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돋보기
알짜배기 살림정보가 가득!
부담스런 난방비 반으로 줄이자
한번 오르면 떨어질 줄 모르는 기름값, 날은 점점 추워지는데 올 겨울을 날 일이 걱정된다. 고유가 시대의 알뜰 살림을 위한 난방비 절약 아이디어. 짠돌이, 짠순이들이 즐겨 찾는 사이트에서 알짜 정보만 추렸다.
일반주택틈으로 새나가는 열을 잡아라
--------------------------------------------------------------------------------
단독주택의 경우 아파트에 비해 바람 새는 곳이 많기도 하고 외풍이 심한 편이다. 간단한 시공으로 새는 열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 창문에는 필름으로 외풍을 막는다
단독주택이나 고층 아파트의 경우 창문과 창문 틈으로 들어오는 외풍이 제법 강하다. 이때 창문 바깥쪽에 외풍을 막는 단열 필름을 바르면 차가운 외풍으로 인한 열손실을 막을 수 있다. 특히 기온에 민감한 어린아이 방에는 꼭 필요하다. 단열용 필름은 장판, 벽지 가게에서 구입할 수 있다.
▶ 실리콘으로 열이 새는 틈새를 막는다
창문 틈, 문풍지 틈새 등으로 새어나가는 열만 잡아도 난방비의 10% 이상이 절감된다. 특히 지은 지 오래된 중앙난방식 아파트나 단독주택의 경우는 군데군데 열이 새어나가는 틈새가 많다. 베란다 벽과 섀시 사이, 창문과 안테나선 사이 등의 틈새를 실리콘으로 막으면 열손실이 줄어든다.
▶ 난방기구는 창가나 문가 쪽에
난방기구를 어디에 놓느냐에 따라서도 난방 효과가 달라진다는 사실. 같은 실내라도 장소에 따라 온도차가 큰 주택에서는 보조 난방기구 역시 놓는 위치에 따라 효율이 달라진다. 창가에서 떨어진 안쪽에 난방기구를 놓으면 창가의 찬 공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상하 온도차가 커진다. 반면 창 가까이 바람이 들어오는 곳에 난방기구를 놓으면 방 전체가 골고루 데워져 효과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다.
▶ 보일러는 집 안 전체를 가동하되 밸브를 조절
난방비를 아끼느라 안 쓰는 방의 보일러 밸브를 잠가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밸브를 조절하여 한 곳만 난방을 한다고 해도 난방비는 그다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도리어 오랫동안 밸브를 잠가두면 주로 물을 밸브로 밀어 보내는 펌프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 나기 쉽다. 펌프는 보일러 부품 중에서도 비싼 편이라 고장이 나면 도리어 손해다. 집 전체의 난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다른 방은 난방하지 않고 난방이 잘 되는 방의 밸브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온수 분배가 유달리 잘 되는 방의 밸브를 적당히 잠가 흐름을 억제시키는 방법으로 집 전체의 난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집 전체를 난방하되 한 방에만 난방이 지나치게 집중되면 벽과 바닥 등에서 생기는 열손실이 커진다.
▶ 단열 시공을 한다
일반 주택의 경우 단열 시공을 하면 50% 이상 난방비를 줄이고 소음도 막을 수 있다. 단열 시공은 단열 소재로 실내의 열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공사. 집의 평수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천장과 외벽 단열에 배관공사까지 한다면 보통 1000만~2000만원대의 견적이 나온다. 단열공사가 된 만큼 집값이 오르는 이점도 있다. 준공 후 7년이 경과한 주택에 단열공사를 할 경우 은행에서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을 융자해준다. 2년 거치 3년 분할상환이며 연리는 3.5%다. 국민은행, 농협중앙회에서 직접 신청하면 된다.
