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 간장새우 레시피... 자꾸 실패하는 이유좀 찾아주세요

.... 조회수 : 1,628
작성일 : 2022-09-13 10:39:30
간장 양념 간, 농도는 좋아요.
비린내도 안나구요.
문제는 식감

2~3일 숙성 후 먹어보면
탱글탱글하지않고
불에 약간 익힌 듯한 육고기 느낌 납니다. 
너무 싫어요.
투명도가 사라지구요.

시장에서 냉동된 후 해동시킨
투명하고 탱글한 육질의 새우를 삽니다..(에콰도르산)

담기 전에 껍질을 미리 벗겨서 담그는데
숙성과정 중에 뭐가 문제일까요?
아님 미리
껍질을 벗겨서 문제가 생기는걸까요?
IP : 210.223.xxx.65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2.9.13 10:41 AM (210.223.xxx.65)

    아님 국산 살아있는 새우로 담궈야하나요?

  • 2. 초록맘
    '22.9.13 10:43 AM (210.178.xxx.223)

    생새우로 하세요 전 간장물도 안끓이고 해도
    맛나더라구요

  • 3. ......
    '22.9.13 10:43 AM (210.223.xxx.65)

    생새우로 하면 탱글하고 투명한 육질로 담글 수 있나요?
    백마리 넘게 껍질까서 담궜는데
    너무 슬퍼요 흑흑

  • 4. ㅇㅇ
    '22.9.13 10:45 AM (121.144.xxx.77) - 삭제된댓글

    껍질채로 담궈야해요
    드실때 까서드시고요
    식당 다수입산입니다

  • 5. kkx
    '22.9.13 10:46 AM (58.230.xxx.177)

    껍질 까도 상관없는데
    맛술이나 레몬 많이넣으면 산성분때문일수도

  • 6.
    '22.9.13 10:47 AM (180.65.xxx.224)

    2~3일 숙성하라는데숙성하고 나면 비린게 맛이 없어요
    싱싱한 새우로 딱 하루 숙성하고 먹는게 제일 맛있어요

  • 7. kkx
    '22.9.13 10:48 AM (58.230.xxx.177)

    전 그래서 례몬. 맛술 안 넣어요

  • 8.
    '22.9.13 10:51 AM (180.65.xxx.224)

    맞아요 레몬 넣으면 별루고 껍질벗기면 안되고 국산 싱싱한 새우로 해야해요

  • 9. ㄱ딛
    '22.9.13 10:55 AM (58.230.xxx.177)

    이지혜씨 유튜브 보면 시어머니 간장계란 레시피 있거든요.종이컵으로 하는거.그거보고 하는데 비율이 괜찮아요.요즘은 끓이지도 않아도 어차피 만들고 일주일안에는 다 먹으니까.
    간장새우레시피 복잡하고 엄청 많은데 전 이걸로 해요.맛보고 가감하고 양파.고추 더넣고

  • 10. .....
    '22.9.13 10:56 AM (210.223.xxx.65)

    레몬은 마지막에 슬라이스해서 뚜껑 덮듯 레몬으로 쫙 덮어버렸어요.
    술은 소주(보해 16%농도) 육수낼때 소주도 넣었어요.

    껍질까서 물에 간단히 헹군 후 소주에 20분간 담궈놨어요.

    이 과정이 문제일까요?

  • 11. ........
    '22.9.13 10:57 AM (210.223.xxx.65)

    껍찔 안까고 새우 통째로 한다면
    새우 수염만 따고 흐르는 물에 많이 씻으면 되나요?
    조금 씻으면 비린내 날거 같아요.. ㅠㅠ

  • 12. ㄴㅌㄱ
    '22.9.13 10:58 AM (58.230.xxx.177)

    레몬 너무 많아요.맛술에도 식초 들어간거라 이게 단백질을 굳게해서 나중에 식감이 별로에요
    새우는 국산냉동도 상관없고 껍질 깐것도 전먹기 편해서 일부러 까서 넣어요
    수입산은 내장 잘빼야해요.뻘들어간게 있어서

  • 13. dd
    '22.9.13 10:58 AM (116.41.xxx.202)

    1.냉동 새우로 2~3일 숙성은 숙성 기간이 너무 깁니다.
    식당에서 냉동 새우로 새우장 하시는 분들은 하루 숙성시키고 바로 다 소비해버립니다.
    그 이상 지나면 새우 살이 녹아요. 님처럼

    2. 껍질까서 소주에 20분 담가놓은 것도 그렇고, 레몬 넣은 것도 다 새우 살을 녹입니다.

