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피아노 천재는 서울대 음대 안간다고 하던데 어디 가나요?
1. ..
'20.9.14 9:48 PM (119.64.xxx.178)해외 가던데요 독일
2. 이미
'20.9.14 9:48 PM (14.138.xxx.241)한예종 거쳐 유학갔어요
3. ᆢ
'20.9.14 9:49 PM (1.225.xxx.223)한예종이요
4. 성적이
'20.9.14 9:50 PM (122.38.xxx.224)안돼서 못가기도 해요..
5. 대미
'20.9.14 9:51 PM (223.62.xxx.51)유학이요.....
6. ^^
'20.9.14 9:51 PM (223.38.xxx.34)서울예고 자퇴하고 일찍 유학가요
ex) 조성진7. ...
'20.9.14 9:52 PM (121.146.xxx.140)해외가던데요
조성진도 프랑스로 유학갔잖아요
서울대는 고등 성적 잘받아야해요
예고에서도 실기만 잘해서는 서울대 못간대요8. yje1
'20.9.14 9:52 PM (223.62.xxx.100)조수미도 서울대 음대 중간에서 접고 유학갓죠
9. 음
'20.9.14 9:53 PM (118.235.xxx.80)그런 극소수의 천재들은 다른 길로 빠지긴 하지만
그래도 서울대 피아노는 정말 피나는 노력과 날고 기는 재능으로 들어가는 거에요
우리가 아는 임동혁 조성진 이런 천재들은 얼마나 극소수인가요
그런 피아니스트가 아니라고 서울대 피아노를 무슨 예비 백수니 그렇게 말하는 거 진심 무식해보여요10. ...
'20.9.14 9:53 PM (211.217.xxx.3) - 삭제된댓글한예종 예비학교 거쳐 한예종 혹은 해외로 가죠
11. 요즘은
'20.9.14 9:54 PM (223.38.xxx.241) - 삭제된댓글수시 100프로라 실기가 아주 뛰어나면 갈수도 있어요~
12. ㅇㅇ
'20.9.14 10:02 PM (223.38.xxx.66)그럼 한예종 애들은 서울대 안 가고 한예종 간거에요?
예술쪽 몰라서 그런가 의외네요.13. 예비백수
'20.9.14 10:05 PM (124.49.xxx.61)진짜 무식하다..어찌 그런말을...입을 확
14. 한예종은
'20.9.14 10:07 PM (223.38.xxx.159)연주자가 목표인 학생들이 많이 가죠
15. ....
'20.9.14 10:09 PM (221.157.xxx.127)서울대는 성적도 탑급이라야 가능하고 한예종은 실기위주인거죠
16. 흠
'20.9.14 10:12 PM (119.64.xxx.11)울조카는 선화예고-서울대음대-하노버 유학
17. 수시 100프로
'20.9.14 10:14 PM (122.38.xxx.224) - 삭제된댓글서울대는 없어요..성적 많이 봐요.
18. 결국
'20.9.14 10:15 PM (122.38.xxx.224)나중에 교수는 거의 다 서울대출신이죠..공부를 안하고서는 나이들면 연주가 안되니까 교수 못하죠..
19. 설대
'20.9.14 10:16 PM (211.211.xxx.243)실기우수자로 들어간 학생들 내신 등급 낮은 케이스 많음요~
20. 피아노천재라도
'20.9.14 10:16 PM (122.38.xxx.224)공부가 안되고 집에 돈도 없으니까 한양대밖에 못가더라구요..타 대학 재학생 중에서 서울대 재수..반수 바글바글 해요
21. 요즘
'20.9.14 10:17 PM (122.38.xxx.224)입시제도 달라져서 실기 100프로는 없어요.
22. 서울대 어렵네
'20.9.14 10:30 PM (14.32.xxx.89)서울대는 체육과 간다고해도 2등급이상되야 한다네요
23. 무식
'20.9.14 10:36 PM (125.191.xxx.148)서울대든, 지방대 피아노과든,
졸업한 다음날부터 학원,교습소 차려서 한달에 얼마라도 따박따박 현찰 벌어오는걸 바람직하게 생각하는게
예비 백수 운운하는 사람의 수준이죠.24. ...
'20.9.14 10:56 PM (118.235.xxx.81)당연히 한예종
25. ㄱㄱ
'20.9.14 11:26 PM (106.101.xxx.124) - 삭제된댓글지인이 중대캠퍼스 안가고 한예종 갔어요.
26. ...
'20.9.14 11:56 PM (39.7.xxx.239) - 삭제된댓글여기 예체능 맘들 많은가봐요
하버드 철학과 박사님도 되기 힘들어요 근데 나오면 전공 살려 직업적으로 할 건 많이 없죠
그런 맥락에서 사회적으로는 백수 예약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거 같은데 뭐가 그리 심기가 불편한지?