--------------------------------------------------------------------------------
아파트 보조 난방으로 효율적인 열 관리
--------------------------------------------------------------------------------
중앙난방식 아파트는 집 안이 후끈할 정도로 난방이 되다가 중단하면 금세 싸늘해지는 경우가 많다. 카펫이나 러그 등으로 잔열을 오래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보조 난방용품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개별난방 아파트의 경우 난방 정도를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심야 전력을 이용한다
보조 난방기구를 사용할 때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집이라면 자칫 누진세가 적용돼 전기료가 많이 나올 수 있다. 전기료는 기본적으로 100kWh 단위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500kWh가 초과되면 누진세가 적용돼 전기료가 배로 증가한다. 전달을 기준으로 전력 사용량을 조절할 것. 그러나 심야 전력 요금은 일반 전력의 ¼밖에 되지 않는다. 전기를 이용한 대체 난방기구나 전기담요를 밤 시간에 보일러와 함께 사용한다. 잠자리에 들기 전 보일러를 끄고 전기장판을 사용하며 추위를 느낄 때는 전기로 작동되는 보조 난방기를 잠시 사용한다. 또한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아침 8시까지 온수를 만들거나 열을 저장할 수 있는 ‘심야 전기’ 보일러를 사용하면 난방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 공기오염이 덜한 보조 난방용품 사용하기
보조 난방기를 사용할 때는 에너지효율 등급이 높고 실내 공기 오염이 적은 난방용품을 고르도록 한다. 공기오염이 심한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아무래도 자주 환기를 하게 되어 실내 온도를 오래 유지하기 힘들다. 실내 공기 오염이 적은 대표적인 난방 소재는 전기. 특히 석유는 오염 정도가 크다. 연소할 때 실내 공기를 많이 소모하는 가스나 석유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자주 환기를 한다.
▶ 바닥에 카펫과 러그를 깐다
냉기가 가장 심하게 느껴지는 곳은 바닥이다. 거실 바닥에는 카펫을 깔고 현관이나 방문 앞에는 러그를 깐다. 방 안에도 얇은 이불을 하나 정도 깔아두면 보일러를 끄더라도 온도가 오래 유지된다. 카펫을 깔고 생활할 경우 같은 난방비로 2~3℃ 정도 높은 체감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 겨울용 커튼을 준비하라
열전도율이 높은 유리창. 바깥 공기가 차가워지면 유리창을 통해 빠져나가는 열 또한 만만치 않다. 창으로 인해 실내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커튼이다. 두꺼운 재질의 겨울용 커튼을 따로 준비해 실내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대비한다.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창에 블라인드나 커튼을 설치하면 35% 정도 열 손실량을 줄일 수 있다. 주택과 빌딩의 경우 아예 이중창이나 단열 창호를 시공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 방의 용도에 따라 온도를 다르게 설정한다
개별난방 아파트의 경우 방별로 보일러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방별로 온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면 쓸데없는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거실은 16~20℃, 욕실은 18~20℃, 공부방은 16~20℃, 복도는 15℃ 정도가 적절한 온도.

- [이런글 저런질문] 견과류를 이용한 손쉬.. 2009-01-17
- [줌인줌아웃] 유인촌의 양심선언 4 2009-02-11
- [줌인줌아웃] 영흥도 그것에 가면 1 2009-02-05
- [줌인줌아웃] 텅빈도시 2 2009-01-26
1. 면~
'09.1.20 11:23 AM난방비를 아끼느라 안 쓰는 방의 보일러 밸브를 잠가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밸브를 조절하여 한 곳만 난방을 한다고 해도 난방비는 그다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 이부분이 확실한건가요?
뭔가 사실이라면 배신감 + 정보의 확실성에 대한 의문.2. U-U
'09.1.20 1:31 PM심야전력에대해서 잘못 이해하신 것 같아요.
무조건 밤에 쓴다고 요금이 싼게 아니라 따로 신청/설비 하셔서 축열식으로 사용하는것 아닌가요?
밤에 전기장판 돌린다고 요금이 싸질리가요;; 전기장판이 전력소비량이 적기는 하죠..,
보일러를 끄고 전기장판을 돌리라는 건 ... 전기를 아끼고 병원비를 늘이자는 말씀 같은데요ㅋ3. 란비마마
'09.1.20 1:56 PM제가 알기로도 심야전력은, 심야전기보일러와, 온수통에만 심야전기요금이 적용되는 것으로 압니다.
일반전기는 심야와 아무 상관이 없지요.
