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된장찌게라면...

| 조회수 : 2,290 | 추천수 : 8
작성일 : 2003-08-09 18:08:12
제가 신혼때 하도 반찬을 못해서 광화문에 있는 마...선생님 요리 교실에 한 열흘쯤 다녔는데
된장찌게는 우선 된장이 너무 짜지 않아야한다는 전제로 시작했습니다.
채소(감자, 양파)를 잘게 썰어서 냄비에 넣고 된장을 넣고
참기름 조금 넣고 달달 볶습니다. 타지 않게...
그다음에 뜨물을 붓는데 제 양을 한번에 붓는 것이 아니고 조금씩 늘려줍니다.
(불 옆에 계속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그 다음 왠만큼 다 끓으면 풋고추와 굴 몇개를 섞어 다집니다.
끓고 있는 된장 찌개에 풋고추와 굴 다짐과 두부를 넣고 마늘 파를 넣습니다.
풋고추와 굴은 넣으면 좋지만 일단 번거롭다 싶으면 풋고추만 송송....
저도 그 이후에는 이 교과서대로 하지 않아서...
그때 맛은 기막히게 좋았던 기억.
제 생각엔 참기름에 볶는 것과 뜨물은 서서히 늘리는 것이 주효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김혜경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3-08-09 19:53)
회원정보가 없습니다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태현모
    '03.8.9 8:41 PM

    노파심...타지 않게 볶는다는데 오해가 있을 수 있는데 첨부터 뜨물을 조금씩 넣는 다는 말쌈~

  • 2. 아이비
    '03.8.9 9:14 PM

    전 콩나물국도 요리책보고 끓였던 실력이라 이런 말씀드리기는 좀 그렇지만
    된장을 처음부터 넣으면 발효된 균들이 몽땅 죽지 않을까요?
    전 거의 다 끓었을때 넣거든요.

  • 3. 마마
    '03.8.10 12:31 AM

    히^~^,
    전 된장넣고 어찌 어찌 끓이는 "라면"이 줄 알았어요.

  • 4. 태현모
    '03.8.10 11:13 PM

    글쎄..일설로는 미소된장(일본 된장)은 다됐을 때 슬쩍 끓어야 되고
    우리 된장은 오래 끓어야 맛있다는데 발효균 까지는 걔네들한테 안물어봐서......
    그래서 일본 수사님이 한국에 와서 일본식으로 끓여서 오래동안 맛이 없었음을 아셨다는
    풍문이 돌았었습니다.

  • 5. plumtea
    '03.8.11 10:09 AM

    우리 나라 된장은 저도 유산균 이런 건 모르겠지만 오래 안 끓이면 맛이 제대로 안 나던걸요. 이름하야 깊은 맛~

  • 6. 능소화
    '03.8.11 10:27 AM

    우리된장은 푹~~~~~~~~~~~~~~
    미소는 살짝,

  • 7. 오영주
    '03.8.11 11:03 AM

    저도 신혼초엔 물 다 끓을때 넣었는데 우리 신랑 맛이 이상하다고 안 먹대요.친구왈 된장은 찬물부터 넣어서 아주 오래 끊여야 맛이 맛이 난다고 하더라구요.저는 모든 요리에 건강 생각한다고 다시다도 안넣고 하지 말라고... 조미료도 조금씩 넣어줘야 한다고.전 요리도 못하면서 조미료 안넣고 싱겁게 먹었거든요. 요즘은 간을 세게 합니다.그래야 맛이 나더라구요.양념 팍팍...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109 된장찌게라면... 7 태현모 2003.08.09 2,290 8
1108 [re] 빨간자몽님...... 빨간자몽 2003.08.14 2,239 264
1107 빨간자몽님...... 카페라떼 2003.08.09 2,075 108
1106 [re] 이렇게 생겼음 ㅋㅋ 11 냠냠주부 2003.08.09 2,944 28
1105 한 여름의 상추샤브샤브 19 냠냠주부 2003.08.09 5,595 11
1104 맛간장으로 만드는 초스피드 멸치볶음 3 jasminmagic 2003.08.09 3,963 19
1103 저칼로리 마요네즈 사라 2003.08.09 2,522 28
1102 배고픈하숙생의.. 남은반찬활용 김밥성공기 ㅠ_ㅠ; 5 이즈 2003.08.08 3,206 25
1101 울신랑과 고등어조림이 만나면~~~ 13 복사꽃 2003.08.07 4,237 11
1100 [re]moon님! 3 이경숙 2003.08.08 2,213 24
1099 패밀리레스토랑 메뉴 흉내내기 6 moon 2003.08.07 7,997 31
1098 멸치 고추장 찍어먹기. 12 경빈마마 2003.08.07 3,859 11
1097 맛있는 콩국수집들 5 퉁퉁이 2003.08.07 3,531 18
1096 초간단 미트 스파게티 홍랑 2003.08.07 2,194 26
1095 시엄니와 아들녀석을 위한 해물 칼국수 5 김선영 2003.08.07 2,231 11
1094 담백한 저칼로리 영양식 <우무 콩냉국> 4 복사꽃 2003.08.07 2,306 42
1093 [re] 엄청 간단 까~르~보나라 스파게티 tist 2003.08.07 1,986 31
1092 엄청 간단 까~르~보나라 스파게티 2 쿠키 2003.08.07 3,698 19
1091 고추장 스파케티 1 Tong 2003.08.07 2,170 50
1090 변형된 제주식 냉국 1 장민지 2003.08.07 2,153 61
1089 불타는 속을 식혀주마..iced tomato.. 19 냠냠주부 2003.08.06 3,109 15
1088 검은 식품의 효능 4 경빈마마 2003.08.06 2,382 19
1087 닭꼬치와 김치볶음밥과 감자그라탕과 샐러드~ 10 러브체인 2003.08.06 4,980 19
1086 스콘은 따끈한게 제일이죠. 그래서........ 빨간자몽 2003.08.07 1,909 73
1085 비오는날 아침에 빵굽는 냄새...... 6 빨간자몽 2003.08.06 2,925 29
1084 쟈스민님" 양장피"~ 레시피를 못찾겠어요.... 4 아롱이 2003.08.06 3,394 32
1083 비오는날.. 4 요리꾼 2003.08.06 1,864 70
1082 계란피 주먹밥- 남편에게 시키기 4 김성연 2003.08.06 3,43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