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좋은 돼지고기 고르는 요령

| 조회수 : 2,480 | 추천수 : 149
작성일 : 2006-03-10 22:25:54
돼지는 스트레스에 상당히 민감한 동물입니다.
그래서 도축과정이나 수송과정에서 스트레스에 의한 품질저하가 굉장히 심각합니다.

(하긴 돼지가 처음 차를 타고 도로를 달리니 얼마나 놀라겠습니까?
만약 사람도 20살이 되어서 처음 차를 타면 멀미나고 난리 날텐데...)

스트레스를 받으면 어찌 되지요?
얼굴이 창백해 지지요?
얼굴뿐만이 아닙니다. 사지가 떨리고 온몸이 창백해 집니다.

학자들은 말하길 몸에 젖산(피로물질)이 쌓여서 그렇답니다.
몸에 산이 많아져서 신내가 나게 되는 것입니다.(PH 5도 이하로....)

돼지가 이런 상태에서 도축되면?
그 고기는 이렇게 됩니다.



이런 고기를 'PSE육 돼지고기'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는 이런 돼지가 10마리중 3마리(약 30%) 정도 나온다고 합니다.

주로 등심, 안심, 목심등에 발생하고, 삼겹에는 조금 나은 편이죠...

그래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삼겹을 맛있어 하는 걸까요????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PSE육인 등심을 먹으면 맛이 어떨까요?
그야 말로 퍽퍽하고, 신내가 납니다.

가끔 이런 고기로 만든 '돈가스'를 볼때면 전 정말 ~~~~
이렇게 외치고 싶습니다.
"스트레스 안받은 고품질 돼지고기 만들어 주세요~~~~~"

그렇다면 PSE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한차에 적정 두수를 탑재후 수송 해야 합니다.
- 돼지가 도축장에 오면 2시간 이상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물도 먹고, 때론 잠도 자게...)
- 돼지를 전살실로 몰기 위해 심하게 구타하지 말아야 합니다.
- 도축장 온도는 20도 이하(제생각..)가 되어야 합니다.
  (여름철에는 냉장고 입고가 되기전에 벌써 고기가 하얗게 뜨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 도축후 최단시간안에 냉장고에 입고(5분이내..) 되어야 합니다.
- 냉장고안에서 냉기가 잘 들어가도록 도체간격을 5cm이상 떨어뜨려 놓아야 합니다.

제가 너무 전문적인 이야기를 했나요?

그런데 돼지는 사실 소와는 다릅니다.
이렇게 작업과정에서 고기 품질이 심하게 저하 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특별관리를 해 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HACCP(위생관리) 때문에 너무 바쁩니다.
그게 안정이 되어야 QM(품질관리)을 제대로 할 수 있다나요?

그런데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QM을 동시에 해야 합니다. 그래야 작업장(도축장)시설을 한꺼번에 고치죠....
HACCP한다고 시설 고치고, QM한다고 시설 또 고치면 도축장 사장은???

우리나라에 축산물등급판정소가 있습니다.
도축장마다 판정사가 있는데 그들이 QM을 담당토록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야기가 딴곳으로 빠졌군요!

그래서 저는식육점에서 돼지고기를 고르는 요령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돼지고기 육색을 보고 고르라고 강력히 추천합니다!!!!!!

또한, 돼지고기의 육질등급이 있는지도 알아보고요...
(당연히 1등급에는 위 사진과 같은 PSE육은 없습니다.)

우리나라 돼지는 냉도체 육질등급판정 받는 비율이 5%도 안됩니다.
왜냐하면 냉도체 육질등급판정은 자율제이기 때문에 육가공회사 등이 요청하지 않으면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소비자를 생각하는 일부 육가공회사 등만이 이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아셔야 좋은 고기를 먹을 수 있다는 결론입니다.

여기 고기에 대하여 좋은 정보를 알려주는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참고로 한번쯤 들러 보세요...



축산물등급판정소 홈페이지(여기를 눌러주세요...)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미소천사
    '06.3.10 11:28 PM

    지금껏 목살을 애용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곳이라고하니
    갑자기 저의 무지가 탄로난것 같아 괴롭습니다. 옛 어른들 말씀대로 보기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라는 말이
    있지요. 딱 그말이 정답인것 같습니다.

  • 2. 진정
    '06.3.11 1:15 AM

    갑자기 돼지가 불쌍해지네요.. T.T

  • 3. 코알라3
    '06.3.13 1:53 AM

    애고~
    그래도 먹어야겠죠?
    아니
    까~맣게 잊고 먹겠죠...

  • 4. 리젠시빌
    '06.3.14 1:22 PM

    하하. 그렇군요

  • 5. 김공주
    '06.3.30 10:38 AM

    이런정보가 있다니 정말 놀랍습니다
    고기도 다같은 고기가 아니란걸 알고나니 이정보가 더욱 더 고맙게 느껴지는군요
    고기에도 등급이 있으니 필히 등급을 알고 고기를 먹어여 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4017 국화차 이름 아세요? 5 쩡이사랑 2006.03.12 864 3
24016 고명으로 얹는 김의 종류 2 cure 2006.03.12 939 1
24015 홍차 어디서들 사시나요? 2 프로기 2006.03.12 1,209 6
24014 오븐 초보 사용자인데요 2 후박나무 2006.03.12 834 11
24013 실리콘 주걱은 빵만들때만 쓰는건가요? 10 e뿌e모 2006.03.12 1,357 0
24012 코스트코에서 파는 사과주스..제품 이름이 뭔지요..? 2 이뿌징^^ 2006.03.12 1,805 0
24011 갈비 재우는데 핏물을 안뺐어요.괜찮을까요??? 1 생생 2006.03.11 1,608 8
24010 계량컵이요 4 돌돌맘 2006.03.11 819 1
24009 장어구이 양념 맛있게 하는 법? 1 클라우디아 2006.03.11 3,020 6
24008 코스트코 양평점에요 3 맘이아름다운여인 2006.03.11 1,286 0
24007 재래식고추장 어디서 사드세요? 49 김용은 2006.03.11 1,462 0
24006 코스코에서 산 프레고 파스타소스 4 최순천 2006.03.11 1,652 6
24005 조리기구 파는 곳 2 지호맘 2006.03.11 1,174 3
24004 이스트의 양 그램수 말고 계량 스푼으로는? 2 정시연 2006.03.11 2,972 0
24003 티라미수 만들 때 쓰는 사보이디아르라는 과자, 어디서 파나요? 3 valentine 2006.03.11 1,190 3
24002 구역예배때 먹을점심? 14 주훈맘 2006.03.11 7,290 4
24001 떡을 배우고 싶은데요.. 1 최문기 2006.03.11 1,045 32
24000 "갱친다"는 말의 뜻은? 2 dase 2006.03.11 1,164 3
23999 꿀..궁금합니다. 8 햇살 2006.03.11 2,437 18
23998 좋은 돼지고기 고르는 요령 5 뽀드득~ 2006.03.10 2,480 149
23997 콩장 맛있게 하는 방법이요? 1 안젤라 2006.03.10 5,931 9
23996 멸치와 연두부는 궁합이 맞나요 1 인디안 사랑 2006.03.10 1,262 4
23995 스테이크요 테팔 그릴에 구워도 되나요??? 2 아직은초보 2006.03.10 1,377 16
23994 선물받은 왕새우 어떻게 요리할지 난감 - -;; 6 normal 2006.03.10 3,048 57
23993 아귀찜에 어울릴 사이드메뉴는 뭘까요? 3 와사비 2006.03.10 94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