  • 14. ....
    '22.9.13 11:02 AM (210.223.xxx.65)

    윗님 그러면 소주, 레몬 넣지말고 껍질 벗기지 말고
    내장만 빼서 통째로 하루 정도 숙성시키는게 핵심일까요?
    소주, 레몬 없이 비린내 잡는게 가능하단 말씀이시죠?

  • 15.
    '22.9.13 11:03 AM (121.165.xxx.112)

    전 소주 안넣어요.
    게다가 레몬즙 서너방울 향만 나게 하지
    레몬 슬라이스로 뚜껑 덮지 않아요.
    레몬을 그리 많이 넣으면 국물맛이 괜찮나요?

  • 16. dd
    '22.9.13 11:06 AM (116.41.xxx.202)

    ㅎㅎ 그래서 냉동 새우가 아니라 활새우로 하는 거죠.
    요즘 국산 흰다리새우 활새우 나와요.
    냉동 새우는 껍질은 벗기시고, 물에 살짝 헹구고 소주에 담그지 않고 물기 뺄 동안 소주 약간 뿌리고
    물기 빠지면 양념 넣구요.
    레몬은 안넣고나 약간만

  • 17. dd
    '22.9.13 11:08 AM (116.41.xxx.202)

    새우 껍질 안벗기고 통째로 담그면 숙성 기간이 일주일 이상 걸려요.
    냉동 새우는 그렇게 하면 안되요. 비린내 작렬해요.

  • 18. ㄴㄷㄱㄷ
    '22.9.13 11:10 AM (58.230.xxx.177)

    새우가 싱싱하면 비릴게 없어요
    제가 그때 내장 뺀게 에콰도르산이었어요.생각없이 요리했다가 내장 너무 뻘 많아서 다 빼고 먹은 기억이.
    다음에는 그냥 국산 흰다리사서 해보세요.인터넷으로 키로에 18000윈 정도면 사요
    그리고 해산물은 요리전에 많이 만지거나 씻거나해도 사람손의 온도나 상온은 온도 때문에 신선도가 떨어져요
    냉동이라도 딱 요리하기전에 물에 담궈 후딱 녹여서 건져서 요리하면 비린내 안나요

  • 19.
    '22.9.13 11:12 AM (116.37.xxx.63)

    너무 비린내에 집착해서
    과한게 문제 아닐까요?
    굳이 국산, 굳이 활새우 고집안해도
    먹을만 하던데요.
    레몬도 과하고
    씻거나 하는 과정도 과하고
    숙성기간도 간만 배면 먹는거니
    너무 길어도 맛없어요.
    껍질은 안벗겨도 괜찮던데ᆢ
    여러조언들 참고하셔서
    꼭 성공하시길^^

  • 20. 간장
    '22.9.13 11:14 AM (124.111.xxx.108)

    간장에 넣는 것은 다 살아있는 것으로 해야죠.
    새우도 거의 살아있었는데 집에 오니 죽은 수준이어야해요.
    게장, 새우장, 전복장 모두 그래요. 그리고 일단 생물 기준으로는
    헹굴 때 소주 부어주면 되고 레몬은 먹기 직전에 살짝 올리는 것으로 해보세요. 간장물도 온갖 재료 필요없어요. 생강, 청양고추는 꼭 넣어서 향, 맛 잡아보세요.

  • 21. ㅁㅁㅁㅁ
    '22.9.13 11:22 AM (58.120.xxx.239)

    컥 수입 냉동새우로 새우장 담는거 처음 알았네요
    활새우로 하는거 아닌가요
    활새우 사서 하시면 대충해도 살이 쫀득하고 맛있어요

  • 22. 프린
    '22.9.13 11:33 AM (121.169.xxx.28)

    냉동새우로 하는건 식당같은데서 하루이틀안에 소비할때나 하는거예요
    냉동해동 하는 순간 선도는 날아간건데요
    활새우 구입하셔서 씻어 수염자르고 담가요
    하루지나 끓여부을때 그날 먹을거만 껍질을 벗겨서 담그면 몇시간안에도 먹을수 있어요
    1주일까지 못 먹을건 새우만 냉동해서 먹을때 꺼낸후 껍질 손질하고 새우장 간장 부어서 그날 다 먹어요
    냉동하는것도 활새우로 담갔을때만 가능하죠

  • 23. 프린
    '22.9.13 11:35 AM (121.169.xxx.28)

    새우가 신선하면 어지간해서 비린내 안나요
    비린내의 근본원인이 냉동해동새우를 담아 일주일 숙성이라 하시지만 상하고 있는거예요

  • 24. ㄱㄷㄱㅈ
    '22.9.13 11:35 AM (58.230.xxx.177)

    요즘 파는 새우장은 깐새우로도 나와요.그 파는 냉동새우 깐걸로 만들어서 팝니다

    맛은 물론 일반새우로 한거보다 못하지만 이런것도 팔더라구요

    새우장 게장 식당에서는 대부분 냉동으로 만들어요.
    게장은 기생충 이런것때문에 일부러 얼렸다가 만들기도해요.살도 더 좋다고.

