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저축은행에 예금계좌 꼭 지점에 직접가야 예치가능한가요
곧 만기되는 예금이 약 3천만원 있는데요.. 안전한 저축은행에 예치하려고 합니다.
제가 사는 곳은 아침 신문에 부도난 저축은행이 제일 큰 곳이라, 안정성 높은 몇군데 토**, 진*, 프**, 민* 중 하나 선택할까하는데요.
모두 서울에 지점및 본점이 있던데 예치 하려면 당연히 서울 본점에 가서 계좌오픈하는게 맞겠지요? 저축은행 가서 계좌를 열고난후, 현재 거래은행에서 만기될 3천만원정도를 신규오픈한 저축은행쪽으로 전산 송금하는 방식으로 하는지요.
예금을 두개은행에 분산해 놓는게 좋을지 3천만정도는 그냥 한곳에 묶어놔도 될지요.
자게님들 같으면 3천만원을 어떻게 굴리시겠나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1. .
'11.2.17 3:40 PM (112.168.xxx.216)일단 첫 거래시면 직접 은행에 내방하셔야 해요.
가서 통장으로 예금을 바로 개설하시거나 아니면 인터넷뱅킹 신청하시고
집에 오셔서 인터넷뱅킹으로 예금 하시는 방법도 있어요.
어찌됐던 한번은 직접 가셔서 업무를 하셔야 한다는 거고요.
인뱅으로 하면 편하죠.
인터넷으로 개설하고 만기때도 인터넷으로 처리하면 되니까요.
저 같음 그냥 3천 하나로 묶어요. 5천이 넘어가는 금액도 아니니까요.2. .
'11.2.17 3:43 PM (119.203.xxx.166)서울이 가깝다면
안전한 저축은행을 검색해 보시고
두세개 저축은행에 인터넷뱅킹 신청해서 계좌 만들어 놓으세요.
삼성동쪽에 저축은행이 많이 몰려 있어서
그쪽 방문하시면 좋을테고
저라면 한 은행에
1500, 1500 아님 2000, 1000이렇게 두개 계좌 여는건 괜찮은것 같아요.
저축은행에 가서 보통예금 계좌 열고
타은행 돈을 저축은행 보통예금 계좌로 인터넷으로 입금하고
인터넷뱅킹으로 예금 든 방식을 추천합니다.
만기 되어 다시 방문 안하고 집에서
인터넷으로하면 되니까요.
금리가 변동하니 1년후 계좌 열어둔 저축은행중 더 금리 높은곳으로
인터넷뱅킹으로 하면 방문 안해도 되니까 개설해 놓으시라는거예요.3. 굿~~~
'11.2.17 3:54 PM (59.7.xxx.134)윗님 감사해효. 그리해야 겠네요. 전 원글이는 아니지만....
4. 말나온김에
'11.2.17 3:55 PM (221.158.xxx.48)아 답글 모두 감사드립니다.. 일단 직접 내방, 인뱅신청, 두개은행 분산예치 정도로 하면 되겠군요. 근데 프라*저축은행 금리가 제일 높은데 괜찮을까요? 여기서보니 진흥, 민국, 토마스 많이 하시든데요.
5. 음..
'11.2.17 4:14 PM (1.226.xxx.44)일단 금액이 이자를 합산해도 5천이 안되므로, 한꺼번에 예치하셔도 상관없을 것 같아요.
소액을 굳이 쪼갤 이유가 없죠(건전성을 보고 예치한다고 하셨으니까)
복리와 단리 중 고르면 되는데, 복리로 했을 경우 쪼개지 않는 것이 이율이 높다고 알고 있어요.6. ..
'11.2.17 5:22 PM (175.112.xxx.200)제가 알기론 님 생각하시는 저축은행 중 프라* 빼시는 게 좋을 듯 해요.
그리고 저축은행부실 많이 걱정되시면 1500씩 나눠 넣으시면 가지급금이 1500까지는 바로 지급되니까 혹시 부도나도 편하실 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