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북유럽 학교 탐방후
교육관도 있고해서 평소에 많이 배우는데 가서 뭘보고 느꼈는지 물어봤어요.
우선 하는말이
자기가 가기전에도 시도별로 탐방 가는 교사들이 몇명있었는데
왜 배운걸 다른 교사에게 가르치지 않을까 했는데
다녀와서 보니 가르칠수 없는거였대요.
그냥 딱 안되는거래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공부를 잘하면 그래 넌 공부를 잘하는구나
못하면 넌 다른걸 하면되겠구나.
그렇대요.
잘하든못하든 아무 문제가없고
각자 가고싶은데로 가는...
자유롭고 평온한 사회분위기에,
교육은 교육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전반적인 시스템과 환경에 맞추어 교육이 이루어 지더라는 거였어요.
깨닫지 못했던 부분이라 충격 받았어요
우리나라는 유치원부터 무한경쟁이 시작되는데 ..
부러움을 넘어 갑갑해졌어요.
이사회에서 제아이도 정령 나처럼 평생 성적에 매달리며
살아야하는가하는 생각에 잠이 안오네요.
1. 햇살
'18.9.8 7:15 AM (211.172.xxx.154)인구수, 국민소득, 사회복지 다름. 비교불가.
2. 그랬네요
'18.9.8 7:27 AM (218.234.xxx.23)북유럽에서 아이들 생활을 보니, 우리 아이들이 차~암 불쌍하구나~ㅠㅠ
부모인 우리들이 차~암 불쌍하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더군요.
사실 북유럽이 날씨가 안좋아서 척박한 곳이었고 그래서 서로 침공도 많이 하고 그랬는데
공화민주주의를 잘 정립해서 저런 복지국가가 된 것이더군요.
우리는 왜 못했나~ 하는 생각도 들고
그래도 사람이 하는 일이니 우리나라도 저렇게 만들어가면 되겠다는 생각도 들고
그렇네요.3. 오랜되유교주의도
'18.9.8 8:42 AM (124.49.xxx.61)한몫하죠..그리고
사람들의 초관심이 학벌과돈 부동산 이니까요4. 바로 그게 제가
'18.9.8 9:08 AM (211.58.xxx.127)늘 말하던바. 입시제도가 아무리 골백번 달라진들 학부모가 다른애는 그렇기 가는거 좋은데 내 아이만은 대학 것도 이왕이면 스카이 이런 상황에서 함들어요.
입학사정관 학종 이런제도가 좋은 의도이고 서구에서 넘어온 건데 그럼 뭐하나요. 가치관이 안변했는데...5. 그래서
'18.9.8 12:10 PM (121.175.xxx.27) - 삭제된댓글예전에 학종 도입하고 생기부 어쩌고 난리칠때
국민정서와 상황이 바뀌어야 하는데 저게 가능하다 생각해서 저 사람들은추진하는걸까 아님 딴 속셈이 있는걸까 아님 ㄹ코끼리 목에 리본이라도 묶어서 끌고가는 심정으로 교육으로 사회정서를 바꿀 꿈을 꾸고 있는걸까 궁금했었는데.
입시를 바꾼다고 될 문제가 아닌데 허구헌날 ㅎㅎ6. 전
'18.9.8 12:48 PM (211.248.xxx.147)지금 최저임금 올리는것도 그런사회로 가는 하나의 방향이라고 생각해요. 다같이 기본적인 수준에서 먹고사는게 어려움이 없어야 넌 공부잘하는구나 못하면 다른거하면 되겠구나가 되는거 아닐까요? 공부아니면 당장ㅊ먹고살기 힘든사회에서는 그냥 공부만이 살길인거고 그 생명줄 잡으로 다들 힘겨워지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