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남편의 교육방식..

무른 엄마? 조회수 : 499
작성일 : 2010-10-23 14:07:14
남편은 자수성가한 스타일이고 무조건 열심히하는 노력파입니다.
지금도 그러지 않아도 될만한데도 아침8시부터 밤 12시까지 일을 합니다.
그러니 아들이 하는 행동을 보면 성이 안 차겠지요.
저는 제 중학교때  비교하면 요즘 애들 너무 불쌍해서 ..혹사당하는거 같아서..시간 나면 쉬게하고 잠도 자게 하고 그러는 데요,남편은 애를 보면, 반드시 공부를 하고 있어야 하고,하루에 3-4시간 자도 안죽는다는 말을 강조합니다. 아이의 일과를 보면요,아침 7시에 일어나서 8시에 학교 가서 4시반까지 수업,수,목은 7시까지 방과후를 하고 옵니다. 그리고 8시까지 학원을 가서 요즘은 12시에 옵니다.
그렇게 따져보면 아침 7시부터 저녁 12시까지 활동하는 셈인데,이게 아이가 할짓입니까?
아빠는 차 타고 다니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햇볕도 쬐고 쉬기도 하고 일도 하고 그러잖아요.
어떻게 아이처럼 종일 그 긴다리로 작은 책상에 앉아 공부만 하겠습니까?
전 아이 입장 생각하면 생각만으로도 숨숨 턱턱 막히는걸요.
고3이라도 된다면 이해라도 가지요, 중3이 이렇게 살아야 하는건지..
하여튼 남편은 아이가 책상에 앉아 있지 않는 모습은 이해를 못합니다. 아이보면 충고를 가장한 잔소리..
그래서 남편이랑 제가 아이들의 학습관에 관한 견해차로 자주 싸웁니다.
남편은 제가 단단하지 않고 무르다고 하고 저는 아이가 무슨 고시생이냐 아이 혹사 시킨다라고 주장하고..
어쨌든 둘다 아이를 위하고 생각하는 것이지만 그러나 누가 옳은지..저는 아이 보면 안쓰럽기만 합니다.
IP : 61.79.xxx.5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10.23 2:22 PM (121.138.xxx.189)

    저희와 비슷하네요.
    저희 부부는 둘다 sky 나왔는데 공부하는 방식에선 둘이 차이가 많아요.
    남편은 열심히 노력하고 성실하게 공부했다고 해요.
    평소에도 학교 다녀오면 씻고 간식먹고 책상에 바르게 앉아 숙제하고 예습, 복습하고, 저녁 식사후에도 밤 11시, 12시까지 열심히 국어 영어 수학 공부했데요. 방학때도 일찍 일어나 식사시간과 잠시 쉬는 시간을 제외하곤 순수 공부시간이 평균 13시간 이상 많을땐 15시간까지도 공부했고요. 정석, 성문 등을 독학했지요.
    전교에서 정석을 가장 잘 풀었다고 해요.

    반면 저는 그렇게 열심히 한 스타일은 아니고, 학교 시험에 맞추어 공부하고, 선생님들이 가르쳐주신 것들 복습하고, 고2,3을 제외하곤 11시정도에 잤구요.
    대신 짧은 시간이지만 집중력있게 공부하는 방법을 좋아했어요.

    저희 아이가 둘인데 작은아이가 중2입니다. 남자아이라서 호기심도 많고 책상에
    진득하게 붙어있질 못해요.
    전 방금 학원에서 돌아온 아이가 잠시 쉬는것 (사실 많이 쉽니다.) 이해하는데 남편은 간식만 먹으면 바로 책상에 앉길 바래요.
    가끔은 부부 의견이 달라서 부딪치기도 합니다.
    남편의 말을 들어주고 싶으나 공부하는 아들이 안쓰러운 마음에 간식주고 쉬게 합니다.
    고등학교에 가면 스스로 아빠처럼 하려는 마음이 생기길 바래봅니다.

