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크코트와 관련된 논란에서 심심찮게 등장하는 것이 육식을 이용한 반론입니다.
인간이 목적을 갖고 살생을 한다는 차원에서 밍크코트나 육식이나 동일한 비판을 받아 마땅하니 완전채식 안 할 거면 밍크코트에 대해서도 아무 말 말라는 거죠.
심지어는 채소를 먹는 것도 살생이니 누구도 뭐라 할 수 없다고도 하고요.
쌀 한 무더기를 만들기 위해 쌀알이 몇 알 필요한가 묻는다면 그 누구도 정확히 몇 알부터라고 대답할 수 없을 겁니다.
쌀알과 쌀 무더기는 같은 쌀이지만 쌀 한 알이 무더기와 같다고 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무더기 역설입니다.
제가 인용한 이 무더기 역설은 마이클 샐던이 배아를 복제해 줄기세포 연구를 하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해 설명하며 사용한 것입니다('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대머리와 대머리가 아닌 것은 몇 가닥의 머리카락이 있을 때부터 구별이 가능한가를 예로 들기도 했고요.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행하는 살생과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행하는 살생이 살생이라는 것은 동일하나
도덕적인 연속선 상에서 그 경계가 불분명하며
더욱이 밍크코트를 만들기 위한 밍크 학살과 육식을 위한 도축, 식물 채취의 도덕적 지위가 동일하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그것이 다르다는 것은 나도 알고 당신도 알지 않습니까?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밍크코트와 육식, 무더기 역설
풀빵 조회수 : 815
작성일 : 2010-11-26 17:34:33
IP : 112.155.xxx.4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
'10.11.26 5:42 PM (121.135.xxx.221)맞습니다!!!!!!!!!
2. 그렇죠.
'10.11.26 6:24 PM (122.34.xxx.16)완전채식 안 할 거면 밍크코트에 대해서도 아무 말 말라는 거죠.
이건 어깃장이란 헛웃음뿐이 안납니다.
양질의 밍크털을 위해 산채로 거죽을 벗기는 참혹함에
핏덩이가 되어 눈물 흘리며 죽어가는 짐승들 생각하면
선진국에서 밍크 입은 사람들을 왜그리 천시하고 미워하는 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소비가 없어지면 공급도 많이 주는 게 당연한 이치입니다.
중국 모피의 80% 가까운 소비를 한국이 해 주고 있다네요.3. 쟈크라깡
'10.11.26 8:32 PM (222.111.xxx.20)옳습니다.
소가죽은 되고 밍크는 안되냐는 말에 쫌 어이가 없어서......
이 정도 논리로 무슨 말을 하려는건지.4. 스누피
'10.11.26 11:40 PM (58.229.xxx.113)글에서 제가 쓴 리플 밑에,
그럼 육식은 왜 하냐.
육식하고, 많이 먹어 비만한 사람도 야만인이냐???
라는 댓글을 읽었을 때..
세상에는 여러 부류의 사람이 있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내 맘이다. 배째라식의 논리에는 뭐,,
어느 정도 양식이 있는 사람이라야 대화가 가능하지 이거 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