만
    그 주제를 찾고 정리하고 길잡이를 도와주는것만으로도
    크게 효과가 있죠
    물론 그 학생은 조언은 받았지만 본인이 다 하긴한거죠

    이제 절대평가로 내신 허들이 낮아지면
    세특 싸움되겠네요
    입시판을 떠나게 되어서 다행이다 싶네요

  • 64. 궁금
    '22.12.30 11:05 AM (175.223.xxx.177)

    대학별 고사는 학교 수업으로 가능한가요?
    그게 아니라면 대학마다 모두 다른 대학별 고사를 일년 내내 사교육받으면서 또 따로 준비해야하나요?
    6개 대학 지원하려면
    6개 대학별고사 다 따로 준비시켜요?

  • 65. 아이고
    '22.12.30 11:08 AM (175.223.xxx.13)

    대학마다 출제 경향과 출제 과목이 다 다를텐데
    애들은 학교 내신 챙기고 수능 준비하고 대학별 고사 따로 공부해야겠네묘

    A학교는 미적 기하 확통 다 본다하고
    B학교는 수학 과탐 보겠다하고
    C학교는 영어도 포함하겠다하고 ㅎㅎㅎㅎ
    애들은 어느 대학부터 대학별 고사를 준비해야할까......

  • 66. ????
    '22.12.30 11:09 AM (59.15.xxx.53)

    A비중으로 학교 수준 절대 알 수 없어요

    이 중에서 수업 수준 한번 맞춰보세요.
    실제 한 강남 지역 한 과목의 수치구요.
    똑같은 원점수 93점 A의 경우
    이것만 보고 수업의 수준을 어떻게 알 수 있으실까요?



    1) 93 평균 59.3 A(39.1) B(14.1) C(46.8)
    2) 93 평균 69.9 A(15.5) B(69) C(46.8)
    3) 93 평균 77.4 A(66.7) B(10.4) C(22.9)
    4) 93 평균 72 A(51.8), B(16.4) C(31.8)
    5) 93 평균 65.9 A(34), B(24.5), C(41.5)
    -----------------------------

    대학이 블라인드라도
    교육과정과 세특과 자율 진로 행특에 본인 학교의 특정프로그램을 녹여쓰면 다 알아볼 수 있어요
    절대평가면 정말 세특에 매달려야겠네요

    -------저는 잘모르겠는데...유투브나 교육설명회갔더니...z점수환산법인가?? 뭐 그런거로 대학에선 다 환산해서 알수가 있다고.......

  • 67. 지나가다
    '22.12.30 11:15 AM (175.223.xxx.87)

    다 알 수 있다는거 거짓말이예요
    그런 입시 설명회는 거르세요
    그거 환산해봐야 제대로 안나와요

    Z점수가 표준편차 이용해서 계산하는건데
    강남에서 z점수 제일 안좋은 학교들은 소위 명문들이예요

  • 68. ㅎㅎ
    '22.12.30 12:48 PM (118.235.xxx.107) - 삭제된댓글

    의대 교과나 학종 내신과 수능최저 점수도 모르고 생기부 관리 이런 말이나 하네요

  • 69. ㅎㅎ
    '22.12.30 12:50 PM (118.235.xxx.107) - 삭제된댓글

    의대 교과나 학종 내신과 수능최저 점수도 모르고 생기부 관리 이런 말이나 하네요. 세특에 못 녹여요. 그러니 강남 자사고 전교일등도 내신점수 낮으면 메이져의대 수시로 떨어져요.

  • 70. ㅎㅎ
    '22.12.30 12:54 PM (118.235.xxx.107) - 삭제된댓글

    의대 교과나 학종 내신과 수능최저 점수도 모르고 생기부 관리 이런 말이나 하네요. 세특에 못 녹여요. 그러니 강남 자사고 전교일등도 내신점수 낮으면 메이져의대 수시로 떨어지죠.
    문과는 가능할거예요. 요즘 우수학생 전멸이라

  • 71. ㅎㅎ
    '22.12.30 12:56 PM (118.235.xxx.107)

    의대 교과나 학종 내신과 수능최저 점수도 모르고 생기부 관리 이런 말이나 하네요. 세특에 못 녹여요. 그러니 강남 자사고 전교일등도 내신점수 낮으면 메이져의대 수시로 떨어지죠.
    문과는 가능할거예요. 요즘 우수학생 전멸 수준이라
    서울대 공대도 우수학생 의대에 다 뺏기는 판국에 문과는 말해 뭐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9230 9시30분 정준희의 해시태그 라이브 ㅡ 기준없는 불공정 사면?.. 1 같이봅시다 .. 2022/12/30 339
1419229 은퇴후 직장구할때 자격증있으면... 요즘 2022/12/30 1,159
1419228 분당서울대병원 가기 좋은 지하철역 13 교통 2022/12/30 1,862
1419227 이런 말하기방법 좋네요^^ 12 ㅣㅣ 2022/12/30 2,999
1419226 오늘, 내일 중으로 꼭 해보세요! 47 새해복~~ 2022/12/30 7,829
1419225 네이버페이 받으세요 7 ... 2022/12/30 2,529
1419224 짝눈이 심한데 운전할 때 안경이나 렌즈? 6 짝눈 2022/12/30 945
1419223 혹시대통령실에 김건희집무실도 있나요? 8 ㄱㄴ 2022/12/30 1,681
1419222 속터져요 렌즈잃어버리는 아들 7 2022/12/30 1,999
1419221 악세서리 소재 좀 봐주세요-실버, 동... 1 sksms 2022/12/30 568
1419220 남편이 밥상을 엎었어요 82논리면 28 잔소리. 2022/12/30 6,628
1419219 요즘 퇴직 후 한달살기 실천하는 부부들 많나요? 7 한달살기 2022/12/30 3,738
1419218 닭발사러 경동시장 갑니다~~ 13 구경 2022/12/30 2,776
1419217 이마 미간주름에 보톡스 ᆢ정보좀 나눠주세요 9 이마 2022/12/30 1,867
1419216 청와대 개방 경제효과 ‘연 2000억’이라더니??? 9 zzz 2022/12/30 2,138
1419215 대학 졸업하는 딸에게 12 오동통 2022/12/30 3,201
1419214 말더듬이 40평생 습관이 되니까 5 2022/12/30 2,083
1419213 올해 마지막 불금^^뭐드세요?하세요?? 7 ㅣㅣ 2022/12/30 1,400
1419212 고등 내신 절대평가 어떻게 생각하세요? 53 .... 2022/12/30 3,415
1419211 세라믹식탁 쓰시는분 장단점알려주세요 19 백만원 2022/12/30 2,984
1419210 아들이 자기 밥을 엎었어요 44 올해 2022/12/30 20,422
1419209 성공한 인생 / 실패한 인생 5 ㅇㅇ 2022/12/30 2,641
1419208 식당아줌마들 여자 혼자가면 불친절하지 않나요? 22 .. 2022/12/30 4,572
1419207 속이 안좋을때 계속 죽만 먹어야하나요?? 9 질문 2022/12/30 1,711
1419206 반포자이 국평 실거래 35억 올라왔네요 10 ㅇㅇ 2022/12/30 5,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