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딸 둘인 집안 부모님 돌아가시면 첫딸이 상주인가요?

... 조회수 : 8,140
작성일 : 2016-02-08 19:01:28
아래 상주 관련 글을 읽고 저도 궁금해서 여쭤봐요.  딸만 둘인 집안에서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첫째 딸이 상주하는거 맞나요?  아니면 첫째 사위가 해야 하나요?  첫째 사위가 사실 외국인이라 한국말도 못하고 장례 문화를 잘 모를 경우 첫째 딸이 해도 되는걸까요?  아니면 그래도 남자인 첫째 사위가 하는게 맞는지? 참고로 둘째 딸은 아직 미혼입니다. 
IP : 182.215.xxx.10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잘은
    '16.2.8 7:02 PM (175.126.xxx.29)

    모르는데
    어차피 요즘 장례 절차 아는사람 거의 없을걸요
    다 장례식장에서 해서
    그들이 하라는데로 하면 될듯해요

    상주는 모르겠네요

  • 2. ...
    '16.2.8 7:08 PM (39.7.xxx.250)

    상치룬지 150일 정도 지났어요.
    저희도 딸만 둘
    맏딸이 상주래요.
    사위는 이혼하면 남이라고 상주가 될수 없다네요.
    언니가 맏상주였어요.
    상조회사에서 알려줬구요.

  • 3. ..
    '16.2.8 7:15 PM (223.33.xxx.40)

    동서네 딸만 넷인데
    동서 사촌오빠가 상주 자리에 서더군요.
    영결식 등 주요 상주 노릇을 그 사촌오빠가 했어요.
    그 다음 차례 일은 맏딸이 하고요 (헌화하기 등등)

    또 다른 경우는 딸, 아들, 아들 있는 집인데
    예상외로 맏이인 딸이 상주노릇했어요.
    아들 둘 다 미국에 살며 급히 귀국했고 대부분이 딸 손님이고 돌아가실때까지 딸이 자식노릇 다 해드리고 아들들은 자기 살기 급급했어서 조사읽기, 첫헌화
    등등 상주노릇을 딸이 다 했네요.

  • 4. 딸 몇에
    '16.2.8 7:31 PM (61.79.xxx.56)

    막내 아들인데
    큰 사위가 다 하던데요.
    큰 딸이 알아서 하니 큰 사위가 이끌어서 막내 아들은 따라만 하고.
    그 집은 항상 그렇더만요.

  • 5. ....
    '16.2.8 8:32 PM (211.243.xxx.65)

    상주가ㅜ별건가요
    문상객 맞이하고, 장례절차에서 돈쓸부분이나 수의,장지같은 중요한거 결정하는 거잖아요
    맏딸이고 가까이 살던 제가 상주였어요.

  • 6. ..
    '16.2.8 8:36 PM (125.176.xxx.204)

    제 남편은 외국인인데 다 했어요 물론 문상오시는 분들이 불편해 하시더군요. 영어 때문에;; 근데 제가 옆에 항상 있어서 통역하고 하니 괜찮았어요 한국말도 해야 되는건 가르쳐서 했고 마주보며 절도 하고 다 했네요

  • 7.
    '16.2.8 8:39 PM (218.101.xxx.126)

    장례식장 입구에 이름 써져있는게 상주 아닌가요?
    자식들이랑 그 배우자이름 순서대로 주르륵 써놓던데... 그사람들이 다 상주아닌가요?

  • 8. ..
    '16.2.8 9:01 PM (114.206.xxx.173)

    상주[喪主]
    명사
    주(主)가 되는 상제(喪制). 대개 장자(長子)가 된다.

    상제 [喪制]
    [명사]
    부모나 조부모가 세상을 떠나서 거상중에 있는 사람

  • 9. 사위가
    '16.2.8 10:43 PM (218.39.xxx.35)

    하던데요?
    딸 둘이라도 번듯한 사위들이 서 있으니 보기 좋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7078 세입자가 어디까지 고쳐야 하는지? 7 난감 2016/02/11 1,468
527077 이것도 실비청구 가능한가요? 1 ... 2016/02/11 1,014
527076 식빵으로 할 수 있는 요리 뭐가 있을까요? 15 @@ 2016/02/11 2,749
527075 남편을 사랑하지 않습니다 49 슬퍼요 2016/02/11 17,920
527074 이혼소장.. 간결해야 할까요.. 최대한 자세해야 할까요..? 3 이혼소장 2016/02/11 1,439
527073 복싱 배워보신 분 있으세요? 3 냐냐 2016/02/11 1,522
527072 미국이 칼빼고 우리정부가 협조하는게 맞다면.. 8 ooo 2016/02/11 862
527071 호텔침구 어디서 사나요? 9 2016/02/11 2,412
527070 힙운동 브릿지 동작할때 3333 2016/02/11 645
527069 남편과 여행 숙소 문제로 다퉜습니다. 누구 잘못인가요? 106 아아 2016/02/11 20,686
527068 씻을 생각하면 깝깝한 분 계세요? 21 ... 2016/02/11 6,291
527067 개인이 해외에서 옷사서 dhl같은걸로 한국보내도 관세무나요?? 3 ㅇㅇ 2016/02/11 1,402
527066 서울과학기술대는 어느정도 급인가요? 13 둘째아들 2016/02/11 4,850
527065 전자렌지 소형 저렴 추천 2 렌지 2016/02/11 1,624
527064 남대문이나 명동에는 코스트코 상품권 취급하는 곳 없나요? 3 급하당 2016/02/11 1,676
527063 돈 10만원 진짜 쓸것 없네요ㅠㅠ 9 그지ㅠ 2016/02/11 3,952
527062 내일 요동칠까요? 2 주식 2016/02/11 1,739
527061 노트북 와이파이 안되는데 왜이럴까요? 1 .... 2016/02/11 618
527060 파트타임 2년 이상 근속하고 퇴직시에 퇴직금 2 파트타임 2016/02/11 1,140
527059 티비에 나오는 음식점들 말이예요.. 2 귤피차 2016/02/11 1,193
527058 대입정시 경험해 보신 분들 추합 질문입니다. 18 추합 2016/02/11 4,182
527057 참수작전 진짜로 시작될지도 모른다.. 18 ooo 2016/02/11 6,256
527056 졸업하는 조카 선물 뭐가 좋을까요? 1 조카 2016/02/11 645
527055 (김종대)사드, 당신 지역구에 먼저 배치하시라 ㅇㅇㅇ 2016/02/11 520
527054 연예인(특히 아이돌) 뜨는 건 소속사의 힘인가요? 6 .... 2016/02/11 2,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