  • 2. 3
    '10.10.23 2:23 PM (122.34.xxx.90)

    남편이 좋은 대학 못나오셔서 그런건 아닌지..
    사실 머리좀 되면 공부는 집중력이지, 시간이랑 별로 상관없는듯..

  • 3. 3-2
    '10.10.23 4:32 PM (125.184.xxx.144)

    위에 3님 글.....참 울컥합니다.
    댓글도 님 맘이겠지만....그렇게 적고 싶으세요?
    좋은 대학 나올 수 없는 환경도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열심히 해서 자수성가한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공부에 시간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8553 두돌아기&임산부 독감주사 맞아야할까요? 6 어째야할지 2010/10/23 514
588552 주말에 댁의 남편분은 뭐 하시나요? 14 .. 2010/10/23 1,624
588551 사이트 차단했는데도... 13 또 중국 2010/10/23 1,027
588550 사회단체도 낚시를 하더군요... 쩝... 3 낚였어..... 2010/10/23 290
588549 그렇게 비꼬면 아쉬움이 좀 가시는지 살림살이좀 나아지는지 7 아이고야 2010/10/23 1,183
588548 버스에 발이 낀채 아이를 매달고 출발했습니다.. 13 버스기사 2010/10/23 1,923
588547 주말만 되면 어느새 지르고 있는 나~! 금단현상인가.. 2010/10/23 427
588546 문명 생활 좀 하자는 게 이렇게 큰 죄인가요...ㅠ 1 답답해 2010/10/23 478
588545 도토리 계이름 좀 알려주세요!! 떼굴떼굴 도토리가 어디서 왔니? 3 de 2010/10/23 1,191
588544 남편의 교육방식.. 3 무른 엄마?.. 2010/10/23 499
588543 병원?보건소? 3 간염예방주사.. 2010/10/23 258
588542 미샤 화장품 추천해주실분 계신가요? 3 미샤 2010/10/23 1,296
588541 태국피쉬소스 6 솔이엄마 2010/10/23 629
588540 준수는 너무해..(jyj의 준수) 3 개미지옥 2010/10/23 778
588539 슈퍼스타k2 못보신님 다시보기 하실분오세요 1 ㅎㅎ 2010/10/23 548
588538 이문세씨 옛사랑 듣는데.. 왜이리 눈물이 날까요.. 7 옛사랑.. 2010/10/23 1,250
588537 김태영 국방부 장관, MD 참여의사 밝혀..... 11 한심한..... 2010/10/23 561
588536 우리나라 최고의 과소비는 교육인 것 같아요 23 교육열 2010/10/23 2,992
588535 한가한 토요일 오후.. 2 ^^ 2010/10/23 338
588534 피부 묘기증이라고 혹시 들어보셨나요? 8 내 살다살다.. 2010/10/23 1,338
588533 82식구들...위로해주세요... 7 마음비우기 2010/10/23 657
588532 아기가 매일 새벽에 자요 7 ㅠㅠ 2010/10/23 814
588531 우연히 생긴 돈으로 재테크 할수 없을까요? 1 .. 2010/10/23 416
588530 어머니의 야간 빈뇨 2010/10/23 198
588529 저는 왜 이모양일까요... 2 -ㅜㅜ 2010/10/23 420
588528 에휴.한겨레21 구독전화 자꾸 오네요... 4 .... 2010/10/23 519
588527 백지연 얼굴, 전혀 크지 않은데요?ㅡㅡ;; 12 블로그발견 2010/10/23 2,231
588526 3천만원 투자했는데 너무 많이 받는 거죠? 18 요즘 2010/10/23 6,338
588525 급질)쿠쿠 압력솥에다 갈비찜해보신분 계신가요? 1 생신상 2010/10/23 288
588524 20대 후반 ~ 30대 초중반 문과계열 출신 여성분이 많은곳은? 12 ... 2010/10/23 1,019