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현미 일반계, 추정, 혼합쌀 이게 무슨 말인가요?
그런건 일반계 혹은 혼합쌀이라고 하네요..
다른 사이트..농산물 싸이트에 갔더니 현미설명에
* 현재 판매하는 품종은 추청입니다.
* 일반계쌀이 아닌 추청(아끼바리)쌀입니다.
이런 말이 있구요
현미도 종류가 있는건가요?
일반계는 현미의 장정(다욧, 변비해소등) 이런 걸 볼 수 없는건가요?
1. 음
'10.12.20 11:30 PM (58.124.xxx.6)도정에 따라서 현미나 일반미로 구분하구요.
찹쌀을 종자가 틀리구요.
일반미는 그 품종에 헤아릴 수 밖에 없이 많지만
지금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하는게
동진, 추청, 새추청, 일품, 주남.. 그런게 있구요.
요즘 고시까리 라는 일본계 쌀을 작년인가 재작년인가 부터 많이들 심어요.2. 그리고
'10.12.20 11:36 PM (58.124.xxx.6)수도작(논에서 쌀재배) 110마지기 경북에서 재배하는데요.
고시히까리는 일본에서 워낙 유명한 최고품종이라 한국에서도
비싼 값에 팔리지만..
고시까리는 한국에서 재배하면 맛대가리 없습니다.
계약재배 조금 했는데요.
더 익히면 품질이 나빠지고 그나마 덜 익은거 마구
수확해서 수매로 넘겼는데 전국적으로 다 그랬다는 군요
사람들은 것도 모르고 일본 최고 품종 쌀이라고 비싸게 사먹더군요.
-_- 좀 우꼈습니다.
올해 같은 경우는 일조량이 너무 적고, 비가 많아
2010년 햅쌀을 사드시는 분들은 그냥 작년 묵은쌀 사드시는게 훨씬 좋습니다.
그리고 품종으로 추천드리면
일품벼와 주남벼가 제일 맛이 좋은데 이건 어느 지방이냐에 따라 좀 틀립니다.
그리고 이천, 여주 이쪽 쌀이 유명한데요.
이건 수확시기 때문하고 그쪽 지역에서 하도 뻥카를 쳐서 그렇구요.
저도 경북에서 수도작 하지만
호남쪽 쌀이 대한민국에서 제일 좋습니다.
호남 지역에서 나락을 서리맞기 바로 직전에 수확해서
기계가 아닌 길바닥에서 태양 볕에 말려 수분 14.5% 딱 때려서 도정낸 쌀이
대한민국에서 제일 좋습니다.
여기저기 다 좋네 안 좋네 말 많겠지만
쌀전업농으로 여기저기 교육받고 맛 다 보고 전국 다 기웃거려 보면
답 나옵니다.3. 또
'10.12.20 11:42 PM (58.124.xxx.6)장터에 보시면 친황경 우렁이 농법, 제초제 안썻어요.., 오리 방사해서 키웠어요..
많지요...
^^
나락논에 쓰는 제초제는 물에 희석되어 고르게 퍼져 효과가 참 좋습니다.
그런데 그 제초제 안쓰면 수확량이 15~30% 떨어지죠.
사람들이 잘못알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제초제를 치면 이 제초제가 작물에 흡수되어 사람몸에 들어간다고
생각하지요.
아닙니다.
제초제를 나락논에 치면 나락(벼)를 제외한 잡풀 흡수되어 발아를 막거나,
생장을 못해 결국 죽게 되지만 나락에 흡수되면 그 성분 자체가 바뀌게 됩니다.
독이 독이 아닌게 되어 막상 제초제를 친 논에서 수확한 쌀을
농산물품질원 에서 잔류농약검사를 하면..
농약성분이 전혀 검출되지 않아요.
무농약, 유기농 하고 약치고 재배한것 하고.. - _- 품질 차이가 거의 없다고 생각듭니다.
단 품질 차이가 나는 경우는 약 때문이 아니고
일조량과, 영양분공급, 그리고 어떻게 쌀을 말렸는가 그것이 첫번째 밥맛을 결정하고
두번째 밥맛을 결정하는 것은
드시는 분 가정의 밥솥이 좋냐 나쁘냐에 따라 크게 작용합니다.
똑같은 쌀을 가지고 5년전에 쓰던 밥솥에 지을 때랑
신상품 쿠쿠에 지은 밥 이랑
밥맛은 크게 납니다.
^^) 두서 없이 써서 죄송요4. 또또
'10.12.20 11:46 PM (58.124.xxx.6)그래서 과일이나 밭작물이 아닌 나락농사 짓는 분들은
친환경 인증밭기가 무척 쉽습니다.
일단 출하 후에 농약성분이 안나오니
검사할 때 경치좋고, 물좋고 땅좋은 곳에서 흙떠서, 물떠서 검사받거든요.
왜냐 인증받고 제일 겁나는게 수확된 농산물의 품질검사거든요.
결과가 같으니 수매하는 업체도, 넘기는 생산자도...
인증 받거나 말거나 그게 그거죠... 값도 똑같습니다.
다만 인터넷등 온라인으로 판매하시는 분들은... 인증받는거고
귀찮아서 한번에 매상내는 생산자는 그냥 내는거고...
뭐 그렇습니다.5. s
'10.12.21 12:10 AM (116.37.xxx.143)윗분 말씀처럼 추청은 아끼바레라는 일본 쌀 품종인데 그걸 우리식으로 읽은 겁니다.
일본의 품종 중에선 고시히까리가 제일 유명하구요.. 일본에서도 그게 제일 비싸고 맛있는데
한국에선 같은 품종이라도 좀 그냥 그렇더라구요..
쌀 사려고 보니까 추청 품종이 제일 많이 보이구요
전 그냥 여기저기 하나씩 사먹어보고 있는데 인터넷에서 주문하면
주문 받은 다음에 도정해서 보내주니까 신선해서 좋더라구요6. 글쓴이
'10.12.21 12:17 AM (112.150.xxx.175)와~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 것 배워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