천재들은 일찍부터 연주활동 하고 도제교육 받으면서 학교는 알아서 선택해서 다녀요
학교가 붙여주는 게 아니라 본인이 선택해서 필요에 따라 간다고요
서울대든 줄리어드든 하노버든
스승이 있는 곳에 따라서 혹은 뉴욕에 살지 베를린에 근거지를 둘지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할지 비자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지 등등에 따라서요
예술 쪽이라고 예술가라서 석박 졸업 후 취업 고민 안 하는줄 아나봐요
석박사를 꼬박 했다는 건 0.1%의 천재는 일단 아니라는 거고
(조수미, 장영주, 장한나 중에 음악 박사학위 소지자가 있나요? 장한나는 심지어 철학과 졸업이고 음악 전공도 아니에요ㅋ)
천재가 아닌 우등 영재의 카테고리에서 직업을 찾아 엄청난 노력을 합니다ㅎ
지인은 서울대 피아노-미국 석박사 하고 전세계로 이력서를 뿌린 끝에 약간 후진국 국립대로 교편 잡아서 취업해서 갔어요
한국에서는 자리 없으니까
다른 기악은 오케스트라라도 취업하지
피아노 교습소 따박따박 같은 소리 하고 있네요ㅎ27. ...
'20.9.15 12:04 AM (39.7.xxx.239) - 삭제된댓글그리고 한예종은 실력 편차가 커요
종합대학이 아닌 실기 중심의 음악원이기 때문에
영재 코스로 나이보다 일찍 간거면 가능성 있는거고
일반적인 대학교 진학 시기에 맞게 간거면 '그냥 잘하는 학생'일 가능성이 커요
고3이 공부되고 실기되면 서울대 가지 예종은 잘 선택하지 않아요
예종 출신 중에 잘된 사람들은(손열음 김선욱 등)
영재 코스로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낸 경우이지
따박따박 고3까지 대한민국 학사과정에 맞춰서 학교다닌 사람들이 아니에요
바둑처럼 음악 재능은 일찌감치 결판납니다
다른 악기들은 연주 단체 속에서 활동할 수 있지만 피아노는 반주자가 되는거 아니면 대부분 연주활동할 일이 많이 없어요
가르치는 일 외에는 전공 살려서 할 게 별로 없음28. ...
'20.9.15 12:08 AM (39.7.xxx.53) - 삭제된댓글참 성악은 예외. 신체적인 특성으로 20살 이후에도 발전 가능성 있음
29. ...
'20.9.15 12:23 AM (211.184.xxx.143) - 삭제된댓글여기 예체능 맘들 많은가봐요
하버드 철학과 박사님도 되기 힘들어요 근데 나오면 전공 살려 직업적으로 할 건 많이 없죠
그런 맥락에서 사회적으로는 백수 예약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거 같은데 뭐가 그리 심기가 불편한지?
아르떼tv 다큐만 찾아봐도 언제까지 부모님 돈으로 공부만 하고 콩쿨만 나가고 있을지 고민하는 음악 영재들 볼 수 있는데요
천재들은 일찍부터 연주활동 하고 도제교육 받으면서 학교는 알아서 선택해서 다녀요
학교가 붙여주는 게 아니라 본인이 선택해서 필요에 따라 간다고요
서울대든 줄리어드든 하노버든
스승이 있는 곳에 따라서 혹은 뉴욕에 살지 베를린에 근거지를 둘지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할지 비자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지 등등에 따라서요
예술 쪽이라고 예술가라서 석박 졸업 후 취업 고민 안 하는줄 아나봐요
석박사를 꼬박 했다는 건 0.1%의 천재는 일단 아니라는 거고
(조수미, 장영주, 장한나 중에 음악 박사학위 소지자가 있나요? 장한나는 심지어 철학과 졸업이고 음악 전공도 아니에요ㅋ)
천재가 아닌 우등 영재의 카테고리에서 직업을 찾아 엄청난 노력을 합니다ㅎ
지인은 서울대 피아노-미국 석박사 하고 전세계로 이력서를 뿌린 끝에 약간 후진국 국립대로 교편 잡아서 취업해서 갔어요
한국에서는 자리 없으니까
다른 기악은 오케스트라라도 취업하지
피아노 교습소 따박따박 같은 소리 하고 있네요ㅎ30. ...
'20.9.15 12:24 AM (39.7.xxx.134)여기 예체능 맘들 많은가봐요
하버드 철학과 박사님도 되기 힘들어요 근데 나오면 전공 살려 직업적으로 할 건 많이 없죠
그런 맥락에서 사회적으로는 백수 예약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거 같은데 뭐가 그리 심기가 불편한지?
