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도토리묵쑤기 도전에 앞서서~

| 조회수 : 1,047 | 추천수 : 4
작성일 : 2003-06-25 23:03:57
첨 글 올립니다.^^

사실 요즘들어 요리할 의욕도 잃고 입맛도 잃고..이런 상태였는데
여기 가입하고 들어와서 이런 저런 글들을 읽어보니까
이것도 해먹고 싶고 저것도 해먹고 싶고..
입안에서 군침이 막 돌고 그러네요.

우선 전에 유기농 싸이트에서 구입해놓고
엄두를 못내고 있었던 도토리가루를 꺼내서 물에 담궈놓고 이글을 씁니다.
구입한 가루 봉지에는 1대 7이라고 나오는데
김혜경선생님은 1대 5로 하셧네요.
윗물 따라내는 작업에 대한 이야기도 없고 다짜고짜 1대 7로 물에 타서 저으며 끓이라는데
그 사이트 사용후기보니까 1대 7로했다고 했다는 사람도 있고..
일단 1대 5로 담그긴 했는데 비율이 너무 틀리니까 걱정이되네요.
혹시 제품(?) -그러니까 가루의 입자나 그런 차이로 생긴 차이일까요?
그냥 두판 잡고 두냄비에 각기 다른 비율로 해볼가요? ^^::

양념장 레시피는 못 찾겠던데 무침 양념 비법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어려서 오색약수터에 간적이 있어요.
차멀미 끝에 내려서 먹은 그 산뜻한 묵무침 맛을 여태 다시 볼수는 없었답니다.
후각이 오래 남는다지만 사연을 동반한 미각도 못지않게 오래 남는것같아요.^^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김혜경
    '03.6.25 11:10 PM

    겨울에는 물을 좀 넉넉히 잡아도 되구요, 여름에는 한컵 정도 적게 잡으라고 하죠.
    윗물 따라내는 건 도토리의 떫은 맛을 없애려고 어르신들이 하는 방법이에요.

    봉지에 써있는대로 1:7로 잡아보시구요, 지금 담가서, 낼 아침 윗 물 따라내고, 똑같은 양의 물 보충해서 몇시간 더 뒀다가 쒀보세요. 이런 과정을 하다보면 오늘 시작해야 모레쯤 먹게 되는 게 도토리묵이랍니다.

    양념장은요, 저보다도 꽃게님이나 자스민님 빈수레님이 더 잘 알 것 같은데....

  • 2. 꽃게
    '03.6.26 9:19 AM

    아무리 가루 잘 낸 것도 1대7은 좀 묽은 편이예요.
    취향에 따라 다르지만 좀 쫀득거리게 드시고 싶으면 1대5 하시고 연하고 야들야들하게 드시고 싶으면 1대6 잡으세요.

    그리고 묵을 쑤면서 주전자에 따로 물을 조금 끓이세요.
    혹시 너무 된 것 같으면 주전자의 끓는 물을 조금 섞어주면 고치기 쉬워요.
    퍽퍽 끓기 시작하면 불 줄이고 저으세요. 오래 끓여야 맛이 좋아지거든요.
    그리고 불 끄고 뚜껑 덮어서 충분히 뜸 들이고, 마지막으로 불켜서 센불에 몇번 저으면서 수분 날려버리고 그릇에 부으세요.

    양념장은 저는 간장에 갖은 양념해서 먹기직전에 부어서 먹어요.다른 야채 섞어서 무치면 묵이 습기 먹어서 덜 쫀득거린다고 싫어해요. 식구들이 ....

  • 3. 진쥬
    '03.6.26 10:01 AM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아침에 확인하면서 빙글빙글 웃음이 났어요.
    왜냐구요? 좋아서요..ㅎㅎ
    제가 11시 4분에 글을 올렸는데 11시 10분에 답글이 올라와 있더라구요.
    꽃게님이랑 김혜경 선생님 답글을 종합해보니
    일단 일대 5로 잡고 물을 끓이다가 약간 조절하는 편이 좋겠어요.
    저도 쫀득 쫀득이 좋거든요.
    어제 물 잡아서 하룻 밤 묵혔으니 이다가 오후에 시도해서 잘 되면 친구불러다가 좀 나눠주고
    그래야겠어요.감사합니다.(잘 안되면 혼자 몰래 먹고요..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920 [re] 열무 김치 담궜는데.. 무지 짜요... 50 박정화 2003.06.26 797 9
1919 돼지고기 남은것 활용 어떻게할까요? 50 에스닉 2003.06.25 2,290 8
1918 도토리묵쑤기 도전에 앞서서~ 50 진쥬 2003.06.25 1,047 4
1917 neo-fish요~ 50 나혜경 2003.06.25 1,039 19
1916 닭튀김이 잘 안되네요... 50 정지문 2003.06.25 1,173 2
1915 프로슈토에 관하여 50 kaketz 2003.06.25 2,792 23
1914 [re] 감자 맛있게 삶는 법?... 50 박영숙 2003.06.26 1,177 19
1913 감자 맛있게 삶는 법?... 50 박영숙 2003.06.25 2,352 8
1912 불고기에 오이 넣어 보신분 50 용팬 2003.06.25 1,076 10
1911 포장된 제품인 베이컨 대신 정육점에서 파는 삼겹살 써도 되나요?.. 50 ㅡ.- 2003.06.25 1,294 7
1910 간장에 대한 궁금증 50 흑진주 2003.06.25 790 14
1909 생태찌개 맛나게 끓이려면~ 50 데이지 2003.06.25 1,055 2
1908 맵지 않은 양파 고르는 법 알려 주세요. 50 윤광미 2003.06.25 1,312 9
1907 양상추 어떻게 보관하세요? 50 김정희 2003.06.24 2,494 5
1906 맞있는 음식있으신분 덜 저줌가르쳐주세요^^* 50 박진희 2003.06.24 1,503 7
1905 감자보관에 관계된 질문이여.. 50 이영아 2003.06.24 1,564 7
1904 친구초대.. 50 정효정 2003.06.24 1,208 6
1903 쇠고기찹쌀구이 실패했어요.... 50 전미순 2003.06.24 1,451 4
1902 말린홍고추 어디서 사야해요??? 50 마샘이 2003.06.24 1,107 6
1901 인삼주속 인삼은 어떻게? 50 서호맘 2003.06.24 3,982 6
1900 혜경샘~초밥만드는법좀갈켜주세요 50 김지원 2003.06.24 950 16
1899 겉절이 맛나게 하는법 알려주세요~~!@ 50 조명란 2003.06.23 1,799 8
1898 매실절임은 언제까지 놔둬야하는지 헷갈려요. 50 김지원 2003.06.23 751 1
1897 비빔냉면 양념 맛있게 만드는 법 좀 알려 주셔요. 50 윤광미 2003.06.23 4,859 46
1896 시어머니 생신상차림 50 이현숙 2003.06.23 2,00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