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유아때 책많이 읽은 아이는 공부 더 잘하나요?

아기엄마 조회수 : 4,645
작성일 : 2016-09-28 15:45:09
자녀에게 책 많이 보여주고 읽게 한 회원님들
자녀분이 초중고때 학습능력에서 다른아이들보다 더 두각을 보이셨나요?
아이책 영사분을 만나니 동화책 몇권 읽어주고 있는 저를 나무라시더군요
지인은 초등입학전에 아이가 읽은책이 최소500권은 된다고 하시고
방송프로그램보니 거실이 다 책이에요
그냥 많이 뛰어놀게하고 교구나 교재 안할려고 했는데
많이 흔들리네요
IP : 223.62.xxx.49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9.28 3:47 PM (203.226.xxx.46) - 삭제된댓글

    거실이 다 책이어도 안 읽는 애들은 안 읽어요.

  • 2. 요즘
    '16.9.28 3:49 PM (1.238.xxx.219)

    동네마다 도서관 잘돼있으니 빌려다읽히세요.
    아무래도 책읽는 습관은 어릴때 들여놓으면ㅁ나쁘지않죠

  • 3. 저는
    '16.9.28 3:50 PM (218.50.xxx.151)

    어려서 책 많이 본 편인데...국어,영어는 거의 만점 받았어요.

  • 4. 그리 책 좋아하더니
    '16.9.28 3:55 PM (114.204.xxx.212)

    초등 고학년 가며 차츰 안읽더라고요 ㅜㅜ
    중고때까지 꾸준히 읽는 아이가 드물고 , 그런아이들이 공부도 잘하는거 같긴해요

  • 5. 저는
    '16.9.28 3:56 PM (112.172.xxx.197) - 삭제된댓글

    책 거의 안읽었는데 국어 영어 늘 만점 가까이 받았어요. 드라마 많이보고 8시 뉴스 매일 봤어요^^;

  • 6. ㅇㅇㅇ
    '16.9.28 3:56 PM (110.70.xxx.64) - 삭제된댓글

    요즘은 도서관이 널렸는데 집안에 책채우는것도 촌스러워요
    외국에 글쓰는 문인은 자기가 보유한책이 4천권정도인데 우리나라 애들이 그것보다 더 가지고 있다는게 이해가 안간답디다.

  • 7. 저도
    '16.9.28 3:57 PM (221.167.xxx.111) - 삭제된댓글

    책많이읽었는데

    커서 성실하지못해서 대충해도 국어 영어관련은 늘 잘했습니다

    그런데 딴건 공부를 안해서 그냥 평범합니다

  • 8. 유아독서는 습관 혹은 정서함양
    '16.9.28 3:57 PM (211.201.xxx.244)

    학습과 연계되는 것은 독해력 어휘력 스피드입니다.
    유아독서는 그거랑은 큰 상관없어요.
    단지 책이 좋아져서 열살이후에도 책을 많이 읽는다면
    당연히 학습에 도움이 되어요.

  • 9. ...
    '16.9.28 3:58 PM (175.121.xxx.16) - 삭제된댓글

    부모한테 받는게 제일 큽니다.
    엄마아빠를 한번 돌아보시길요.

  • 10. 그냥
    '16.9.28 4:06 PM (61.82.xxx.136)

    지가 좋아서 스스로 읽는 게 중요하지 무조건 읽기만 하는 게 중요한 건 아니에요.

    요즘 하도 어릴 떄 부터 책책~ 하는 분위기라 이넘의 책 때문에 상담치료 받는 애들도 많아요.
    집에서는 아이가 좋아하니 계속 읽어주고 책 사줬더니 나중에 갑자기 발달지연 같은 거 와서 병원 갔더니 책 멀리하고 놀게하라~ 이런 경우도 많아요.
    애들 성향에 따라 엄마가 아이가 책 읽는 모습을 기뻐하니 엄마 마음에 들려고 책을 더 찾는 경우도 많다네요.

  • 11. 스스로
    '16.9.28 4:08 PM (112.186.xxx.96)

    스스로 독서에 재미를 붙이도록 유도하시는 게 좋죠
    억지로 읽히면 별로...