아르떼tv 다큐만 찾아봐도 언제까지 부모님 돈으로 공부만 하고 콩쿨만 나가고 있을지 고민하는 음악 영재들 볼 수 있는데요
천재들은 일찍부터 연주활동 하고 도제교육 받으면서 학교는 알아서 선택해서 다녀요
학교가 붙여주는 게 아니라 본인이 선택해서 필요에 따라 간다고요
서울대든 줄리어드든 하노버든
스승이 있는 곳에 따라서 혹은 뉴욕에 살지 베를린에 근거지를 둘지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할지 비자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지 등등에 따라서요
예술 쪽이라고 예술가라서 석박 졸업 후 취업 고민 안 하는줄 아나봐요
석박사를 꼬박 했다는 건 0.1%의 천재는 일단 아니라는 거고
(조수미, 장영주, 장한나 중에 음악 박사학위 소지자가 있나요? 장한나는 심지어 철학과 졸업이고 음악 전공도 아니에요ㅋ)
천재가 아닌 우등 영재의 카테고리에서 직업을 찾아 엄청난 노력을 합니다ㅎ
지인은 서울대 피아노-미국 석박사 하고 전세계로 이력서를 뿌린 끝에 약간 후진국 국립대로 교편 잡아서 취업해서 갔어요
한국에서는 자리 없으니까
다른 기악은 오케스트라라도 취업하지
피아노 교습소 따박따박 같은 소리 하고 있네요ㅎ31. ...
'20.9.15 12:24 AM (39.7.xxx.134)그리고 한예종은 실력 편차가 커요
종합대학이 아닌 실기 중심의 음악원이기 때문에
영재 코스로 나이보다 일찍 간거면 가능성 있는거고
일반적인 대학교 진학 시기에 맞게 간거면 '그냥 잘하는 학생'일 가능성이 커요
고3이 공부되고 실기되면 서울대 가지 예종은 잘 선택하지 않아요
예종 출신 중에 잘된 사람들은(손열음 김선욱 등)
영재 코스로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낸 경우이지
따박따박 고3까지 대한민국 학사과정에 맞춰서 학교다닌 사람들이 아니에요
바둑처럼 음악 재능은 일찌감치 결판납니다
다른 악기들은 연주 단체 속에서 활동할 수 있지만 피아노는 반주자가 되는거 아니면 대부분 연주활동할 일이 많이 없어요
가르치는 일 외에는 전공 살려서 할 게 별로 없음
참 성악은 예외. 신체적인 특성으로 20살 이후에도 발전 가능성 있음32. ㅇㅇ
'20.9.15 1:48 AM (223.62.xxx.207)솔까 그냥 악기 안하는게 국가적인 손실급 아니면 별볼일 없어요....
한예종이든 설대든.
이미 뛰어난 재능러들은 그 코스대로 안가요.33. ....
'20.9.15 3:15 AM (14.52.xxx.133)클래식 전문연주자의 길은 천재급 아니면 거의 불가능한 것 맞죠.
서울대 기악 전공은 들어가기도 무척 어렵지만
나와서 전망은 또 다른 얘기니까요.
교수 자리라봐야 한국 내 전국 다 해도 1년에 몇 명이나 나오며
국내 오케스트라 지방까지 다 해도 악기별로 몇 자리나 나올 것 같나요.
학원 차리거나 레슨해서 먹고 살거 아니면 백수 예약이 과장은 아니죠34. 임주희
'20.9.15 6:05 AM (125.190.xxx.180)중고 과정 홈스쿨링하고 이번에 줄리어드로 갔어요
https://namu.wiki/w/임주희35. 친구들
'20.9.15 8:43 AM (82.8.xxx.60) - 삭제된댓글서울대 성악 기악 전공 골고루 있는데 피아노는 학부 졸업 후 레슨, 유학 직후 강사 좀 하다가 레슨, 현악기는 유학 없이 오케스트라 활동 중, 성악은 하나는 유학 후 아이 낳기 전까지 강사하다 전업주부, 또 하나는 유학 후 계속 전업주부네요. 그나마 오케스트라 악기가 수요가 많긴 한가봐요.
36. 예술인
'20.9.15 9:00 AM (218.38.xxx.169)피아노 진짜 천재다.. 하면 프랑스 파리국립음악원... 조성진 다녔던...
여기는 2번인가?만 시험볼수 있는 기회 주는가 했어요.
대부분의 피아니스트나 악기 하시는 분들은 이곳이 제1의 목표입니다.
