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난 이제 무자료 현금 거래만 할까보다 !!

ㅠ.ㅠ 조회수 : 1,556
작성일 : 2011-02-09 17:32:45
나 그동안... 착실하게 짜잘한거 살 때도,

현금영수증 다 받고, 신용카드 거래하고,

그렇게 살아왔다..

이번 연말정산 하면서 느낀건...

전혀 그럴 필요가 없었더란거다..



작년 한해,

수입 3500 만원 정도...

지출.. 카드 2300 만원...

현금영수증 2000 만원...

직불카드 100 만원...



꼬박 꼬박 세금 다 내며 카드로 결재하면, 물건값이 한참 올라가더라도,

그게 나라를 위하고, 나를 위하는 길인 줄 알았다.



왠걸.. 카드, 직불카드, 현금영수증 다 합쳐서 한도가 연봉의 25% 초과 사용액의 20%...

와... 300 만원중 작은 금액..



결론은 300 만원이 한도 였던거다..



3500 만원의 25% = 875 만원..

4400 만원 - 875만원 = 3525 만원

3525 만원의 20% = 705 만원..



705만원 > 300 만원...



소등공제 가능 금액이 705만원 였는데... 한도가 300 만원 인거다....

결국 인적공제 2명이면 300 만원인데....



1년 동안 4400 만원을 써도, 인적공제 두 명 한 것밖에 안 된다....

의료비도... 연봉의 3% 초과 사용액에서 연봉의 3%를 제외한 금액만 소득공제....



이런 어처구니 없는 나라같으니라고...



꼬박꼬박 세금 다 내면서 물건 구매하고 한건데... 이따구다...



용산에서 컴퓨터를 사면..



무자료로 구매하면 10~13% 금액이 낮아진다..



카드 수수료 + 부가세 10% 금액을 모두 빼 주고 물건을 살 수 있다.



사실, 4400 만원을 용산에서 컴퓨터 산 거라고 생각하면



1년에 400 만원 이상의 돈이 절약이 된다.



그런데, 소득공제 300 만원을 하고.....



이래 저래 계산 다 해보면,



300만원을 돌려주는게 아니라...



연봉에서, 이런 저런 항목 다 빼고,



그중 카드 사용액에 대한 소등공제금액 300 만원을 때리고...



남은 돈에 대해 과세 표준을 적용하고 해서,



해 보니, 올해 80 만원 정도 돌려받는게 전부이다...



그럼... 그 80 만원중...



카드값이 한 역할을... 10~15 만원 정도 밖에 안 된다..



교육비, 인적공제, 보험료, 등등에서 공제금액 빠진게 훨씬 많다.



1년동안, 무자료 거래 했을 때, 400 만원 세이브가 되는 것을..

세금 다 내면서 비싸게 산 결과, 나라에서 돌려주는건 10~15 만원이 되는거다....



앞으로는 정찰제 하는거 제외하고,

비싼 금액 주고 사는 것들은, 무자료 거래 할 수 있는거면 다 무자료 할거다..



오늘도, 종로에서 커플링을 알아봤다...



2.7돈... 14k 반지... 대략 40 만원 정도 였다....

카드요!! 하니까 48 만원 달랜다....



커플링 한 번만 맞춰도 1년에 카드 4000 만원 써서 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 금액을 거의 따라잡는다....



이런... 우라질네이션..!!





나.. 이제부터...!!



무자료 거래만 할거다...!!



세금... 꼬박꼬박 나라에 내는... 미련한??짓... 안 할란다....



-_-;;;;


IP : 203.250.xxx.22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2.9 5:48 PM (125.137.xxx.251)

    연말정산시즌이죠....쬐끄만 중소기업인데...작년연말정산과 똑같은 연봉에 비슷한 공제신청을하여도...추징나오는분도 있습니다..ㅠ.ㅠ 겁나요 벌써..엄청들 문의할텐데...

