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오이지 처음 만들어봤는데 이거 맛이 왜 이럴까요~?

아놔 짜증 조회수 : 2,790
작성일 : 2019-07-17 16:29:55
머리털 나고 오이50개 사서 첨으로 오이지 만들었어요.
그동안은 여기저기서 하도 주셔서 잘 먹었었는데,
하도 만들기가 누워떡먹기라 하셔서 한번 만들어본거죠~ㅎ

검색해서 전통방식이래나...끓인 소금물 붓고 며칠후 다시 그 소금물을 끓여 식힌후에 또 부어 만드는 그 방식으로 만들었어요.
시간이 지난후 노릇해진 오이 서너개를 꺼내서 썰어 물에 담가 짠기 빼고 평소 무쳐먹는 방법 그대로 무쳐서 먹는데~~으아~~~~
이거이거 맛이 왜 이런가요....아 슬프당~~~ㅠㅠㅠㅠ

뭐랄까....
짠건지 쓴건지 여튼 이상하고 맛이 없어요.
그동안 제가 맛있게 먹던 그 오이지의 맛이 아니에요 어흑~~
청정*인가에서 나온 천일염으로 나름 정성들여 만든건데
아오~~~~~~~50개.......
저거 맛 심폐소생술 어디 없을라나요~ㅜㅜ

아 그리고~~
물없이 만드는 오이지는 설탕도 들어가고 식초도 들어가던데
그럼 이런방식으로 만들면 달콤새콤한맛도 나니 이게 더 맛있게 되는건가요??
요리고자가 요리고수 흉내냈다가 다 망쳐서 지금 멍때리고 앉아있어요 애휴~~==;;
IP : 175.112.xxx.9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ㅁ
    '19.7.17 4:34 PM (175.223.xxx.151) - 삭제된댓글

    여기선 전통식 전통식 하지만 직원식당 조리사로서 수년 수십명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간편식 더 선호합니다
    30명에 한명정도 재래식찾음
    전통식은 자칫 꼬리하고 짜고 물에담그면 팅팅불어
    짜느라 고생이고

  • 2. ...
    '19.7.17 4:37 PM (39.7.xxx.82)

    너무 짜게 했나봐요.
    아니면 덜 익혔든지...
    최소한 일주일 이상 상온에서 익혀야 됩니다.
    지금이라도 오이지물 빼서 맹물 더 붓고 끓여서
    슴슴하게 소금물 다시 만들어 부으세요.
    그리고 상온에서 더 익혀보세요.
    하얀 골가지 생길 때까지 익히세요.
    이해 안되면 질문 또 하세요.

  • 3. 애휴
    '19.7.17 4:41 PM (175.112.xxx.9)

    익은듯 노릇노릇(?)해지고 쪼글쪼글해져서 썰어보니 가운데 구멍도 나고 잘 익은것 같아 보였어요..ㅠㅠ
    근데 이넘의 오이지가 뭐랄까요~
    짠것(?)도 같고 아닌것도 같고...음...쓴기(?)가 느껴지는것 같다고 할까요..?
    내참~오이지 그렇게 많이 먹어봤으면서도 설명하기 참 힘든
    그냥 슬픈맛....같아요 엉엉~~~~ㅜㅜㅜㅜ

  • 4. 찬물에
    '19.7.17 4:44 PM (1.244.xxx.152)

    맛있어질 때까지 담갔다가
    드세요.

  • 5. 음..
    '19.7.17 4:47 PM (110.47.xxx.71)

    오이 자체가 쓴 거 아니였을까요?
    속상하네요. 그걸 다 씻고 정성들여 절였을텐데...

  • 6. ...
    '19.7.17 4:47 PM (211.246.xxx.46)

    오이가 쓴 오이로 했는지도 몰라요.
    오이지는 장마 오기전 6월에 담가야 합니다.
    저도 며칠전 산 오이가 살짝 쓰던데요.
    일단 위에 제가 쓴대로 해보세요.
    얼마든지 개비가 가능합니다.
    제 생각엔 아직 덜 익은듯 해요.
    50개에는 물 6리터에 소금 540그램이에요.
    제가 하는 레시피입니다.

  • 7. ...
    '19.7.17 4:48 PM (211.246.xxx.46)

    밖에서 쓰니까 아이피가 자꾸 바뀌네요.

  • 8. ㅁㅁ
    '19.7.17 4:49 PM (123.214.xxx.111)

    오이지 물 다 빼서
    물역 부어 김냉에 보관했다 드세요

  • 9. 또 궁금요
    '19.7.17 4:54 PM (175.112.xxx.9)

    전 물 8L에 소금800g으로 만들었는데 비율이 잘못된걸까요~?
    정말 오이가 쓴 오이였나 어흑 이런~~×.×

    그리구 질문요~
    평소 오이지를 주위에서 주시면 그걸 물에 담가 짠기 빼고
    고춧가루,깨,참기름,마늘,파 이렇게만 넣고 무치는데도
    맛있더라구요.
    근데 이번에 제가 담근 오이지는 이렇게 똑같이 무쳤는데도 뭔가 2%는커녕 20%나 부족한 맛이 나요...
    82님들은 양념 어떻게하셔서 드시는지 궁금해요...