한국 학생들중에 이곳에 합격한 학생들 대부분이 한예종이나 서울대 서울예고 출신입니다.37. //
'20.9.15 4:37 PM (211.215.xxx.168)전공이 뭐든 남의 자식한테 예비 백수라뇨
너무 말이 심하네요
진로야 나이 60 되서도 바꿀수 있고 다른 일할수도 있고 하는거죠
우리 서로 이쁜 말만 해요38. ..
'20.9.15 6:33 PM (49.164.xxx.159)음 그렇기는 하네요.
천재급들 찾아보니 고딩 때 유학, 한예종 때 유학 뭐 그런식이기는 하네요.39. 친척언니
'20.9.15 7:15 PM (113.10.xxx.49)서울예고( 전교권)- 서울대 피아노- 미국 석박사
그리고 여기저기 강사다니면서 지방대 겸임교수& 레슨40. ......
'20.9.15 7:38 PM (211.36.xxx.129)연주자야 말로 타고나는거에ㅜ
성실까지 있어야해서
대부분 일반적 학생들의 루트를 안탑니다.
그냥 본인이 선택해서 가는거다 보면됩니다.
손열음도 정식 한예종루트가 아님.
처음 동네피아노학원에서 피아노 치는데
이미 싹을 알아본 음악인들의 소개로
김대진 교수에게 소개되어 스승님 계신 한예종간셈.
이런경우는 유학가거나 한국에있을거면 일반 학교를 다니는게 무의미하니
고등학교 안가고 한예종 조기진학
이건 정말 천재인경우고
한예종은 조기진학한 케이스나 그걸로 먹고살수있지
일반 진학은 케이스가 좀 다름.41. ㅇㅇㅇ
'20.9.15 7:44 PM (203.251.xxx.119)예술은 실기가 우선인데 서울대는 실기보다 성적을 먼저 보니까
진짜 실력있는 예술가는 서울대보다는 해외유학나 한예종을 감42. ........
'20.9.15 8:29 PM (121.132.xxx.187) - 삭제된댓글서울대 안가고 한예종 가는 사람이 실기가 탑이라도 성적이 안되서죠. 서울대 성적되는데 한예종 가는 사람 못봤어요.
43. ........
'20.9.15 8:32 PM (121.132.xxx.187) - 삭제된댓글서울대 안가고 한예종 가는 사람이 실기가 탑이라도 성적이 안되서죠. 서울대 성적되는데 한예종 가는 사람 못봤어요.
서울대가 성적 먼저 보는게 아니라 성적 실기를 모두 보는 거에요, 실기탑이라도 성적 안되면 안되고 성적 탑이라도 실기 안되면 안되거든요, 총합으로 하는 게 아니라 성적 실기 어느선 밑은 아예 잘라내고 뽑아요. 그래서 정원 못채울때도 있어요. 입시요강에도 지원자가 정원이 넘어도 합격자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정원미달일 수 있다고 되어 있어요.44. ......
'20.9.15 8:42 PM (121.132.xxx.187)서울대 안가고 한예종 가는 사람은 실기가 탑이라도 성적이 안되서죠. 실기탑인 학생이 서울대 성적되는데 한예종 가는 사람 못봤어요.
서울대가 성적 먼저 보는게 아니라 성적 실기를 모두 보는 거에요, 실기탑이라도 성적 안되면 안되고 성적 탑이라도 실기 안되면 안되거든요, 총합으로 하는 게 아니라 성적 실기 어느선 밑은 아예 잘라내고 뽑아요. 그래서 정원 못채울때도 있어요. 입시요강에도 지원자가 정원이 넘어도 합격자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정원미달일 수 있다고 되어 있어요.45. 아뇨
'20.9.15 8:50 PM (223.38.xxx.112)실기탑이면 성적 안돼도 들어갑니다. 20명 정원에 실기우수자 3명 정도는 내신등급 상관없이 들어갑니다.
46. 아무튼 음대는
'20.9.15 9:36 PM (222.109.xxx.61)음대는 서울대 한예종 연세대 한양대
그리고 이대 정도까지 아니면
나와 봤자 솔직히 그냥 그래요.
5개 대학 보낼 자신 없으면 애초에 음대는 걍 접으시는게 나아요.
인풋 대비 아웃풋이 저 5개 대학 안 나오면 진짜 별로예요47. ..
'20.9.15 9:45 PM (61.254.xxx.115)서울대는 성적도 좋아야 들어가요 한예종은 실기로만 가니까요
골고루 다잘해서 들어가기 어려운건 서울대죠
전 서울대나온사람을 더 쳐주고싶네요 실기만하는것보다 얼마나 마음의 부담이 크겠어요48. 한예종
'20.12.25 6:44 AM (122.37.xxx.188)10프로 성적봅니다
워낙 잘하는 학생이 많아서
음 ...전형이 아무나 볼수없는 내용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