오히려 전기를 많이 쓰는 집이라면, 전기장판을 쓰지 말고 심야전기를 이용하는 편이 싸지요. 전기사용량은 적을지 모르지만, 전기요금은 많이 차이나니까요. - 이부분은 애매한데요, 전기장판을 써서 누진세가 적용된다면, 안 쓰는 편이 낫다는 것입니다. ^^4. 시헌맘
'09.1.20 3:33 PM제가 안 쓰는 방 2개를 잠그고 사는데요.
작년에는 방 하나를 열였거든요. 난방비가 3만원(24평형입니다)이나 차이가 확 나더라구요.
저는 밸브를 잠그면 확실히 가스비가 절약되던데요.
그래서 밤이 되면 거실까지 잠그고 자고 있어요.5. 포시기
'09.1.20 5:06 PM - 삭제된댓글닫아두었던 거실밸브 반쯤 열었다가..
시헌맘님 리플 보고..
다시 닫는 저..
팔랑귀인가봐요.. --;6. Rosemary
'09.1.20 6:22 PM댓글이 없었으면 밤에 다림질 할뻔 했네요....ㅎ
7. 민트모카
'09.1.20 7:42 PM - 삭제된댓글심야전기가 싼 것은 일반 아파트가 아니라 윗님 말씀대로 심야전기를 쓰기로 따로 설비/신청한 집에 해당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리고 이제는 심야전기 생산비용이 싼 것이 아니라고 하데요. 그래서 한전에서는 요금을 올리고 싶은데 약속한것 때문에 못올리고 있다고. 혹시 신청하실분이라면 변경 가능성도 염두에 두셔야 할 듯
아무튼 일반적인 가정이라면 심야전기라고 싼 것 아닙니다.8. 행복연장
'09.1.20 7:48 PM저희는 온풍기 틀어놓고(자동으로 켰다 꺼졌다 반복) 보일러는 외출로 해놓고 있어요 집 자체가 단열이 되는것 같아요 그닥 춥지 않더라구요 12월은 도시가스 4만원대 나왔고 전기세 3만원쯤 나왔어요 전기장판도 쓰구요.
이번달은 얼마나 나올지 모르겠지만 집에서 신랑이랑 내복입고(속에 입는거 아니고 실내복으로 ㅋㅋ) 숄 하나 두르고 온풍기 틀어놓으니까 돈도 절약하면서 따뜻하게 지내고 있어요9. 고향사투리
'09.1.20 11:44 PM저도 밤에 세탁기 돌렸다가 알고보니 심야전력과 상관없더라구요.
괜한 짓 몇번 했다가 한전에 문의해보고 알았답니다.10. 가니맘
'09.1.21 2:20 PM행복연장님 쓰시는 온풍기가 어떤건가요? 그리고 많이 건조해지지는 않나요
저도 구비하고 싶은데 전기세랑 환기가 걱정이 되서 맨날 생각만 굴뚝입니다~~11. 라스트캐슬
'09.1.21 4:11 PM이번달 가스비만 12만원이 넘었어요..ㅠㅠ
12. 행복연장
'09.1.21 11:52 PM신랑이 총각때 디씨마트에서 산거예요 이거 보고 간 동생도 어디꺼냐고 물어보던데 브랜드는 따로 없는거 같아요 그리고 얘가 공기가 차면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는지라 공기가 건조하진 않아요~
옥*같은데서 온풍기 치면 나올듯^^*
얘의 장점은 또 전기세가 별로 안든다는거랍니다 ^^13. U-U
'09.1.24 5:34 PM저도 단열이 제일 중요한거 같아요.
저희집은 아파트로 치면 대략 27-8평형 정도 되는 비교적 큰사이즈 원룸인데요. 외출로만 해 놓고 살아도 평균 23도가 항상 유지돼요. 23도면 사실 하나도 안춥거든요.
12월 7일-1월 6일 한달간요금 34300원 나왔습니다. 원룸이기도 하고 공기 찬거 싫어서
저는 절대 밸브 안잠급니다.(아. 저희는 개별난방이라 밸브잠그면 덜 쓰죠.물론;;)
결국은 저희집이 단열이 되는 편인가본데...