    카드..보험..다필요없고...
    교육비랑..인적공제...연금저축..기부금...요게 젤 크지요...근데..별로 해당되는건없고..

    울회사는 추징이 많아서..걱정이네요.....

  • 2. 미르
    '11.2.9 5:51 PM (121.162.xxx.111)

    님 흥분하지 마시고...

    원래 신용카드공제가 자영업자의 세원 양성화 기능을 강화하려고
    조세특례법으로 한시적으로 만든 제도입니다.

    따라서 원글님의 환급세액(80만원)의 대부분이
    신용카드 공제 300만원 때문에 얻은 걸로 보아야 되는 거죠.

    저는 신용카드 등 공제제도를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있어야 하고 공제한도도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아직도 자영업자의 소득신고율이 선진국보다 한참 낮기 때문에.....

  • 3. 음,,
    '11.2.9 5:52 PM (115.136.xxx.24)

    연말정산 처음이세요?
    오래전에는 한도가 없었지만
    2005년부터는 500만원까진가? 해줬던 것 같고,,
    점점 공제 한도가 줄어들고 있었어요,,
    2010년 한도가 300인걸 모르셨나봐요,,

  • 4. 그리고
    '11.2.9 5:54 PM (115.136.xxx.24)

    그리고,, 대부분의 거래가 그렇게 현금10%할인 해주는 거 아니잖아요,,,
    주 이용처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전 그런 경우 별로 없던데,,,
    오히려 소득공제만 된다면 현금 일일이 들고 다니는 것 보다는 신용카드로 계산하는 거
    더 편하지 않나요?

  • 5. 미르
    '11.2.9 5:59 PM (121.162.xxx.111)

    현금이나 카드나 값은 똑같아야 정상이죠.

    현금10%할인....이거는 매출자가 나 매출누락하겠단 소리나 마찬가지예요.
    부가가치세 10%를 안내고 소득세(최고 38.5%)도 누락하니까요.
    또 카드는 카드사가 카드사수수료를 떼가죠.
    전 이 수수료도 많이 낮아져야 한다고 봐요.
    그래야 현금을 굳이 받으려하는 유인이 적을 테니까?

  • 6. .
    '11.2.9 6:19 PM (115.22.xxx.17)

    근데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데 그것 다 연말정산시 세금혜택이 되는 것도
    이상한게 아닐까요? ( ^^;;)

  • 7. ..
    '11.2.9 6:27 PM (58.126.xxx.7)

    솔직히요...직장인 유리지갑이라구요

    저도 요즘엔 현금할인많이 해달라고해요
    그대신 현금영수증 안하겠다하면 흔쾌히 해주세요
    그래서 자잘한건 영수증받고 하지만..
    얼마전에 차량수리하면서 56만원인데 현금해달라해서 52만원에 그냥했어요
    그리고 남편이 병원갔는데 오히려 그쪽에서 300인데 50깍아준다고그래서 그렇게했어요

    물론 그네들 탈세?의 방편일수있으나 우리만 봉입니까?? ㅠㅠ

  • 8. 복숭아 너무 좋아
    '11.2.9 6:38 PM (125.182.xxx.109)

    전그래도 신용카드 사용 많이 할래요.. 요새 신용카드 할인이 워낙 많아서. 한달에 이만원에서 이만오천원까지 할인 받거든요.. 현금 거래 보다 그게 좋더라구요.. 지출도 정확히 알수있구요..
    공제 해주던 안해주던 현금할인 많이 해주는 카드 좋던데요.

  • 9. ..
    '11.2.9 7:25 PM (121.168.xxx.108)

    받아야할 고소득 전문직종엔 제대로 걷어내지도 못하면서..어디 유리지갑 직장인들 카드소득공제 해주던것까지 폐지한다고 하는지.
    아직도 병원가서 교정하거나 성형할때 현금으로 한다면 한참 가격빼주잖아요.
    보세옷살때도 그렇고 말이죠.