    댓글주신님들 넘 감사드립니다^^

  • 10. 오이가
    '19.7.17 4:55 PM (121.154.xxx.40)

    쓴 오이거나 소금이 간수 안빠진걸 쓰셨던가
    둘중의 하난데
    쓴맛 나는건 거의 소금탓인거 같아요
    소금 간수 충분히 빠진걸로 하셨나 생각해 보세요
    아무리 맛 없어도 쓴맛은 안나는 거예요

  • 11. ...
    '19.7.17 5:01 PM (175.112.xxx.9)

    윗님~
    소금은 청정* 천일염 굵은소금으로 담갔어요.
    정말로 속상하네요.
    식감도 아삭아삭하고 노릇쭈글 비주얼은 끝내주는데요 에잉~

  • 12. 식초/물엿
    '19.7.17 5:02 PM (110.47.xxx.71)

    안 넣으세요? 새콤달콤하게 먹는 걸 좋아해 저는 식초/물엿도 넣고요...그리고 깨를 가루로 해서 넣어요. 그럼 좀 더 고소한 것 같아서요. 가끔 좀 덜 매운 고추 잘게 썰어서 넣기도 하고요....
    그나저나 제가 다 속상함. 저도 오이지 담그고 싶었는데 잘 안될까봐 두려워서 미뤘거든요..
    그냥 오이지 인터넷배송 시켜서 약간만 무쳤는데 느무느무 짜요..다시 짜서 무쳐야겠어요. 오이지 짜는 게 사실 일의 대부분인 것 같아요. 은근히 힘듭니다..오늘도 손바닥이 느무 아픕니다..암튼 오이지가 부활했음 좋겠네요. 고생하고 기대하셨는데..

  • 13. ...
    '19.7.17 5:05 PM (211.246.xxx.46)

    물 8리터, 소금 800그램은 보통하는 비율이에요.
    조금 짠 정도지요.
    물 좀 버리시고 맹물 섞어서 조금만 염도를 낮추세요.
    양념도 잘하신 것 같아요.
    제 생각엔 덜 익혀서 그런듯요.
    흰 골가지 생기도록 익혀보세요.

  • 14. 쭈혀니
    '19.7.17 5:37 PM (124.49.xxx.9)

    짠기 더 빼시고
    무칠 때 설탕넣고 올리고당은 쬐끔.

  • 15. ^^
    '19.7.17 6:10 PM (175.112.xxx.9)

    댓글주신 분들 모두 넘 감사합니다.
    말씀주신것들 다 메모해서 그대로 해보려구요~
    식사 맛있게 하시고 좋은 저녁 되세요^^

  • 16. 별님
    '19.7.22 12:59 AM (58.225.xxx.184) - 삭제된댓글

    일부러 로긴했어요.
    최근에 배운거 알려드리려고..
    오이를 채썰어 설탕에 잠시 버무려놓으시면
    짠맛이 쫙빠져요.
    닷맛도 어느정도 좋고...물도 빠지고..
    꼭 짜서 기본양념해서 무치면되는데.
    아는분 비법은 양념에 청양고추 다져서 넣으라고 하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53097 소개남이 같이다니기 창피한 느낌이라면 21 과년한 2019/07/18 10,248
953096 유튜브보다가 입이 떡 벌어지네요 94 uu 2019/07/18 46,289
953095 후지TV 한일관계 해법...문재인 탄핵 26 ... 2019/07/18 3,131
953094 힘내라 문재인 정부 9 tyu 2019/07/18 1,448
953093 아이랑 물놀이 자주하면 안좋죠? 7 강아지 2019/07/18 2,200
953092 유니클로가 했다는 사과 8 그렇다면 2019/07/18 2,521
953091 부부관계 조언 부탁 6 발냥발냥 2019/07/18 5,246
953090 같은 초1 친구.. 단순한 발달차이 일까요? 8 ... 2019/07/18 2,910
953089 후쿠시마 방사능 케백수 다큐 7 ........ 2019/07/18 1,769
953088 나뚜찌 소파 몇년정도 쓸수 있을까요? 7 수명 2019/07/18 3,622
953087 일본 관광청 장관 “큰 영향 없다” 41 ... 2019/07/18 7,892
953086 유튜브 채널 편집을 하려고 해요 4 .. 2019/07/18 1,010
953085 고민정 브리핑에 대한 오늘자 중앙일보 사설.JPG 22 와이것들 2019/07/18 5,658
953084 중등 평균낼때 음미체는 안들어가나요 4 .... 2019/07/18 1,495
953083 아일랜드에서 천백원 결재되었다는대요 6 아이폰 2019/07/18 3,333
953082 포항지곡동 4 한끼쥽쇼 2019/07/18 2,336
953081 꿈에서 저승 사자를 본적있어요. 25 2019/07/18 8,211
953080 퍼뜨려주세요. 도를 지나친 일본 대참사 17 ... 2019/07/18 5,944
953079 질문)보라카이 갈 때 스노우쿨링 장비 사가야 하나요? 6 가보라카이 2019/07/18 1,271
953078 9월 말~10월 초 토론토 여행지 추천해주세요 3 .. 2019/07/18 793
953077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이라는게 뭔가요? 2 주식초보 2019/07/18 664
953076 일본돈 받는 연예인들,언론인들,정치인들 18 사사카와재단.. 2019/07/18 4,956
953075 비오면 기분좋은분 계신가요? 26 ㅌㅌ 2019/07/17 5,440
953074 오늘 수목드라마 뭐 보셨나요?? 모여봐요 8 수목드라마 2019/07/17 2,735
953073 중진은 용퇴거부, 초선은 불출마,골치아픈 민주당 7 ㅇㅇ 2019/07/17 1,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