  • 25. 어제
    '22.9.13 11:41 AM (210.178.xxx.52)

    백화점이든 마트든 시장에서 파는 건 제철 국산이라고 따로 되어 있지 않은 한 흰다리새우는 대부분 냉동을 해동한 거예요. 많이들 착각하고 사더라고요.

    근데 새우장 그걸로 해도 됩니다.
    식당도 다 그렇게 해요.
    대신 100마리씩 해서 저장할 음식은 아니고요. 하루 이틀만에 다 먹어야죠.

  • 26. ㅇㅇ
    '22.9.13 11:56 AM (116.41.xxx.202)

    아우.. 정말 식당에서도 냉동 새우, 냉동 꽃게 쓰신다는 분들...
    식당에서 쓰는 간장새우, 간장게장용 냉동 새우, 냉동 꽃게가 시장이나 백화점에서 파는 그 냉동 새우, 냉동 꽃게가 아니예요.

    간장새우, 간장게장용 급냉 제품 납품 받는 거예요.

    시장에 파는 냉동 제품 사다가 하는 게 아니예요.

  • 27. 소주에
    '22.9.13 12:51 PM (123.214.xxx.169)

    20분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92363 장보러 갈때마다 놀라고 오는데 저만 이러나요ㅡ 7 .... 2022/09/18 4,258
1392362 어제 시댁에 농사 일하러 베트남 유학생들이 왔는데... 17 ㅁㅁㅁ 2022/09/18 7,329
1392361 돌싱보고 놀란점.. 51 ㅔㅔ 2022/09/18 24,082
1392360 아이가 학년을 낮춰 들어가면요 5 . 2022/09/18 1,635
1392359 신경외가 어디로 4 혈관 2022/09/18 1,225
1392358 김미숙은 마리오네트 주름이 없네요 7 2022/09/18 7,433
1392357 헝가리의 낙태관련 시행령 공표 6 ㅇㅇ 2022/09/18 2,293
1392356 돌싱글즈 안하나요? 1 바닐라향 2022/09/18 2,814
1392355 치의인데 저희 아이들 키울 생각하면 까마득해요 20 어렵다 2022/09/18 6,998
1392354 교실에서 특정친구에게만 집착하는 아이 1 ㅇㅇ 2022/09/18 1,278
1392353 김명신은 오늘 출국할 때도 팔이 가만히 있질 못하는군요.jpg 34 탬버린 2022/09/18 7,896
1392352 원래 8월말 이후로는 아침 저녁으로 시원하지 않나요 3 ㅇㅇ 2022/09/18 1,348
1392351 대학졸업후 월급을 300받으려면 6 ㅇㅇ 2022/09/18 4,964
1392350 윤 대통령 "文, 교실서 北이란 친구에만 집착한 학생 .. 24 ... 2022/09/18 2,534
1392349 삼계탕 뼈 먹어도 되나요? 9 ㅇㅇ 2022/09/18 1,365
1392348 관상 잘 보는 분 아시는가요? 7 관상 2022/09/18 2,654
1392347 애들은 줄어드는데 왜 점점 더 치열하고 빡빡할까요? 13 ㅇㅇ 2022/09/18 5,077
1392346 제주 애월 쪽 카페들 일요일 휴무가 많나요? 3 돌멩이 2022/09/18 1,615
1392345 간이식, 신장이식 정말 숙고해야해요. 59 ㅇㅇ 2022/09/18 22,338
1392344 핸드폰 영어로 6 ㅇ ㅇ 2022/09/18 1,569
1392343 여기 계신 어르신들만 집회가도 썰렁하진 않을텐데요 22 손가락지지 2022/09/18 1,488
1392342 (펌)분리수거 제대로 하는 방법 기초부터 총정리! 3 ㅇㅇㅇ 2022/09/18 1,215
1392341 스켑슐트 팬의 거친표면 ? 4 .. 2022/09/18 996
1392340 이분이 김건희 김범수 사진 더 보여준다고 하네요 26 ㅇ ㅇㅇ 2022/09/18 24,351
1392339 시험공부는 정말 사력을 다 해서 해야 붙을동 말동이네요. 2022/09/18 1,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