    세금 메꿔넣을데가 많으니 또 서민들 유리지갑 건드리려는건지. 짜증나요.

  • 10. 미르
    '11.2.9 7:32 PM (121.162.xxx.111)

    ..님/ 그렇지요. 당장의 현금할인이 더 큰 이득으로 보이시죠.
    하지만 자영업자의 소득이 모두 양성화 된다면
    근로소득자의 유리지갑에서 세금을 더 가져갈려고 소득공제를 줄이거나 하지 않겠지요.

    우리나라는OECD 가장 자영업 비중이 높은 나라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9180 딸아이가 86년생인데 아직 연애 한번 못했어요.. 9 엄마 2010/09/22 2,244
579179 아래 광화문 쪽 커피 얘기 나와서 선릉역 근처 추천 바래요.^^ 커피 조아 2010/09/22 303
579178 오늘 할인매장 문 여는 곳 어디어디인가요,,^^? 3 할인매장 문.. 2010/09/22 704
579177 MTB 자전거 구입 도움좀 주세요. 2 초보 2010/09/22 416
579176 내가 한 전이 맛있다니.. 12 아~ 감동 2010/09/22 3,766
579175 지금 고향갑니다.. 2 .. 2010/09/22 361
579174 광화문 쪽 제대로 된 커피집 추천 부탁드려요. ㅡㅜ 9 커피쟁이 2010/09/22 1,315
579173 엄마랑 함께 볼 영화 추천해주세요. 영화추천 2010/09/22 244
579172 결혼 전에 꼭 확인해봐야 할 체크항목들,,뭐가 있을까요?(남자) 7 곰발바닥 2010/09/22 1,465
579171 흐린 가을 하늘에... 2 ^^ 2010/09/22 439
579170 대형서점에서 cd구경하고있었는데 7 터미널 2010/09/22 1,263
579169 짧은 문장한줄만 영작해주세요..굽실굽실 5 부탁해요 2010/09/22 513
579168 어제 치킨을 시켰는데.. 양념속에서 바퀴벌레 나왔어요~ 5 ㅜ ㅜ 2010/09/22 1,266
579167 결혼한지 십년이 넘어도 치사하네요 참.. 9 난.... 2010/09/22 2,879
579166 아이스팩 어캐 버리세요? 3 커피생각 2010/09/22 1,546
579165 송창식 선운사 노래 들어보세요 바람선선하니 오늘 듣기 6 날씨좋네요 2010/09/22 1,653
579164 (19금) 질문 있습니다.. 19 소심 2010/09/22 20,403
579163 라텍스 제발 골라주세요 엉 엉;; 5 사용하시는 .. 2010/09/22 1,008
579162 중고가전제품 어디서 사나요? 1 새댁 2010/09/22 449
579161 저희 어머니가 아침마당에 나온 대통령을 보시더니... 16 아침부터 왜.. 2010/09/22 6,902
579160 먹는건가요? ... 외국에서 보낸 10번째 명절. 2 추석이 뭔가.. 2010/09/22 973
579159 "유치원 말고 노치원을 아시나요" 5 바람직 2010/09/22 1,603
579158 내일 홍콩도 연휴인가요? 2 .. 2010/09/22 564
579157 오늘 문 여는 쇼핑몰은 어디에? 3 쇼핑 2010/09/22 1,063
579156 커피 원두 관련 질문! 6 다뉴브 2010/09/22 944
579155 추천 바래요. 핸폰~ 2010/09/22 280
579154 마흔 중반이후 언니분들에게 궁금합니다 23 마흔 2010/09/22 8,303
579153 주부 김광자의 제3활동-너무잼나요 5 하하 2010/09/22 1,976
579152 다짜고짜 학벌 물어보는 시댁 친척 43 a 2010/09/22 9,088
579151 지금 서울 날씨요.. 5 .. 2010/09/22 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