  • 12. ...
    '16.9.28 4:13 PM (124.243.xxx.12)

    어린시절부터 활자중독에 가까울정도로 책을 끼고 살아서..책을 정말 많이 읽었어요.
    그런데 유아독서랑은 상관없는거같아요.
    초등학교 2~3학년때부터 책에 빠져들기 시작한거같아요.
    어린시절에는 뛰어놀았던 기억이 주로고요.. 책에 둘러싸였던 기억은 없어요.
    그런데 다독은 인생에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 13.
    '16.9.28 4:14 PM (175.192.xxx.3)

    에이..제가 영유아때 책을 너무 좋아해서 부모님이 걱정할 정도였는데 국어 영어 잘 못했어요.
    어릴 때나 봤지 커가면서 책은 쳐다보지도 않은데다가 엄마의 구박에 항상 기죽어 살아서 그런가 이해력이 안좋았어요.
    반면 남동생은 두돌 때부터 책을 읽고 막 웃었다는데..책 자체는 안좋아했어요.
    그래도 책을 읽으면 자기 것으로 소화를 하더군요. 타고나는 게 큰 것 같아요.

  • 14. 초등 3학년때까지
    '16.9.28 4:16 PM (122.40.xxx.85)

    책 읽어준 사람은 저밖에 없을듯...
    애가 스스로 책읽는걸 싫어하는데 누가 읽어주면 잘 듣거든요.
    중1인데 저의 노력이 무의미하게 느껴져요.

  • 15. 스/스/로
    '16.9.28 4:18 PM (180.66.xxx.214)

    스스로 책에 중독되고 미쳐서 열심히 읽는 애들은 효과 있구요.
    거실을 책장으로 도배해서 도서관화 시켜놔도
    스스로 안 읽는 애들은 전혀 소용 없어요.
    아무리 엄마가 옆에서 책 소리내서 읽어주고, 강제로 손에 쥐어 줘도요.

  • 16. ...
    '16.9.28 4:18 PM (122.32.xxx.151)

    책 많이 읽는거 당연히 좋죠.. 그런데 저런 영업사원한테 전집 막 무더기로 들이고 그런건 하지 마세요

  • 17. 영사
    '16.9.28 4:50 PM (112.221.xxx.67)

    한테 사지는 마세요..엄청 비싸게 팝니다.그럴수밖에없지요..
    프뢰벨이나 그런거 좋다고 지들 난리지만..제가 보니까..아이들책은 다 거기서 거기에요...
    그냥 저렴한책 많이보는게 더 나은거같아요...

  • 18. 흠..
    '16.9.28 5:55 PM (203.235.xxx.113)

    초등학교 저학때 학습에 도움은 될수 있죠,
    상식이나 글자를 아니까요.
    그것이 훗날까지 책을 봐야 이어지긴 하는데..
    그러기가 쉽지는 않더라구요 요새 스마트폰때문에 게임하느라 책을 뭐 그렇게. 흥미있게 안보네요ㅠ
    근데 초저학년때 자신감? 엔 도움될수도 있겠고
    그 이해력이 다음학습에 연계 될수도 있겠죠.

    근데 영사한테 사지 마요
    그 가격이면 다른 좋은 책들을 500권 살수 있어요.

  • 19. ..
    '16.9.28 7:04 PM (175.223.xxx.160)

    초등학교 고학년 때까지 스스로 책이 좋아 읽는 아이들은 문과쪽 과목은 고등때까지 쉽게 가더군요. 수학, 과학은 별 상관 없고요. 수학머리 타고난 아이가 책까지 많이 읽으면 정말 무적인 것 같아요.

  • 20. 생각해보니
    '16.9.28 7:06 PM (220.86.xxx.244)

    저 영유아때 책 안읽었고 읽어주는 사람도 없었고
    초등 고학년부터 중고때 책 대여점에서 소설책 거의 다 빌려 읽었고 팝송 좋아해서 가사 외우기가 취미고 그랬어요.
    공부 중간정도 하다가 고 3때 아빠가 넌 전문대나 가라 그래서 엄청 울고 공부시작.. 수능 5%나왔어요.
    내신이 개판이고 자존감이 낮아서 요새 망해가는 여대 젤 점수 높은과 장학금 받고 갔네요.
    어쨌든 중고딩에 책 많이 읽으면 순간 치고 올라갈수도 있다는 산증인 입니다.

  • 21.
    '16.9.28 7:10 PM (124.54.xxx.52) - 삭제된댓글

    예외도 있더군요.
    지능이 좀 낮은 아인데 책읽기를 좋아했어요.
    현실이 벅찬 애들은 도피성으로 책을 찾기도 해요.

