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건 강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정보와 질문의 장

환절기 바이러스가 궁금해요..

| 조회수 : 2,240 | 추천수 : 87
작성일 : 2010-11-08 00:38:39
환절기때 조심해야 하는 바이러스 관련 기사입니다.
어린 아이들 특히, 면역성이 약한 아이들은 꼭 예방주사 챙기세요..



갑자기 쌀쌀해진 날씨, 우리 몸은 웅크러들지만 바이러스들은 본격적으로 기지개를 펴며 활동을 시작하는 때다. 아주 추운 겨울보다는 0~10℃ 사이의 요즘 같은 때가 바이러스가 활동하기 가장 좋다. 특히 이맘때쯤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감기'라고 뭉뚱그려 말하는 호흡기바이러스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또 일교차가 커지면서 우리 몸이 이에 적응하지 못한 채 바이러스 방어막을 미처 만들기 전이라 더욱 위험하다. 바이러스성 질환은 전염성이 강하고, 일단 발병하면 면역력을 떨어뜨리며 더 치명적인 병으로 발전시킬 위험이 높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초겨울인 이맘때는 어떤 호흡기바이러스가 우리 호흡기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일까.

▶호흡기 바이러스 활개치는 계절 도래

다 같은 감기로 보여도 다 같지 않은 것이 호흡기질환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 8가지 중 절반 이상인 다섯 가지 바이러스(아데노, 엔테로 , 라이노, RS, 코로나)가 이 시기에 활동력이 특히 강하다.

이중 아데노바이러스는 연중 유행하다 10월에 강한 활동을 시작해 11월부터 1,2월까지 활동성을 이어간다. 라이노바이러스는 연중 30% 이상의 검출율을 보이며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주 원인 바이러스임을 확인시켜주고 있다.이 또한 3~4월과 함께 10~11월경 활동력이 강하다.

RS바이러스는 9월부터 활동을 시작해 10월~12월 사이에 활동이 정점을 찍는다. 엔테로바이러스는 10월경에 높은 활동력을 보였다. 코로나 바이러스 역시 11월부터 1월 사이에 활동력이 강하다. 아데노바이러스는 목감기 위주의 급성호흡기질환을, 엔테로바이러스는 수족구병이나 뇌염을, 라이노바이러스는 감기나 천식을, RS바이러스는 모세기관지염 등을 일으킨다. 보카바이러스는 주로 아이들의 기침, 목감기를 일으키며, 코로나바이러스는 몇 해 전 SARS로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김미영 교수는 "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 질환들은 이를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가 매우 드물어 치료제 자체가 없다고 볼 수 있을 정도"라며 "평소에 바이러스 공격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을 이겨낼 수 있는 건강하고 면역력 높은 몸을 만들어야 2차 세균 감염 등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면역력 높이는 7대 생활습관

매해 신종, 변종 바이러스들이 출몰하고, 점점 그 주기도 짧아지고 있다. 이럴 땐 평소 자신에게 맞는 생활패턴을 꾸준하게 유지해 어떤 바이러스도 이겨낼 수 있는 몸을 만들어 주는 것이 최상책이다. 면역력을 키울 수 있는 7가지 습관을 살펴보자.

1.리듬을 지킨다. 요즘처럼 기온이 자주 변하는 시기엔 생활의 리듬을 깨뜨리는 불규칙한 생활은 면역력을 떨어뜨려 크고 작은 질병에 시달리게 하는 원인이다. 또 평소에 앓고 있던 병을 더 심하게 만든다. 평소 8시간 정도의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규칙적으로 자고 일어나는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반대로 면역력이 증강된다. 특히 수면패턴이 중요한데, 저녁 11시부터 새벽 3시까지는 가장 깊은 잠을 자는 시간이므로 반드시 잠자리에 드는 것이 좋다. 면역력을 강화하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2.술을 줄인다.급격하게 추워지는 날씨에 귀가 길에 술을 찾는 사람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하지만 술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자체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혈청의 항균작용도 약해지고 세포매개성 면역작용이나 백혈구의 역할에도 영향을 미쳐 세균을 빨리 제거하지 못하게 한다. 술을 어느 정도 마시면 면역력이 떨어지는지는 알려진 바 없지만 만성적으로 자주 과음을 하는 경우 백혈구 수 자체가 감소되기도 한다. 또, 감기나 독감, 중이염, 축농증 등의 흔한 감염이 있을 때에도 술을 마시면 회복이 늦고 심한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3. 손을 잘 씻는다. 평소 영양제나 비타민 등의 섭취보다 면역력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위생 관리에 대해 점검을 해보자. 면역력 강화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손씻기다. 손만 제대로 씻어도 감염질환의 60% 정도는 예방된다.

