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남자한복 두루마기 안입고 외출해도되나요?

정월대보름 조회수 : 474
작성일 : 2011-02-08 16:19:51
6년전에 결혼할때 한복하면서
남편이랑 저랑 배자(조끼)를 세트하고
남편은 고향이 시골인데다 장남이라 두루마기를 했구요
(두루마기 안하는 친구들도 꽤 있더라구요)

시골에 계신 혼자 계신 시어머님은 그당시 가을 추수때문에 결혼 준비는 전혀 노터치...

설날 남편 한복 입을때마다 마고자 안하고 조끼했다고 구시렁구시렁....

요즘은 배자가 유행이라서 배자했다고 해도....

그런데 이번 설에 남편이 한복입고 두루마기 입고 집안 차례 지내러 나서는데
설날 아침에 4군데 차례 지내고 오거든요

또 시어머님이 덧저고리 안했다고...덧저고리 했으면 덧저고리만 입고 다니면된다고 하시네요
덧저고리가 마고자 아니가요? 남자들 외출복에 덧저고리가 따로 있나요?
남자는 두루마기 안입고 외출하면 안된다고 하던데
울시어머니 왜 이러시는지...

분명히 제가 결혼당시 한복 할때 남편한테 어머님께 여쭈어라 하니(한복 어떻게할지...) 어머님은 관심없고 아예 낮에 집에 안계시고 통화하기 힘들다고 했거든요



IP : 175.199.xxx.15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2.8 4:23 PM (116.120.xxx.236)

    두루마기가 없음 모를까 있는데 왜 안입고 외출하시나요..
    그리고 저도 한복 맞추면서 얻어들은건데, 원래 전통적인 우리나라 양반옷은 배자(조끼)래요.
    마고자는 조선후기에 들어온거라고..(대원군때인가..)

    시어머니가 잘 모르시고 말씀하시는것같네요

  • 2. ..
    '11.2.8 4:29 PM (1.225.xxx.29)

    남자 한복에 성장은 두루마기까지 입는겁니다.
    대원군 시절에 두루마기가 거추장스러워서 간편하게 만들어진 옷이 마고자고요.
    그러니 외출시에 조끼위에 두루마기를 입는게 정식이고요 두루마기를 못입으면
    마고자라도 입어야 하는 겁니다.
    두루마기를 안입고 바깥으로 다니는건 양복에 자켓을 안입고 셔츠나 조끼바람으로 다니는 것과 같습니다. 제가 전공이라 잘난척 합니다.

  • 3. ...
    '11.2.8 4:56 PM (211.210.xxx.62)

    덧저고리는 마고자랑은 좀 다르다고 배웠어요.
    마고자는 앞에 단추가 달린거고 덧저고리는 그야말로 저고리인데 하나 더 입는 저고리인거죠.
    예전엔 두루마기 안입으면 속옷바람으로 다니는 것과 같다고 했다더라구요.
    조끼만 입고 다니는건 동네 할아버지들이나 그렇게 한다고 들었어요.
    뭐 요즘 세상에 그냥저냥 입으면 되죠.
    게다가 개량한복은 조끼가 겉옷 같이 되어 있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8485 어제 슈스케에서 김소정 부모님 6 ㅎㅎ 2010/09/19 1,611
578484 산후조리원 vs. 산후도우미... 8 ???임산부.. 2010/09/19 946
578483 아이들 시댁에 안보내고 파 5 정말 싫다 .. 2010/09/19 1,241
578482 발이 저리고 마비되는 느낌 2 건강 2010/09/19 559
578481 아침 공복에 올리브 오일 한잔 마시기. 13 올리브 2010/09/19 5,561
578480 보통 여성들이 하는 아령 무게가 얼마인가요? 19 아령 2010/09/19 13,330
578479 지금 양준혁선수 은퇴식 나오는데.., 6 삼성 2010/09/19 782
578478 생선은 몇가지 올려야 하나요..? 6 제사 2010/09/19 630
578477 저희 부부 가망 없겠죠 34 임산부 2010/09/19 9,256
578476 저도 묻어서 질문.. 예비시댁에 인사 가야 할까요? 12 5시간거리... 2010/09/19 887
578475 남자의 자격 정말 질질 끄네요.. 27 질질질 2010/09/19 4,957
578474 친정아버지 보청기를 구입해드렸으면 좋겠는데... 3 보청기 2010/09/19 388
578473 이번 추석에 가야하는 걸까요? 3 궁금해요. 2010/09/19 449
578472 남자의 자격에 나온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부르신 노래 4 erestu.. 2010/09/19 1,566
578471 홍콩, 마카오 몇 박이면 좋을까요? 5 홍콩, 마카.. 2010/09/19 815
578470 시어머니 자랑... 8 해도 될까요.. 2010/09/19 1,599
578469 대명콘도 회원권은 어디서 사는게 좋나요? .. 2010/09/19 340
578468 홍콩 블로거 다나*이씨.. 개명하셨나요? 4 홍콩블로거 2010/09/19 2,185
578467 괜찮은 수면제 추천해주세요~ 3 모리 2010/09/19 727
578466 애들이 소고기 맛을 안 후 식비가 후덜덜 해졌어요. 7 머리아퍼 2010/09/19 1,415
578465 층간소음 3 쿵쿵쿵 2010/09/19 483
578464 [급질]도와주세요 5개월아기.. 4 BCG 2010/09/19 458
578463 인조가죽 쇼파에 볼펜자국 어떻게 지우나요? 5 내가범인 2010/09/19 959
578462 남편이 시댁에 가지말자네요 6 답답한 아내.. 2010/09/19 2,405
578461 서울대생이 과외를 하면 32 이모 2010/09/19 2,950
578460 왜 제가 끓인 라면은 항상 맛없을까요? 11 초짜 2010/09/19 1,197
578459 볼에 대왕만한 여드름(?) 뾰루지(?)가 났어요. 터뜨려야할까요? 4 아 아퍼 2010/09/19 973
578458 뒤늦게 영화 '하녀' 봤는데.... 6 ㅇㅇ 2010/09/19 2,245
578457 아무것도못하는 울 남편 10 ㅎㅎㅎ 2010/09/19 1,523
578456 떡 찔때 까는 베..집에서 뭘로 대체할수 있을까요? 9 송편 2010/09/19 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