  • 22. ..
    '16.9.28 7:13 PM (112.152.xxx.96)

    돈땜에 책사는거 엄마들이 못사고 망설여서 그렇지...사놓고 깔아놓음 뭐라도 봅니다....도서관도 부지런해야 다니는거고...책장한칸 채우려면 족히 25ㅡ40.50 만원은 드니 책장 도배하는것도 여유되야 하네요..나이별로 업그레이드....집에 책이 있는 환경은 애한테는 독서습관은 심어주는거 같아요

  • 23. 도서관
    '16.9.28 8:06 PM (110.11.xxx.8)

    아이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요?
    유치원미만단계라면. 영업사원말고. 암튼 좋은 전집 구매하셔서
    엄마가 부지런히 읽어주면. 애들이 열심히 듣고요
    아이정서. 엄마사랑면에서 좋은거 같아요
    그렇다고 몇백권까지는 필요없어요
    도서관에서 부지런히 빌려다 읽어주면 되요
    애도 같이 데리고 다니면서
    저도 초등고학년부터 무지 책 좋아했는데
    영어 국어는 조금만 공부해도 백점이었어요. 수능도
    그러나. 공부안한 수학 좌절
    어릴때 정성으로 책 많이 읽어준 아들 둘. 지금 책 안 읽어요
    사년전 사준 문학전집. 인테리어효과만 있네요
    도서관에서 매번. 만화책만 빌려다줍니다
    그나마. 상식은 늡니다 ㅠㅠ

  • 24. ...
    '16.9.28 9:46 PM (114.201.xxx.141)

    공부는 재능입니다.
    독서는 삶의 양식이니 좋은 책 즐기면 좋은일이지
    다른 의도로 하는 독서는 오히려 독입니다.

  • 25.
    '17.6.2 3:59 AM (222.108.xxx.99)

    저가 책 많이 읽은 케이스인데
    집에 영유아 책들이 많지는 않았어요.
    그림책보다 산하어린이 창비어린이 많았어요.
    그래서인지 초등 고학년 글밥 많아지던 시기에도 잘 적응한 듯 합니다.
    돌이켜볼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7179 ㄱㅈㄱ 예비 신부 미씨 댓글 1 03:47:03 1,365
1747178 로또당첨후기보고 부러워서 동행복권 가입했네요 3 로또 02:23:34 904
1747177 금쪽이 밑의 글 질문있는데요~!! 저도 비슷한 경험자로서 진심으.. 9 ㅇㅇㅇㄹ 02:13:47 721
1747176 김명신은 지돈으로 명품사면 되지 뭘 저렇게 받아 쳐 먹었나요? 9 ㅇㅇㅇ 01:59:08 1,234
1747175 여러분 대한민국은 망했어요 요즘 아이들 보세요 14 01:47:37 2,661
1747174 백해룡 경정님 유튭 개설하셨네요- 백트체크 3 ㅇㅇ 01:33:27 368
1747173 부알못인데요 4 김ㅇㄹㅎ 01:31:43 567
1747172 김용민 평화나무 이사장 “김어준, 이젠 조국 대통령이 목표” 31 ㅡㅡ\ 00:48:28 2,188
1747171 김혜경 여사 지갑 21 궁금 00:37:07 3,628
1747170 백화점 스테디셀러 화장품 공유해요 27 .. 00:33:14 1,921
1747169 저를 좀 분석해주세요 16 숙제 00:31:22 1,190
1747168 결국 멀쩡한 남자들은 16 ㅎㄹㅇㄴ 00:14:10 2,977
1747167 고단한 핵인싸의 삶.. 30 Fkgk 00:11:14 3,554
1747166 네이버쇼핑 결제 뭐가 더 유리한가요.  4 .. 00:04:52 851
1747165 워시콤보 세탁기 사용하시는 분들 5 ㅁㅁㅁ 2025/08/18 721
1747164 집에 혈압계 갖고 있으신가요? 11 이삼사 2025/08/18 942
1747163 '아무것도 아닌 사람' 김건희, 삼청동 안가를 마음대로… 9 ㅇㅇ 2025/08/18 1,733
1747162 내일 냉장고가 새로 들어오는데 몇시간동안을 비워놔야 하나요? 9 oo 2025/08/18 772
1747161 요새 그럭저럭한 한끼가격이요 8 ..... 2025/08/18 1,297
1747160 다이소 셀프앞머리펌 효과 괜찮네요ㅋ 5 똥손 2025/08/18 2,096
1747159 집에서 빵이나 과자 스스로 만드는법 배우려면 7 .. 2025/08/18 757
1747158 KT 정지폰 해지하려면 ... 2025/08/18 172
1747157 엘베 없는 빌라, 다가구는 배송비 더 내나요. 20 . . . 2025/08/18 1,750
1747156 Lovin' You 노래요 6 ... 2025/08/18 514
1747155 소비쿠폰 선불카드 관련 궁금한 점 2 소비쿠폰 2025/08/18 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