4. 스트레스를 다스린다. 현대 사회의 심리사회적 갈등에서 생기는 스트레스를 줄이려면 억지로라도 자주 웃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도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한 방법. 스트레스가 우울증,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과적 질환의 중요한 원인임은 잘 알려져 있고, 그 밖에 심혈관계 질환, 감염성 질환, 암, 자가면역질환과의 광범위한 연관성이 보고 돼 있다.

5. 담배를 줄이자. 흡연은 몸에 스트레스를 주는 대표적인 인자이므로 스트레스를 줄이고 면역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금연하는 생활습관이 필요하다.

6. 햇볕을 가까이. 햇볕이 우리 몸에서 비타민D를 합성시키는데 이 물질이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사무실에 있지만 말고 밖에서 1시간 정도는 햇볕은 쬐는 것이 좋다.

7.가벼운 운동과 스트레칭을 한다. 스트레칭은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가벼운 운동은 깊은 호흡과 긴장 이완을 통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자율신경의 하나인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키게 되고, 부교감 신경은 면역계를 자극한다. 또한 운동은 면역 세포와 림프액의 흐름을 활발하게 한다.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병원균의 침입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백혈구 숫자가 증가한다. 10분 정도 걷기나 계단 오르기 정도도 운동이 될 수 있다. 물론 출, 퇴근을 위해 걷는 시간도 운동량에 포함시킬 수 있으나 가능하면 그 외의 시간에 편안한 마음으로 운동에 집중해서 걸을 수 있는 시간이 있다면 마음의 여유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김미영 교수는 "하루 1,2회 햇볕을 쬐면서 10~20분 정도 편안한 마음으로 걸을 수 있다면 신체적인 건강 뿐 아니라 심리적인 스트레스도 줄이고 면역력도 늘릴 수 있을 것"이라며 "단 갑작스럽게 심한 운동을 하면 오히려 면역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회원정보가 없습니다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철리향
    '10.11.9 10:48 PM

    면역력이란것이 참 중요합니다.
    매일 매일 여유 있는 힘이 몸에 감돌때 바이러스병도 문제가 안되는듯 싶습니다.
    감기나 기타 질병들이 잘 걸리지 않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6196 치과,정형외과 추천부탁드립니다 1 mirror 2024.04.24 669 0
6195 수면장애, 불면증 치료에 좋은 멜라토닌 영양제 햄이야 2024.03.19 2,260 0
6194 부산에 대장내시경 잘하는 곳 있나요? 너무슬퍼요 2023.12.26 1,727 0
6193 임플란트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좋은가요 향연 2023.02.03 1,299 0
6192 혹시 이게 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1 자신감 2022.12.24 1,920 0
6191 이거 먹고 2달만에 어깨통증 잡았네요 1 철리향 2022.11.01 3,097 0
6190 unknown rash 3 gukja 2022.04.15 8,075 0
6189 헬리코박터균 치료시 음식 요리저리 2022.02.25 9,736 0
6188 헬리코박터균 치료시 음식 요리저리 2022.02.13 8,695 0
6187 잇몸염증에 대한 팁입니다 1 알라뷰 2022.02.02 10,325 0
6186 요즘 영양제는 신기하네요 나약꼬리 2021.12.03 9,608 0
6185 유산균 1 아줌마 2021.06.22 9,200 0
6184 순수 국산콩 낫도 만드는 토종기업 1 러키 2021.05.11 9,415 0
6183 '파스 제대로 붙이는 법'....... 7 fabric 2020.08.25 12,810 0
6182 아이 출산 후 치통 생겼어요 따흐흑 ㅠ 이지에이 2020.06.25 9,504 0
6181 마누카꿀 umf25 의 의미는? 철리향 2019.10.28 11,570 0
6180 꿀을 먹어오면서 몸의 변화 (혐오) 1 철리향 2019.10.23 15,909 0
6179 오레가노 오일 하얀민들레 2019.09.16 10,159 0
6178 노니제품 추천 김동연 2019.09.15 10,040 0
6177 머리 혹 윤쌤 2019.02.28 15,247 0
6176 저렴한값으로 아파트에 설치한 황토방 지미 2019.02.23 14,316 0
6175 50대에게.... 숲과산야초 2018.11.28 15,304 0
6174 슈퍼박테리아 잡는 강력한 항생제, ''꿀'' 철리향 2018.11.13 13,069 1
6173 DHEA 영양제 어떤지 봐주실분 ~ azummi 2018.09.15 11,066 0
6172 요양병원 추천부탁합니다. 플로리시 2018.05.08 11,826 0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