그래도 내년에는 문풍지/차단비닐 하려고 해요..올해는 이사온 첫해라 너무 정신없어서..;;
참 그리고 온풍기요~~ 온풍기는 다 좋은데 온풍이 대류하면서 날리는 먼지 괜찮으신가요??
예전에 썼다가 먼지때문에 치웠거든요(지금도 처리못하고 베란다 구석에..ㅠ)
혹 아기가 있으시거나 하신 집은 안 쓰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14. 굿팜_일등총각고구마
'09.2.9 11:09 PM글 잘 봤습니다~~ 행복하세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추천 |
---|---|---|---|---|---|
12647 | 르쿠르제 냄비요. 31 | realolivia | 2009.01.29 | 10,233 | 24 |
12646 | 락스와 절친하기... 49 | 느리게살기 | 2009.01.29 | 13,681 | 28 |
12645 | 지안니나 크리스마스 에디션이 아직남아 횡재했어요~ 10 | ssook | 2009.01.29 | 5,763 | 21 |
12644 | 키친플라워 플래티나 통3중 6종 세일하네요.. 7 | 네오 | 2009.01.28 | 10,073 | 73 |
12643 | 500원으로 업어온 녀석들..그릇이야기 13 | 김명진 | 2009.01.28 | 11,509 | 72 |
12642 | 뒤늦은 유행따라하기-네스프레소+에어로치노 10 | 함박꽃 | 2009.01.27 | 9,274 | 43 |
12641 | 르쿠르제 통3중 웍 구입했어요 4 | min14052 | 2009.01.27 | 9,567 | 69 |
12640 | 먼지확잡아 리필청소포 구매 29 | 민들레 | 2009.01.24 | 10,898 | 67 |
12639 | 여주 프리미엄 아웃렛에 다녀왔습니다 ^^ 17 | 스트로베리 | 2009.01.24 | 14,421 | 95 |
12638 | 냄비 좀 골라주세요. 17 | 루베르 | 2009.01.23 | 9,183 | 81 |
12637 | 새식구와 함께 온 새살림~ 27 | 뮤뮤 | 2009.01.22 | 17,018 | 98 |
12636 | 자동차세도 10%할인받으세요~ 18 | 네오 | 2009.01.22 | 7,424 | 73 |
12635 | 경훈공업사에서 카스테라 나무틀 구입기 21 | 호빗 | 2009.01.22 | 11,106 | 22 |
12634 | 홍영재 토르마린 불가마 찜질기 11 | toto | 2009.01.22 | 10,075 | 95 |
12633 | 여기도 데뷰~해요~~ 저의 주방 완소 아이템 소개요. ^^ 18 | lolita | 2009.01.22 | 12,624 | 76 |
12632 | 휘슬러 냄비 14 | 쨈 | 2009.01.21 | 9,375 | 87 |
12631 | 46평 12월분 난방비 0원 ㅎㅎ 55 | 보람찬~ | 2009.01.21 | 19,633 | 120 |
12630 | 아미쿡 안양 행사하네요. 9 | eoddl | 2009.01.21 | 4,172 | 19 |
12629 | 수입상품도매하는 곳 다녀왔어요! 10 | 가을날 | 2009.01.21 | 11,755 | 24 |
12628 | 컷코칼 ~ 9 | 정리가 좋아 | 2009.01.20 | 9,917 | 33 |
12627 | 르쿠르제 업어왔어요~ 22 | 들들맘 | 2009.01.20 | 11,549 | 52 |
12626 | 프라이팬에 구울 때 기름 덜 튀게 구우면서 뒤집개 손잡이 안태우.. 12 | 고온주의 | 2009.01.20 | 8,365 | 22 |
12625 | 철제 파일함으로 자료 정리하기. 13 | 윰 | 2009.01.20 | 9,792 | 21 |
12624 | 부담스런 난방비 반으로 줄이자 13 | 늘청년 | 2009.01.20 | 15,680 | 158 |
12623 | 휘슬러 밥솥 30%로싸게구입하세요..... 8 | 조~이 | 2009.01.18 | 9,184 | 79 |
12622 | 냄새먹는 커피 11 | 포멧 | 2009.01.18 | 9,109 | 59 |
12621 | 황학동에서 가져온것들 49 | householic | 2009.01.18 | 11,718 | 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